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베트남 화장품 시장, 한국 기업에게 큰 잠재력

국내 화장품 업체들은 최대 해외시장인 중국 사업이 고전하면서 베트남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6월 26일 발표된 새로운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은 한국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기업의 잠재적 대체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코리아 헤럴드에 따르면 한국의 아름다움은 그들의 가장 큰 해외 시장인 중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화장품협회 자료에 따르면 1~5월 한국 화장품의 대베트남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4% 증가한 1억8750만달러에 달했다. 이는 역대 최고 성장률이기도 하다. 한국 화장품의 대미 수출액은 4억2512만달러로 같은 기간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25.7%)을 달성했고, 홍콩으로 수출은 16.7% 증가한 238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한국 최대 화장품 수출국인 중국(12억달러)은 올해 1~5월 동기 대비 25.7% 감소했다. 또한 한국의 대일본 화장품 수출도 같은 기간 5.3% 감소한 3억239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국 화장품은 많은 베트남 사용자들이 선택하고 있다. (사진: 아모레퍼시픽).

 

추가 자료를 보면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의 베트남 내 활동이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 상무부의 집계에 따르면 베트남 수입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30%로 가장 높고, 유럽연합(23%), 일본(17%), 태국(13%), 미국(10%), 베트남 수입(30%), 유럽연합(23%), 일본(17%), 태국(13%), 미국(10%) 순이다.

 

현재 베트남 뷰티 시장에서 소비되는 화장품의 약 90%가 해외 브랜드에서 나온다. 최근 한국국제문화교류원도 19세에서 59세 사이의 베트남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따라 조사 응답자의 91.2%가 지난 1년간 한국 화장품을 최소 1개 이상 구입했다고 답했다. 이중 68.8%가 한국산 뷰티 제품을 정기적으로 구입한다고 답했다.

 

한국 기업에게 베트남 화장품 시장의 잠재력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 뷰티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베트남이 정말로 중국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화장품 회사들의 대체 시장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의 가장 큰 시장은 중국이다.

 

한국 화장품 회사들은 2017년과 2018년에 중국에서 미용 제품 판매를 주도했다. 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중국 국내 상품의 전반적인 품질이 증가한 후, 중국과 한국 사이의 정치적 긴장이 장기화됨에 따라, 한국에서 유래된 뷰티 제품의 구매를 제한하는 경향이 중국 시장에서 점점 더 일반화 되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은 국내에서 만들어진 미용 제품들을 더 많이 구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불안정한 세계 경제 때문에 중국 사용자들은 필수적이지 않은 제품에 대한 지출도 줄인다. 이러한 것들이 한국 화장품 회사들이 중국에서 어렵게 만들었다.

 

아모레퍼시픽과 같은 국내 뷰티 대기업들이 지난해 전 세계 매출의 약 50%를 차지하는 중국 내 매출이 35% 감소한 가운데, 한국 뷰티 기업은 중국 이외의 국가로 눈을 돌려 '역전'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화장품 산업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손실된 매출을 만회하기 위해 베트남에서 사업을 확장하는 한국의 화장품 회사들이 중국 소비자들의 절대적인 구매력을 고려할 때 많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관련 콘텐츠의 인기가 높아지고 소셜 미디어의 확산에 힘입어 베트남 뷰티 시장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화장품과 미용 회사들의 베트남 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가 유망하다고 여겨진다."라고 한국 화장품 업계의 한 관계자가 말했다.

 

독일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내년 베트남 뷰티 시장 규모는 27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된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비즈플레이, B2E 솔루션 ‘bzp비플식권 서비스’ 편의성·효율성·만족도 제고 효과로 기업 시장 파고든다
Expense 비용관리 Total 서비스 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bzp비플식권 서비스’를 통해 기업 식대 운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bzp비플식권 서비스는 지정식당 장부 작성, 종이식권 발급 및 관리, 제한된 구내식당 이용 등 기존 식대 운영 방식의 비효율을 해소한 모바일 기반 전자식권 솔루션이다. 전국 80만 개 제로페이 가맹점과 편의점, 대형 프랜차이즈 등 비즈플레이 제휴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배달앱 ‘요기요’와 연계한 배달·포장 주문도 지원해 임직원의 식사 선택권을 획기적으로 확대했다. 임직원들은 별도의 종이식권이나 법인카드 발급 없이 전용 앱 설치만으로 식권 포인트를 자동 연동해 QR코드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사무실은 물론 재택근무, 외근, 파견, 지사 근무 등 다양한 근무 형태에서도 유연한 식대 지원이 가능해져 직원 만족도가 크게 향상됐다. 기업 관리자는 △일/회/월 한도 설정 △업종 및 지역별 가맹점 조건 설정 △사용 내역 실시간 확인 △부서별 사용 내역 자동 집계 △정산 및 회계 연동 처리 등 다양한 관리 자동화 기능으로 식대 관리 업무 부담을 줄이고 예산 집행의 투

문화연예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