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베트남미디어) 톈진, 중국 2025년 11월 27일 -- 세계 최대의 접이식 자전거 제조업체 다혼(DAHON)이 자회사인 다혼 테크(DAHON Tech)(홍콩 증권거래소 상장 코드: 02543)의 홍콩증시 상장(IPO)을 교두보 삼아 홍콩 증권거래소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이번 상장은 청약 경쟁률이 무려 7558대 1에 달하면서 홍콩 증권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공모주로 기록되었다. 이번 상장 성공으로 확보한 넉넉한 자금은 다혼이 친환경 이동 수단 혁신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혼은 첫 번째 핵심 프로젝트로 중국 톈진에 합작 회사인 다골드 테크놀로지(Dagold Technology)를 신설하고자 골든 휠 그룹(Golden Wheel Group)과의 전략적 동맹을 추진했다. 신축 공장이 완공되면 다혼은 보급형 제품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원동력 삼아 진출 시장을 늘리고 더 많은 소비자의 다양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혼은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성장 전략을
호찌민시는 수요일 세계경제포럼(WEF)과 베트남의 스마트 제조 및 책임 있는 산업 변혁 촉진을 위한 이니셔티브에 대한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바이낸스와는 베트남 국제금융센터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025년 추계 경제포럼에서 발표된 호찌민-WEF의 이번 발표는 베트남을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와 연계하고, WEF 주도 이니셔티브 공동 개발에 있어 호찌민시를 파트너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양측은 호찌민시와 전국 단위의 스마트 제조 발전을 위해 협력하고, 글로벌 등대 운영 시스템(Lighthouse Operating System, Lighthouse OS)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이 이니셔티브는 실용적인 도구, 역량 강화 활동, 지식 공유를 통해 베트남이 스마트 제조 전략을 수립하고 호찌민시에서 시범 프로그램을 시행하도록 지원할 것이다. 호찌민시 4차 산업혁명센터(HCMC C4IR)와 세계경제포럼(WEF)의 첨단 제조 및 공급망 센터(AMSC)는 베트남에서 Lighthouse OS 활동을 공동으로 기획하고 실행할 것이다. 관계자들은 이 공동 성명이 WEF가 주도하는 국제 협력 프레임워크에서 베트남과 호찌민시의 역할이
모바일 월드는 올해 1~9개월 동안 애플 제품 판매로 5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베트남 정품 애플 제품 시장 점유율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러한 사실은 11월 26일 오후 호찌민시에서 열린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모바일 월드(MWG)의 부당린(Vu Dang Linh) CEO가 공유했다. 린 CEO는 애플 제품이 MWG의 매출에 꾸준히 기여해 왔다고 말했다. 현재 애플 제품은 지오이디동(Gioi Di Dong) 매장뿐만 아니라 애플 제품 전문 매장인 탑존(TopZone)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탑존은 모든 애플 제품 카탈로그를 제공한다. 올해 모바일 월드는 호찌민시 응우옌 후에(Nguyen Hue) 보행자 거리에서 "기술 축제" 형식으로 아이폰 17 시리즈 판매를 시작했다. MWG와 탑존(TopZone)은 입금 포털 오픈 후 단 30분 만에 8만 건 이상의 등록을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 수익률이 낮은 애플 제품 비중이 증가하면서 회사의 매출 총이익률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회사는 여전히 매출 총이익률보다 절대적인 이익 가치를 우선시하고 있다. 디엔 메이 싼의 기여 덕분에 휴대폰 및 전자제품 부문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다. 9개월 만에 두 자릿수 성장을
세계 최대 신선과일 유통기업 프레시 델몬트(Fresh Del Monte·135년 역사)가 베트남 타코(THACO)와 10년 장기 바나나 매입 계약을 체결했다. 26일 발표에 따르면 2026년 첫해 최소 7만1500톤(3500 컨테이너)을 시작으로, 향후 수출량은 연간 24만톤까지 급증할 전망이다. 타코 회장 쩐바드엉(Tran Ba Duong)은 “2026년 타코 아그리(THACO Agri)바나나 총생산량은 51만2000톤(2만6000 컨테이너)이며, 델몬트가 구매하는 7만1500톤은 전체의 15% 수준”이라며 “2026년 1만6000ha, 2027년 2만ha로 재배면적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 바나나 재배면적의 몇 %에 불과해 성장 여지가 무궁하다고 강조했다. 프레시 델몬트 부사장 모하마드 압바스(Mohamad Abbas)는 “일본 시장에서 THACO Agri 바나나가 이미 지역 경쟁국 제품보다 ‘프리미엄’ 등급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몇 달 안에 계약 물량을 훨씬 초과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THACO Agri 바나나는 델몬트 브랜드로 홍콩·일본·한국·중동 등 주력 시장에 공급된다. 협력은 바나나를 넘어선다. 향후 파인애플 2000ha 이상 공
세계 최대 전자제조서비스(EMS) 기업 폭스콘의 브랜드 청(Brand Cheng) 회장이 26일 “베트남이 AI 시대 글로벌 공급망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고 있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날 오전 열린 ‘2025 가을 경제포럼’에서 청 회장은 “베트남은 개방 정책, 놀라운 성장 지표, 최첨단 제조 플랫폼을 모두 갖춘 전략적 목적지”라며 폭스콘이 베트남 투자를 지속 확대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가 제시한 숫자는 압도적이다. 2007년 486억달러 → 2025년 3910억달러(예상) 수출액 전자·하이테크 제품 비중 35% FDI 유치 200억 → 315억달러 1인당 국민소득 926 → 5000달러 이상 2025년 상반기 GDP 성장률 7.5%(세계 최상위권) 1~10월 전자제품 수출 873억달러(전년 대비 48%↑) 청 회장은 “이 모든 성과는 베트남의 개혁 노력과 개방 정책의 결실”이라며 특히 올해 전자 수출 48% 폭증을 “매우 인상적(very impressive)”이라고 평가했다. 폭스콘은 이미 베트남에서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해 AI 생산라인을 가동 중이며, 박장성(북부) 공장은 세계 최첨단 수준으로 데이터센터·칩·AI 제품의 국제 기술 허브로 육성되고
베트남이 희토류가 아닌 또 다른 ‘전략 광물 보물창고’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바로 중국이 52%를 점유한 텅스텐 시장에서 베트남이 중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세계 1위 공급국으로 떠오른 것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텅스텐 매장량은 약 460만톤이며, 중국이 240만톤으로 1위다. 베트남은 14만톤을 보유해 중국·러시아·캐나다에 이어 세계 5위지만, 중국을 제외한 국가 중 생산량 기준으로는 압도적 1위다. 특히 타이응우옌성 누이파오(Nui Phao) 광산은 중국을 제외할 경우 전 세계 텅스텐 생산량의 약 33%를 책임지는 세계 최대·최고급 광산으로 평가받는다. 24일 타이응우옌성에 따르면 독일 연방의회 국무장관 슈테판 로엔호프(Stefan Rouenhoff)를 단장으로 하는 독일 고위 대표단이 누이파오 광산을 직접 방문했다. 로엔호프 장관은 “텅스텐은 국방산업은 물론 첨단 제조업의 핵심 전략 광물”이라며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베트남 누이파오 광산이 최우선 협력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누이파오 광산을 운영하는 마산하이테크머티리얼즈(Masan High-Tech Materials·MHT)의 애슐리 맥알
베트남 정부가 26일자로 내국인 카지노 입장을 대폭 확대했다. 이날 공포된 정부 결의 제8/2025/NQ-CP에 따라 오늘(26일)부터 베트남 국민도 조건을 갖추면 푸꾸옥(안장성), 호짬(바리아붕따우성), 반돈(꽝닌성) 등 3곳 카지노에서 도박을 할 수 있게 됐다. 구체적으로 푸꾸옥 카지노(코로나 베이 카지노): 즉시 상시 허용 호짬 카지노(호짬 스트립): 2025년 11월 26일부터 5년간 시범 반돈 카지노(반돈 특구): 카지노 영업 허가증 발급일로부터 5년간 시범 시범 기간 종료 시 호짬·반돈은 별도 정부 결론이 있을 때까지 다시 내국인 출입을 차단한다. 입장 조건은 기존 2017년령(Decree 03/2017/ND-CP) 그대로 유지된다. 만 21세 이상 베트남 국적자 월 소득 1000만동(약 55만원) 이상 증명 범죄 전과 없음 가족의 입장 금지 요청서 미제출 기업은 전자신분증·생체인식 시스템으로 철저히 관리해야 하며, 위반 시 즉시 영업정지 등 강력 제재를 받는다. 베트남은 2016년 정치국 결정을 통해 처음으로 푸꾸옥과 반돈에서 내국인 카지노 시범을 허용했으나, 코로나19로 실질 운영 기간이 짧아 2022년과 2024년 두 차례 연장한 바 있다
26일 베트남 증시가 분석가들의 신중론을 깨고 1개월 고점을 찍었다. VN지수는 장중부터 초록빛을 유지하며 종가 20.45포인트(1.23%) 상승한 1680.66으로 마감, 지난 한 달간의 ‘줄다리기’ 국면을 벗어났다. 호치민거래소(HOSE)가 녹색 물결로 물들었다. 240개 이상 종목이 기준가 상회 마감하며 8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VN30 대형주 바스켓도 24종목 상승으로 하락(5종목)의 5배를 압도했다. 빈그룹 계열은 차별화 양상을 보였다. 빈펄(VPL)은 주당 8만7200동 상한가로 지수에 3.2포인트 기여하며 선두를 달렸고, VIC(+0.8%), VRE(+1.3%)도 호조였다. 반면 빈홈스(VHM)는 매도세에 밀려 -0.5%로 장을 마감했다. 증권주는 인상적인 반등을 이뤘다. VIX(2만4500동 상한가, 미체결 900만 주), SSI·VND·VCI 등 대부분 2~4% 급등하며 그룹 평균 2.91% 상승을 주도했다. 부동산도 녹색 확산. CII·DXG·PDR·AGG·DIG 등 중소형주 3.5% 이상 올랐고, NLG·KDH·NVL은 1~3% 안착했다. 은행주는 강한 양극화를 보였다. EIB가 5.5% 폭등하며 시장 추세를 이끌었고, VPB·TP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