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0℃
  • 흐림강릉 11.8℃
  • 흐림서울 15.0℃
  • 흐림대전 14.6℃
  • 대구 14.4℃
  • 울산 14.3℃
  • 광주 13.9℃
  • 부산 14.9℃
  • 흐림고창 14.7℃
  • 제주 17.7℃
  • 흐림강화 12.1℃
  • 흐림보은 12.8℃
  • 흐림금산 13.8℃
  • 흐림강진군 14.0℃
  • 흐림경주시 12.9℃
  • 흐림거제 14.8℃
기상청 제공

베트남 여권, 글로벌 모빌리티 순위 4계단 상승

한국 191개국 무비자 입국으로 3위
1위는 193개국의 일본, 192개국 싱가포르가 2위

베트남 국민은 현재 55개국을 무비자로 갈 수 있게 되었다. 올해 세계 여행 자유 지수에서 베트남 여권은 4계단 뛰어올랐다.


런던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시민·거주 자문회사 헨리앤파트너스가 발표한 2023년 헨리 여권 지수에 따르면 동남아에서는 현재 베트남 여권(88위)이 캄보디아(89위), 라오스(93위), 미얀마(96위)보다 강력하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각각 192개국과 179개국과 영토에 대한 비자 면제로 2위와 14위를 차지하며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을 보유하고 있다.

 

태국 여권은 68위로 시민들이 비자를 신청하지 않고 78개국을 방문할 수 있다.

 

이 지수는 소지자들이 사전 비자 없이 접근할 수 있는 목적지 수를 기준으로 199개의 세계 여권을 순위화한다. 이 지수는 비자 정책 변경이 적용되는 시점과 시기에 따라 연중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일본은 2023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민들은 비자를 신청하지 않고도 193개국과 영토를 방문할 수 있다.

 

한국은 191개 목적지에 무비자로 접근하면서 독일과 함께 3위를 차지했다.

 

세계에서 가장 약한 여권은 예멘, 파키스탄, 시리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정치적 갈등에 빠진 가난한 나라들로부터 온다.

 

베트남은 2년간의 국경 폐쇄 이후 3월 15일 국경을 개방하고 팬데믹 이전 비자 정책을 재개했다.


베트남

더보기
2026년 초 국제철도·원전 착공… 베트남, 인프라 돌파구로 두 자리수 성장 이끈다.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이 2026년 초 북남고속도로 동부 구간, 닌투안 원자력발전소, 국제철도 등 대형 국책 프로젝트 착공을 지시하며, 인프라 혁신을 통해 ‘두 자리수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정치국은 최근 ‘2025년 최고 성장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대책 지속 이행’에 대한 결론을 발표했다. 이는 지속 가능한 두 자리수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성장 모델 혁신·생산성 향상·경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결의 5호(Resolution 05)를 요약하는 내용이다. 결론에서 정치국은 부처·지방에 “2026년 초부터 중요한 국가 프로젝트 건설을 개시할 모든 준비를 완료하라”고 촉구했다. 핵심 프로젝트로는 동부 북남고속도로, 닌투안 원자력발전소, 국제철도 사업을 꼽았으며, 대규모 공공투자 자금을 동원한 인프라·에너지 프로젝트도 포함된다. 정치국은 “2025년 성장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자원을 동원하라”며 “이는 2026~2030년 두 자리수 성장의 중추적 단계”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국제금융센터·디지털자산거래소·금거래소 운영 준비를 완료해 경제의 새로운 금융 기관을 창설할 것을 요구했다. 결의 5호 시행 9년을 평가하며 정치국은 “성장 모델이 3대 전략 돌파구(인프라·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