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5G 경쟁 초기 단계에서는 역내 여러 국가에 비해 뒤처져 있지만, 향후 몇 년 안에 보급률이 높아질 것이다.
리콴유 공공정책대학원(싱가포르)의 5G 기술 도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7억 명의 인구의 동남아시아는 물류, 농업, 의료 분야에서 급속한 디지털 전환을 겪고 있으며 잠재력이 막대하다. 그러나 아세안(ASEAN)의 평균 5G 보급률은 현재 9.4%에 불과하여 세계 평균(31.7%)보다 낮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5G 도입 속도는 다르다. 싱가포르는 4G와 별개로 단독 5G 네트워크를 상용화했으며, 세계적인 선두 주자 중 하나이다. 싱가포르의 보급률은 48.3%이며, 인구의 95%가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아세안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말레이시아와 태국도 각각 40.29%와 27%의 보급률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한편,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은 아직 5G 테스트 단계에 있거나 이제 막 구축을 시작했다.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는 5G 관련 활동이 거의 전무하다.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효과적인 5G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스마트 항만 운영에 5G를 적용하여 지연 시간을 50% 단축하고 화물 처리 속도를 높이고 있다. 태국은 재난 관리 시스템에 5G와 AI를 통합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국영 기업이 네트워크 운영자를 위한 공유 인프라를 구축하는 공유 통신망 모델을 통해 인구의 82%에 5G 커버리지를 달성했다.
싱가포르는 전략적으로 물류 및 스마트 제조와 같은 특정 분야에 인프라 투자 및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베트남은 상용화에 앞서 장비 가격 하락 및 기술 안정화를 기다리는 현명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리콴유 공공정책대학원 부민쿠옹 교수에 따르면, 5G 기지국 설치 비용이 12만 5천 달러에서 2만 달러로 급격히 하락하여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향후 5년간 5G 투자를 가속화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세계모바일협회(GSMA)의 데이터를 인용하여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베트남의 5G 보급률이 46.7%에 도달할 것이며, 이는 싱가포르(96.4%), 태국(78.2%), 브루나이(77.1%), 말레이시아(69.6%)보다 낮은 수치다. 아시아 지역 전체를 살펴보면, 이 비율은 인도(61.4%)와 중국(87.9%)보다 낮다.
이 보고서는 5G가 AI, 스마트 제조, 자동화된 물류, 원격 의료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향후 5년 안에 구축이 가속화되지 않으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5G부터 6G까지 전체 기술 경쟁에서 뒤처질 위험이 있다. GSMA에 따르면, 모바일 생태계는 2030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경제에 1조 달러를 기여할 것이며, 그중 5G는 약 1,300억 달러(12%)를 차지한다.
2024년 말부터 비엣텔, VNPT, 모비폰 등 3대 통신사가 베트남에서 5G 서비스를 시작했다. 7월 기준 베트남 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의 5G 가입자는 1,200만 명이며, 12,263개의 기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4G 방송국의 10.3%에 해당한다. 5G는 모든 성(省)과 도시에서 이용 가능하며, 인구의 약 26%를 커버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의 인구는 2024년 4월에 1억 100만 명을 넘어섰다. 매년 거의 100만 명씩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베트남의 인구는 2030년까지 약 1억 600만 명에 달할 것이다.
현재 100명당 104.6명의 모바일 가입자 밀도가 유지된다면 베트남의 모바일 가입자는 2030년까지 약 1억 1천만 명에 달할 것이다. 리콴유 공공대학원이 예측한 5G 이용률 46.7%를 고려하면 2030년 5G 사용자 수는 약 5,100만 명에 이를 것이다.
실제로 과학기술부는 2025년까지 6만 8천 개의 5G 기지국을 구축하여 전체 인구의 90%를 커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30년까지 5G 네트워크 인프라는 베트남 전체 인구의 99%를 커버할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