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국은 2025-2026 새 학년도 시작부터 전국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모든 학생들의 수업료를 면제하기로 결정했다. 2025년 2월 28일 정치국 회의에서 정치 시스템의 장치를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정치국의 결의안 18을 이행한 초기 결과를 검토하고 평가한 결과, 정치국은 2025년 결의안 18의 내용을 더욱 강력하고 신속하게 이행하는 정책에 대해 매우 동의했다. 정치국은 정치제도 간소화 과정에서 재정 균형 능력에 대한 정부의 보고서를 청취한 후 전국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학생의 수업료를 면제하기로 결정했다. 시행 시기는 새 학년도 시작일인 2025~2026년(2025년 9월 이후)부터이다. 정치국은 교육훈련부, 재무부, 여러 관련 부처, 지부 및 지방 자치 단체가 위 결정을 구체화하고 진지하게 이행하는 데 협력하도록 정부 당 위원회를 배정했다.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투득시의 사이공 하이테크 파크에서 베트남 풀브라이트 대학교의 토지 임대료를 2065년까지 전액 면제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 결정은 2월 20일 제21차 의회 회기 중에 내려졌다. 캠퍼스가 투자 유치 지역에 위치하고 비영리 기관으로 운영되는 경우 면제가 적용된다. 면제된 토지 임대료는 공공 서비스 또는 제품 가격에 반영되지 않는다. 인센티브 기간은 토지 임대 결정이 내려진 날부터 시작된다. 이전에 시 인민위원회는 풀브라이트 대학교 베트남에 임대 결정일로부터 2065년 12월 26일까지 토지 임대 면제를 부여할 것을 제안했으며, 이 프로젝트가 요구 조건을 충족한다고 확인했다. 시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이 대학은 베트남-미국 관계 정상화에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양국 정부의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여러 공동 성명에서도 인정받았다. 평판 좋은 국제 대학인 풀브라이트 대학교 베트남은 베트남, 지역 및 세계 간의 교육, 인력 개발 및 과학 및 기술 연구를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6년 총리가 발표한 결정 819에 따라 비영리 기관으로 운영된다.
2025년 2월 15일 토요일, 호치민시 12군에 위치한 베트남대한한글학교(교장: 이영식)에서 새 학기를 맞아 개학식과 함께 학부모님과 학생들을 위한 김치 만들기 특별 행사를 진행하였다. 김밥, 떡볶이, 잡채, 오뎅 등으로 점심 식사를 한 후에 김치 담그기 행사를 진행하였고, 직접 만든 김치를 학부모님과 학생들은 집으로 가져갔다. 또한, 아이들은 윷놀이, 비석치기, 제기차기, 공기놀이 등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를 체험하는 시간도 가졌으며, 김치 만들기를 통하여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더욱 깊이 느낄 수 있었다. 베트남대한한글학교는 12군에 위치한 주 호치민 대한민국 총 영사관에 등록된 재외동포 교육 기관이며, 베트남에 거주하는 교민자녀와 한.베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함양과 한국어를 비롯한 역사. 문화 등을 교육하는 비정규 교육기관이다. 베트남대한한글학교 문의: 0902921004 김현화교감 주소: 22H3 DN8, du an An Suong, P. Tan Hung Thuan, Q.12 TP. HCM, VN
2월 16일에 FPT 코퍼레이션은 특히 AI 분야에서 고급 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중남부 빈딘성의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교육 시스템을 완성하고 있다. 이곳은 빈딘에 위치한 FPT의 두 번째 고등학교이며, 베트남 중부에서 교육 발전 여정 중 탄호아, 후에, 다낭에 이어 다섯 번째이다. FPT 꾸이년 중급학교는 2025년에 학생 등록을 시작할 예정이며 꾸이년 타운의 쩐꽝디에우와 부이티쑤안 구에 위치한 AI 센터 지원 도시 지역에서 2.3헥타르 이상의 면적을 차지한다. 시설은 강의동 2개, 다기능 서비스동 2개, 홀, 지원 인프라가 마련될 예정이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연간 2400명의 학생을 교육할 예정이다. 학교의 교육 환경은 FPT의 전반적인 교육 전략을 따르며, 첨단 지식과 경험을 우선시하고 STEM, AI, 로봇 공학에 중점을 둘 것이다. FPT의 자회사인 FPT 에듀케이션의 CEO인 레쭝뚱은 메콩강 삼각주 롱안과 다낭에 위치한 학교에 이어 올해 FPT가 출범한 세 번째 학교라고 말했다. 그는 기숙형 모델을 따르는 FPT 꾸이년 고등학교와 AI를 전문으로 하는 FPT 빈딘 대학교 캠퍼스와 함께 빈딘에서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교육 시스템을 완성하고
총리는 최근 2045년을 목표로 2030년까지 교육 발전 전략을 승인했다. 2030년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유아 교육의 경우: 최소 99.5%의 유아가 하루에 두 번(오전과 오후) 세션을 갖다. 양육, 돌봄,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 아이들이 신체적, 정서적, 지적, 미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때는 아이들의 성격에 대한 첫 번째 측면이 구체화되는 시기이므로 1학년을 위한 준비가 잘 되어야 한다. 모든 유치원 교사는 교육법에 명시된 필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유치원의 30%가 사립으로 운영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 유치원 아동의 35%가 유치원을 다닐 것이다. 일반 교육의 경우: 100%의 학생이 하루에 두 번 수업을 들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 학교 교사의 100%는 교육법에 명시된 필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일반 학교의 5%가 사립학교로 운영되고 학생의 5.5%가 사립학교에 진학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등 교육의 경우, 인구 10,000명당 대학생 비율은 최소 260명이어야 하며, 대학생 수는 18세에서 22세 사이의 젊은이들 중 최소 33%를 차지해야 한다. 베트남은 베트남에서 고등 교육을 받은 유학생 수가 1.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하노이, 호치민시, 하이퐁이 상위 3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으며, 타이응우옌과 후에가 남딘과 탄호아를 제치고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1월 18일 오후, 교육훈련부는 2024-2025 학년도 국가 우수 학생 선발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에는 68개 대학(63개 성, 시, 5개 대학)에서 약 6,500명의 참가자가 있었으며, 이는 작년에 비해 663명 증가한 수치로 수상자 수는 3,800명 이상으로 전체 참가자 수의 거의 59%를 차지했다. 63개 성-시 중 하노이가 200명의 학생이 수상하며 여전히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호치민시 - 166명, 하이퐁 - 102명이 그 뒤를 이었다. 세 도시의 순위는 작년과 같지만 외국어 과목을 중심으로 수상 횟수가 증가했다. 다음 상위 10위권에는 박장, 하이즈엉, 응에안, 타이응우옌, 꽝닌, 빈푹, 후에가 포함되었으며, 약 85~101명의 학생이 수상했다. 이 중 타이응우옌과 후에는 남딘과 탄호아를 대신해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대학과 연계된 특성화 고등학교를 포함하면, 하노이 국립대학교만이 101개의 상을 받아 4위로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1등 상만 놓고 보면 하노이가 18개의 상으로 여전히 1위를 차지했다.
베트남 사람들은 점점 더 영어 학습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결과는 기대만큼 좋지 않으며, 영어가 학교에서 제2외국어가 되는 데는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영어는 1982년에 고등학교에서 필수 과목이 되었다. 1996년에는 초등학교 3~5학년에서 시범 과목으로 도입되었다. 구글 트렌드 검색 키워드 데이터에 따르면 베트남이 세계무역기구(WTO)(2006~2007년)에 가입한 이후 '영어 배우기'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교육훈련부(2008년부터)의 프로그램에 따르면 2022-2023 학년도 기준으로 전국 학생의 2/3에 해당하는 290만명 이상의 학생이 최소 10년(1,050회 수업) 이상 영어를 공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일반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해 영어에 할애되는 시간이 늘어났다. 현재 초등학생은 주당 4교시(2.3시간)의 영어를 배워야 하는 반면, 중고등학생은 3교시(2.25시간)의 영어를 공부해야 한다. 3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총 수업 시간은 1,155교시로 거의 870시간에 해당한다. 목표는 학생들이 마치면 공통 유럽 언어 참조 프레임워크(CEFR)의 B1 수준에 해당하는 6단계 외국어 능력 프레임워크에
베트남 대한한글학교는 12월 21일, 2024학년도 수료식을 개최했다. 이영식 교장은 인사말을 통해 학생들의 노력과 성실함을 칭찬하며, 건강하고 씩씩한 모습으로 다시 만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수료식에서는 1년 동안 개근한 3명의 어린이에게 성실상이 수여되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꾸준한 노력과 성실함을 기렸다. 또한, 수료식은 크리스마스와 새해 맞이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풍성하게 진행됐다. 학생들은 태극기 그리기, 붓글씨 쓰기, 한국 전통 새해 놀이, 설날 동요 배우기 등을 통해 한국의 새해 맞이 문화를 체험했다. 특히, 이번 수료식에서는 학생들이 한복을 입고 한글 수업을 진행하며 새배하기를 배우고, 교장 선생님께 새배를 드리는 특별한 행사도 마련됐다. 이날,사이공한마음교회(담임 나성엽 목사) 선생님들이 와서 동요를 지도하고 장학금을 전달하는 등 따뜻한 격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교회는 풍성한 간식으로 학생들의 마음을 채우며, 뜻깊은 시간을 함께 했다. 이번 수료식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한 해를 의미 있게 마무리했다. 베트남대한한글학교는 12군에 위치한 주 호치민 대한민국 총 영사관에 등록된 재외동포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