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알바그룹 아시아, 베트남에 가장 큰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건설

 

독일의 거대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회사인 알바가 이끄는 알바 그룹 아시아와 베트남 회사인 비엣사이클이 베트남에서 가장 큰 5천만 달러 규모의 식품 등급 PET/HDPE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을 공동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수요일 양측이 체결한 합의에 따라 연간 4만8000t 규모의 공장은 2024년이나 2025년 1단계 가동에 들어갈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채택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EU가 정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식품용 PET/HDPE 수지를 생산할 것이다.

 

2022년 비엣사이클은 하노이와 베트남 북부 박닌성, 홍옌성, 빈푹성에서 16,000톤 이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집하고 분류한다. 또한 UNDP, AEPW, 다우케미칼, IUCN, TCP 그룹, 펩시, 유니레버 등 많은 국제기업들과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양성평등 및 사회적 포용 프로그램을 조직하고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약 30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베트남의 육지에서, 그리고 연간 28만 톤에서 73만 톤의 바다에 버려진다.

 

같은 날 악셀 슈바이처 알바그룹 아시아 회장은 쩐시탄 하노이 시장과 만나 폐기물 처리 편의화에 대해 논의했다. 탄은 인구 1천만 명의 수도가 엄청난 양의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으며, 도시는 항상 녹색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폐기물 처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하노이가 이 분야의 투자자들을 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베트남은 많은 폐기물 처리와 폐기물 전력화 프로젝트를 환영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폐기물 솔루션(CWS)이 전액 출자한 베트남 폐기물 솔루션은 설계 용량 4만톤 규모의 롱안성 폐기물 처리 프로젝트에 7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하이퐁시는 2050년까지 비전을 갖고 2022~2025년 고형폐기물 처리에 관한 시의 최신 계획에 따라 2022~2027년 폐기물 대 발전소 2기에 대한 투자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하이안구 딘부 가공구역에 있는 9헥타르 규모의 폐기물 대 발전소 1호기는 하루 1천 톤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1단계에서는 20메가와트, 2단계에서는 40MW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빈바오 지구 쩐두옹 마을에 있는 10~20헥타르 규모의 폐기물 대 발전소 2호기는 하루 1000톤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용량은 20MW다.

 

지난 11월 용수 공급 회사인 비와세(Biwase)는 남부 산업 지역인 빈즈엉에서 폐기물 관리 및 에너지 효율 프로젝트를 위한 2천만 달러의 신규 자금 조달을 위해 개발 금융 기관을 이용했다. 아시아 개발 은행이 승인한 자금은 일본으로부터 700만 달러의 공적 개발 원조 대출, 일반 자본 자원으로부터 700만 달러의 추가 대출, 선도 아시아의 민간 인프라 펀드로부터 600만 달러의 대출로 구성되었다.

 

2022년 8월 네덜란드 폐기물 관리 회사 하베스트 웨이스트 비브이(Harvest Waste B.V)는 메콩 델타 속짱성에서 에너지 낭비 프로젝트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지방 당국은 하베스트 웨이스트와 베트남 기업 퍼시픽 그룹, 알파 인베스트먼트가 네덜란드 기술로 잔류 폐기물을 청정 전기로 바꾸는 프로젝트를 연구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승인했다. 선택된 프로젝트 장소는 미뚜(My Tu)지구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나라지식정보, K-헤리티지 AI 지식검색·문화콘텐츠 및 AX 본격화… 이스트소프트와 업무협약 체결
나라지식정보(대표 손영호)는 4일 AI 기반 지식검색 정보화와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이스트소프트 본사에서 양사 대표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스트소프트는 AI 휴먼·AI 더빙·AI 키오스크·에이전트(앨런 LLM), 페르소에이아이(PERSO.ai) 등을 보유한 AI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공공문화 콘텐츠 AX 사업 본격화를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사업과 공공기관의 AX(인공지능 전환) 구축 및 정보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양사의 협력 사업은 이스트소프트의 △‘AI 휴먼’ △자동 더빙 솔루션 ‘AI 더빙’ △지능형 디바이스 ‘AI 키오스크’ △에이전트 서비스 ‘앨런LLM’과 나라지식정보의 △공공사업 분야 노하우 △문화 데이터베이스 △헤리티지 콘텐츠를 기반으로 전개된다. 나라지식정보는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AI도 없다’는 모토 아래 국내 180여 기관 600여 건의 데이터 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AI OCR·RAG 지식검색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