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가격 상승으로 3월 커피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한 11억 6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방금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올해 1~3월 수출 커피 물량은 509,500톤에 달했으며, 추정치는 28억 8,000만 달러로 2024년 같은 기간에 비해 물량은 12.9% 감소했지만 금액은 49.5% 급격히 상승했다.
현재 올해 첫 3개월 평균 수출 가격은 톤당 약 5,656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1.7% 상승했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은 베트남의 3대 커피 소비 시장으로 각각 16.2%, 9.9%, 7.4%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올해 첫 두 달 동안 독일 시장으로의 커피 수출은 79.3% 증가했으며, 이탈리아 시장에서는 32%, 일본 시장에서는 56% 증가했다. 15개 주요 시장 중에서 커피 수출은 폴란드에서 3.1배 증가하여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인도네시아는 유일하게 수출이 감소한 시장이다 (37.5% 감소).
베트남 생두의 가격은 현재 킬로그램당 132,300동 정도다. 런던 거래소에서 로부스타 커피(주로 베트남에서 재배되는 커피 종류)의 가격은 5월 인도분 톤당 5,269달러, 7월 인도분 톤당 5,295달러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
베트남 커피 및 코코아 협회에 따르면 2024-2025년 작황 연도의 커피 생산량은 전년 작황에 비해 5% 감소하여 약 2,700만 봉지(60kg 봉지)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원인은 기후 변화의 영향과 재배 면적 축소이다. 국립수력기상예보센터에 따르면 2025년에는 서리가 내릴 가능성이 높은 엘니뇨를 대체할 라니냐가 베트남과 브라질의 커피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1월 초에는 손라의 서리로 인해 찌엥코, 찌엥덴, 후아라의 많은 커피 지역이 영향을 받았다.
기업들은 농부들에게 장기간의 건기 동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상 조건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관개 계획을 준비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새로 수확한 공급량이 점차 시장에 출시되고 브라질이 수확기에 접어들면서 커피 가격은 앞으로 조정 압력을 받을 것이다.
또한 높은 가격으로 인해 전 세계 커피 수요가 감소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기업들은 효과적인 대응 전략이
있다면 2025년까지 베트남의 커피 수출액이 60억 달러 이상, 심지어 7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 에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