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즈엉과 박닌의 이민율은 호찌민시와 하노이보다 높다.

  • 등록 2022.03.14 15:33:53
크게보기

통계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순이주율이 플러스인 지방은 11개다. 나머지 주는 마이너스 순이주율을 보인다.

 

영토 단위의 인구는 출산율과 사망률뿐만 아니라 이주율에도 의존한다. 이주(migration)는 특정 기간 동안 한 영토 단위에서 다른 영토로 거주지가 바뀌는 것을 말한다.

 

이주가 사회경제적 발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주 문제는 사회 전체는 물론 정책 입안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통계청이 2020년 4월 1일 발표한 '인구변화 및 가족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이전 12개월 동안 지방 간 이민자는 69만5100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순지역간 이동률은 동남권이 약 18.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이민율은 20.4㎢, 이주(emigration)율은 1.7㎢였다.

 

2020년 취업유치가 큰 지역은 33만8800명이 넘는 이민자 순이동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동남권이었으며, 그 뒤를 홍강 삼각주가 6만7400명으로 이었다. 메콩 삼각주는 20만명 이상이 거주하는 이주자 수에서 전국 1위 지역이었고, 북중부와 중부해안 지역은 14만3900명 이상으로 2위를 차지했다.

 

순이민률은 남부 빈즈엉성이 58.6㎢로 가장 높았고, 북부 박닌성이 35.8㎢, 호찌민시티 18㎢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가장 높은 마이너스 순이민율 가진 성은 남부 하우장성(-23.8㎢), 짜빈성(-21.5㎢), 속짱성(-193㎢)이었다.

 

순이민율이 높은 지방은 산업단지와 연수학교가 많은 지방이다. 이는 취업과 훈련, 학습이 이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한다.

 

보고서는 또한 도시 간 이민 흐름이 43%에 달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는 31.2%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농촌에서 농촌으로 이동했다.

 

보고서는 "이는 도시 지역의 인구와 고용 압력이 수년간 계속 증가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령대별, 성별별로 살펴보면 20~24세 이민 비율이 가장 높았고, 25~29세, 15~19세 이민 비율이 그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20~24세 연령대가 남성과 여성 모두 이민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을 유지했다.

 

사람들이 이주하는 이유로는 '취업/신규취업'이 약 59.5%로 가장 많았다. 그 밖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족과 함께/이사가서'(17.4%)와 '학교 다니기'(11.5%)가 뒤를 이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결혼이 이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유이기도 해 약 10.7%를 차지해 남성의 2%에 비해 높았다.

 

이정국 기자 esbaek5187@naver.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