한국 벤처캐피털 기업들이 떠오르는 디지털화 트렌드를 포착하기 위해 베트남에 대한 투자 초점을 점차 바꾸고 있다. 넥스트랜스(Nextrans)의 창립자 겸 CEO인 에디 홍(Eddy Hong)은베트남 투자 신문 (VIR)의 탄반(Thanh Van) 기자와 변화하는 투자 수요에 대한 자신의 통찰력을 공유했다.
베트남 시장과 스타트업이 한국 벤처캐피털(VC)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벤처 캐피털은 본질적으로 고성장 시장의 혁신적인 창업자를 찾는다. 베트남은 분명 그러한 국가 중 하나이다.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제조 기술이 동시에 발전하는 드문 국가이기 때문이다.
지난 20년 동안 베트남은 소프트웨어 아웃소싱 분야에서 강력한 역량을 개발해 왔으며, 이후 더 광범위한 디지털 혁신으로 전환했다. 현재 AI, 로봇, 드론, 반도체와 같은 딥테크 산업 개발의 초기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미래 지향적인 산업의 부상은 베트남을 미래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지역으로 만드는 요소다.
둘째,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한국 교민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5위다. 한국과 베트남의 양자 무역 규모는 867억 달러에 달하며, 베트남은 중국과 미국에 이어 한국의 세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이다. 이는 베트남 한국의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셋째, 베트남은 동남아시아로의 관문이자 잠재적인 연구개발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시장 진출에 대한 야망을 가지고 있지만, 실행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한국 벤처캐피털(VC)이 베트남 포트폴리오 기업을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한국 기업의 잠재적인 지역 플랫폼 또는 인수 대상으로 보고 있다
한국 VC의 베트남 스타트업 투자가 둔화되고 있다. 한국 VC의 베트남 스타트업 투자 회복세를 어떻게 전망하는가?
한국 벤처캐피털은 2017년경 베트남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했으며, 2019년에 활동이 정점을 찍었다. 팬데믹 봉쇄 이후 국경 간 투자는 훨씬 더 어려워졌다. 한국 벤처캐피털이 지원한 많은 기업들이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2021년에는 금리가 하락하고 유동성이 급증하면서 스타트업 밸류에이션이 급등했다. 한국 벤처기업들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투자를 재개했지만, 많은 경우 밸류에이션이 부풀려져 투자했고, 조정 시점에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이로 인해 현재의 신중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즉, 회복이 가능하다. 베트남 고유의 섹터가 강점을 명확하게 드러내기 시작하고 인수합병 거래, 2차 거래, 기업공개 시장 재개 등 출구 경로가 더욱 가시화되면 한국 벤처기업이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현재 진행 중인 미중 무역 긴장은 베트남에 새로운 전략적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베트남은 중립적이고 민첩한 제조 및 기술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25년은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2024년에는 AI 붐에 대응하여 전 세계 자본의 상당 부분이 미국으로 유입되었다. 전 세계 정부도 주권 AI 인프라 개발을 위해 대규모 예산을 투입했다. 그 결과 일본, 중동, 유럽으로 더 많은 딥테크 기업이 진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부가 글로벌 인재와 자본을 유치하는 스마트하고 혁신적인 정책을 만들 수 있다면, 베트남은 다시 한 번 한국 벤처기업 등이 선호하는 목적지가 될 수 있는 진정한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베트남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베트남에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넥스트란스의 계획은 무엇인가?
저희는 베트남에 대한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지난 10년 동안 7,000개 이상의 베트남 스타트업을 검토하고 40개 기업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향후 몇 년 동안 이를 100개 이상의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목표다.
그러나 우리의 투자 초점은 점점 진화하고 있다. 베트남에 처음 진출했을 때는 모바일 혁명의 초기 단계였고 디지털 인프라는 이제 막 형성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디지털화가 너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거의 모든 분야에서 투자 기회를 찾았다. 이를 통해 Base.vn , TopCV, bTaskee, BuyMed, 에코모비, 씨티, 아이케어, 셀렉스 모터스, Vuihoc, 핀팬 등 카테고리 리더에 투자할 수 있었다.
이제 우리는 베트남이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AI, 반도체, 로봇 공학, 헬스케어 등 새로운 개척지로 확장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우리는 최고의 공과대학 및 정부 주도의 혁신 프로그램과 협력하고 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교차점에 위치한 산업에 관심이 많으며, 베트남은 베트남만의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