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9 (목)

  • 구름많음동두천 8.3℃
  • 구름많음강릉 9.0℃
  • 서울 9.6℃
  • 구름많음대전 15.1℃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8.3℃
  • 흐림광주 15.6℃
  • 흐림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5.2℃
  • 구름많음제주 18.7℃
  • 구름많음강화 6.4℃
  • 구름많음보은 12.1℃
  • 구름많음금산 15.9℃
  • 구름많음강진군 16.0℃
  • 맑음경주시 18.2℃
  • 구름많음거제 16.3℃
기상청 제공

한국경제

지난해 중기 수출액 1175억 달러…2년 연속 1100억 달러 돌파

전년대비 1.7% 증가…미국·대만·인도·멕시코 수출액 역대 최고

 

(굿모닝베트남미디어)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이 글로벌 경기둔화,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어려운 대외상황 속에서도 1175억 달러를 기록하며 2년 연속 1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액이 1175억 달러(약 147조원)로 전년대비 1.7% 증가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중소기업 10대 품목 집중도는 31.4%로 우리나라 총수출 10대 품목 집중도 57.9%보다 26.5%포인트 낮았다.

10대 품목 중 자동차(18.3%), 기타기계류(18.2%)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고 자동차부품(6.9%), 반도체제조용장비(6.2%) 수출도 호조세를 보였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이 두드러진 품목으로는 자동차(4억 8000만 달러), 기타기계류(4억 4000만 달러), 산업용전기기기(4억 1000만 달러)였다. 자동차는 러시아 및 인근 국가로 중고차 수출이 증가하며 2년 연속 수출액이 증가했다.

기타기계류는 완성차,전기차 시장 호조세로 중국, 미국, 헝가리 등으로 차부품 및 전기차 배터리 제조용 장비, 베트남으로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수출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 10대 품목으로 진입했다.

10대 품목에는 들지 못했으나 산업용 전기기기 수출액도 23.6% 증가했다. 완성차와 전기차 수요가 늘며 미국, 중국, 멕시코 등으로 전장품, 전기차 충전기, 전자제품 전원장치 등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중소기업 1, 2위 수출품목인 플라스틱 제품(-4.9%), 화장품(-7.6%)은 최대 수출국인 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로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감소했다.

10대 수출국 중 미국(16.5%), 일본(2.1%), 대만(5.7%), 인도(10.6%), 멕시코(10%) 등 5개국 수출액이 증가했다. 이 중 일본을 제외한 미국, 대만, 인도, 멕시코 수출액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중소기업 수출 10대 국가 집중도는 67.6%로 우리나라 총수출 10대 국가 집중도(70.4%)보다 2.8%포인트 낮았다.

미국, 인도, 멕시코는 자동차 부품 등 수출이 증가했다. 대만은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이 약 18배 증가하고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출이 견조세를 보였다.

중국(-8.2%)과 홍콩(-15.9%)은 코로나19 봉쇄정책으로 인한 생산,소비 둔화,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주요 품목 수출액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중소기업 수출 10대 국가 집중도는 67.6%로 우리나라 총수출 10대 국가 집중도 70.4%보다 낮았다.

단일 국가(1개국)에만 수출하는 기업 비중은 55.5%, 2개국 이상 수출하는 '수출국 다변화' 기업 비중은 44.5%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단일국가 수출 중소기업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 일본, 미국 순이었다.

지난해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액은 7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5% 늘었다. 음반 등 음향기기 온라인 수출액이 38% 늘었고 포토프린터 등 컴퓨터 온라인 수출액이 101.2% 증가했다.

온라인 총수출액 9억 1000만 달러 중 중소기업 비중은 78.4%로 전년 76.7%에 비해 상승했다.

최원영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은 2년 연속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침체 등으로 하반기부터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고 올해에도 어려운 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기부는 지난달 발표한 중소기업 수출지원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해 수출 중소기업이 우리나라 수출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

베트남

더보기
아파트 소유 기간이 다시 가열
건설부가 제안했지만 국민들이 반대하는 정책인 아파트에 소유기간을 두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응우옌 반신 건설부 차관은 화요일 회의에서 건설부가 주택법 개정을 위한 초안 작업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정부 관리들은 아파트 소유권에 기한을 두는 것을 승인했다고 말했다. 건설부는 아파트 소유자들이 수십 년간 사용한 뒤 노후화된 건물을 리모델링하거나 새 건물로 교체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제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판쭝리 전 국회 법률위원장은 소유 기간이 필요하며 주택 구매자들과 투명하게 소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법은 토지 소유권과 아파트 소유권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베트남 도시개발계획협회 부회장인 다오응옥응이엠은 소유 기간이 합법화되어야 하지만 그 기간이 끝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베트남 조국전선의 민주주의와 법에 관한 자문위원회 의장인 쩐응옥드옹은 제안된 변화가 실용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영구적인 아파트 소유가 종료되면 사람들이 더 이상 이러한 유형의 부동산에 관심을 갖지 않게 되므로 시장이 동결될 것이며 다른 나라에서는 고층 건물이 오랫동안 없어서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