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수입 의존도 속 1인당 우유 소비량 70리터, 생산량 75억 리터 목표

  • 등록 2025.08.13 20:53:44
크게보기

베트남은 2045년까지의 개발 목표를 설명하는 업계 컨퍼런스에서 화요일에 논의된 내용에 따르면,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국내 우유 생산량을 늘리고 1인당 소비량을 늘릴 계획이다.

 

산업통상부는 유제품 업계가 현재 1인당 연간 우유 소비량을 2030년까지 40리터, 2045년까지 70리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 전략에 따라 가공 액상 우유 생산량은 2030년까지 42억 리터, 2045년까지 75억 리터로 전망된다.

 

국내 우유 생산량은 2030년까지 30억 리터로, 가공 수요의 약 70~72%를 충족하고, 2045년까지는 62억 리터로, 전체 수요의 82%를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트남 유제품 협회 쩐꽝쭝 회장은 "시장 잠재력은 여전히 상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베트남의 소비량이 태국(1인당 35리터), 싱가포르(45리터) 등 다른 지역 국가들보다 뒤처진다고 지적했다. 유럽의 평균 소비량은 80리터에서 100리터 사이다.

 

현재 국내산 생유가 수요의 약 40%를 충족한다.

 

협회에 따르면 우유 원료와 특수 영양 제품의 수입액은 연간 약 10억 달러에 달한다. 여기에는 분유, 의료용 영양제, 수출용 원료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분야는 국내 공급이 제한적이다.

 

정부의 축산 전략 결정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5년까지 170만~180만 톤, 2030년까지 260만 톤의 생유를 생산할 목표를 갖고 있다.

 

베트남의 젖소 수는 65만~70만 마리에 이르며, 이 중 60%는 농장에서 사육된다.

 

 

산업통상부 쯔엉탄호아이(Truong Thanh Hoai) 차관은 정부가 유통기한 요건 강화 및 생산부터 소매까지 추적성 강화를 포함하여 수입 분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호아이 차관은 "수입 의존도 감소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목표다."라고 말했다. "투자를 장려하는 동시에 엄격한 기술 기준과 모니터링을 시행할 것이다."

 

여러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에 투자 절차를 간소화하고 세금, 토지, 신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베트남 최대 유제품 생산업체인 비나밀크(Vinamilk)의 마케팅 담당 임원인 응우옌꽝찌(Nguyen Quang Tri)는 부처 간 조율된 실행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찌는 "전략은 명확하다. 이제 중요한 것은 단호한 조치와 동시적인 협력이다."라고 말했다.

 

관계자들은 또한 규제 개혁을 촉구하며, 많은 국가 유제품 기준이 10여 년 전에 제정되어 현재의 가공 기술이나 포장 방식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베트남 축산협회는 제품 품질 향상과 국제적 기준 준수를 위해 표준 개정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응우옌쑤언즈엉(Nguyen Xuan Duong) 협회 회장은 생유 품질 기준 개선 덕분에 국내산 신선 우유의 비중이 2009년 8%에서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유 안보를 국가 식량 안보의 일환으로 설정하고, 특히 영유아와 노인 등 취약 계층을 위해 유제품 규정을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지침에 더욱 긴밀히 부합시킬 것을 제안했다.

 

즈엉 회장은 또한 태국의 학교 우유 프로그램 부활을 촉구하며, 태국이 매년 약 5억 달러를 지출하여 700만 명의 어린이에게 우유를 공급하고 있는 사례를 언급했다.

 

‘2030년까지 베트남 유제품 산업 발전, 2045년까지의 비전’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 회의는 산업통상부와 베트남 유제품협회가 공동으로 호찌민시에서 개최했다.

Hang 기자 doanhang038@gmail.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