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과 한국 디지털 기업의 연결을 위한 공간 조성

  • 등록 2024.08.06 21:09:24
크게보기

한국 서울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베트남-한국 디지털 포럼은
양국의 디지털 기술 기업들의 만남의 장이 될 것이다.

베트남 정보통신부(MIC)의 후원과 한국정보기술산업진흥원의 지원 아래 베트남 소프트웨어 및 IT 서비스 협회(Vinasa)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공동으로 2024년 8월 2일 한국 서울에서 제1회 베트남-한국 디지털 포럼을 개최하였다.

 

거의 20개의 베트남 디지털 기술 회사와 한국 협회 및 기업의 150명의 대표단이 이 행사에 참석했다.

 

베트남과 한국의 관계는 수교 30년 만에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습니다. 한국은 이제 베트남에 대한 가장 큰 외국인 직접 투자자이다. 

 

주한 베트남 대사인 부호(Vu Ho)에 따르면, 디지털 경제는 베트남과 한국을 포함한 국가들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2022년, 한국은 디지털 혁신의 모범 사례를 가진 국가, 디지털 시대를 선도하는 국가를 목표로 디지털 전략을 발표했다. 베트남도 국가 디지털 전환 전략을 발표했으며 인프라와 비즈니스 시장 모두에서 디지털 경제 발전이 강한 국가로 평가된다.

 

호 대사는 "양국의 기관과 기업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긴밀히 협력해 각국이 직면한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양국이 설정한 목표를 얻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응우옌반코아 비나사(Vinasa) 회장은 한국이 베트남의 IT 기업들에게 큰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IT 아웃소싱 시장의 가치는 6천억달러이며 2028년까지 그 규모는 8천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FPT, CMC, NTQ 솔루션, Omi 그룹 등 10개 이상의 베트남 디지털 기업이 한국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베트남 기업은 한국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그들 중 일부는 베트남산 솔루션을 한국 시장에 도입했다.

 

 

응우옌만훙 정보통신부 장관은 기업들의 성과를 인정하고 그들의 선구적인 정신을 칭찬하면서 베트남-한국 디지털 포럼의 틀 안에서 그들에게 공로장을 수여했다.

 

한국 기관들에 따르면, 최고의 디지털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한국은 향후 5년 안에 74만명의 IT 직원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의 훈련 능력으로, 한국은 그 분야에서 49만명의 직원이 필요할 것이다

 

베트남 우정통신기술원(PTIT)이 서울사이버대학교와 디지털 대학 모델에 따른 공동 연수 프로그램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예훈 기자 pmhherolyh123@gmail.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