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기업, 관세 위험을 피하기 위해 전환 태세

  • 등록 2025.08.01 08:45:17
크게보기

이사회 IV에 따르면 많은 기업이 미국 관세에 적응할 계획이며, 수출 지향적인 그룹은 새로운 시장을 찾는 것을 우선시한다.

 

위의 정보는 민간경제개발연구위원회(이사회 IV)가 기업신뢰보고서 2025에 명시한 내용이다. 결과는 이사회 IV가 지난 6월 베트남 매체와 협력하여 1,500개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기반한 것이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출 기업의 51.6%가 관세 리스크를 위해 새로운 시장을 찾을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 솔루션은 국내 생산 및 기업 그룹(34.9%)에게도 우선순위이다. 또한 생산 체인의 현지화를 늘리고(20.8%) 다른 파트너로부터 투입 자재 시장을 찾는 경향이 있다(14.3%).

 

반면, 국내에서만 운영되는 그룹은 24.4%가 "새로운 시장을 찾기 위해" 더 신중하다.

 

보고서는 "관세 리스크는 국내 수출 및 제조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공급망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가공, 제조, 서비스, 농림어업 분야의 기업이 미국 외 지역에서 시장을 찾는 것을 우선시한다. 한편 건설업체는 생산 체인의 현지화에 더 집중하고 기다리는 경향이 있다. 적응형 솔루션 중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대미 판매 가격을 인상하거나 이 시장에서 수입을 늘리는 것을 선택하는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빨대, 베르미셀리, 면, 마카로니, 쌀가루 등 쌀가루 제품 생산 전문 기업인 SK푸드는 지난 4월부터 EU, 한국, 일본, 싱가포르, UAE 등으로 수출 시장을 전환할 계획이다. 탄콩섬유는 불안정한 세계 정세에 대응하고 사업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시장 확대도 해결책으로 제시한 바 있다.

 

실제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업종의 기업은 미국의 호혜적 세금 정책으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이 중 가공 및 제조업(거의 64%), 서비스업(65.8%), 건설업(62%), 농림어업(61.2%) 등 '심각/매우 심각한 영향'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베트남은 60개 이상의 국가 및 영토와 17개의 자유무역협정(FTA), 70개의 양자 협력 메커니즘 등 시장 다양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단일 파트너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이점다. 베트남 수산물 수출 및 생산자 협회(VASEP)도 기업들이 EVFTA, CPTPP, RCEP와 같은 FTA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다른 시장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미국은 전 세계 총 수입의 약 13%를 차지한다. 즉, 베트남 기업은 여전히 세계 시장의 87%에 해당하는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어 수출 시장을 개척하고 다각화할 수 있다.

 

새로운 시장 개척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들은 정부가 무역 촉진 활동을 강화하고 다른 잠재 국가들과의 FTA 협상을 확대할 것을 권고한다. 기존 FTA를 통해 기업은 무역 협정으로 인한 세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관리 기관이 더 많은 지침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수입 원자재 및 부품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게 국내 지원 산업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기업은 또한 일정 기간 동안 신용 지원이나 법인세 면제 또는 감면 등 미국과 중국 외 지역으로의 공급망 전환이나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한 지원 메커니즘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물가 압박을 줄이기 위해 세금, 수수료를 줄이고 투입 비용을 지원하는 등 국산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파트너사의 무역 갈등 위험과 관세 정책 변경에 대한 조기 경보 시스템도 구축해 기업이 준비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이정국 기자 jkanglilee@naver.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