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사람들의 수산물 소비량은 1인당 연간 51.5kg까지 증가할 수 있다, 베트남에 기회?

  • 등록 2023.02.24 11:28:26
크게보기

태국이 베트남 수산물 수입 1위국
아세안 2030년까지 수산물 소비수요가 연간 51.5kg로 증가, 2050년에는 연간 61,5kg으로 증가

 

수출입부에 따르면 아세안은 2030년까지 국민들의 수산물 소비 수요가 1인당 연간 51.5kg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앞으로 베트남의 잠재적 수산물 시장이다.

 

2023년 1월 수출입부(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아세안 내 수산물 수출액은 5천만달러로 2022년 12월 대비 30%, 2022년 같은 기간 대비 15% 감소했다. 이와 관련해 아세안은 일본, 미국, EU에 이어 베트남의 4번째로 큰 수산물 수출시장이다.

 

그 이전인 2022년 베트남의 아세안 시장으로의 수산물 수출량은 31만2천톤 이상으로 2021년 대비 물량은 15%, 금액은 28.5% 증가하여 베트남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7%를 차지했다.

 

2023년 1월 베트남 수산물 수출 총액에서 아세안으로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7.13%에서 10.4%로 증가했다.


수출입부에 따르면 2017년 이 지역의 1인당 소비량은 39.4kg/년으로 세계 평균 소비량인 20.3kg/년(FAO, 2020).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아세안 소비자들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 중 하나이다,

 

수출입부는 "아세안은 2030년까지 수산물 소비 수요가 연간 51.5kg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2050년에는 연간 61,5kg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베트남의 잠재적 수산물 시장"이라고 밝혔다.

 

아세안 내 시장구조와 관련해서는 베트남의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등에 대한 수산물 수출이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아세안 내 나머지 시장으로의 수출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23년 1월 태국은 아세안 내 베트남 최대 수산물 수출시장으로 매출액이 2300만달러로 2022년 12월 대비 12%, 2022년 1월 대비 22% 감소했다.

 

필리핀은 2022년 12월에 비해 44% 감소했지만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58% 증가한 1200만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한 블록 내 두 번째로 큰 수산물 수출 시장이다. 아세안 내 베트남의 다음 주요 수산물 수출시장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이다.

 

수출상품 구조와 관련해서는 판가시우스와 바사피쉬가 베트남에서 아세안 시장으로 수출되는 주요 수산물로 2022년 이 시장에 수출되는 수산물 총량의 30.5%를 차지했다.

 

지난 1월 베트남의 메기 수출량은 9만5천으로 1억9550만달러에 해당하며 2021년 대비 물량은 23%, 금액은 55% 증가했다.

 

또한 아세안에 수출되는 베트남의 다른 수산물은 어묵, 냉동 생선, 오징어, 새우 등이 있다.

강영창 기자 yckang777@gmail.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