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업

[제약산업] 베트남 제약사 3분기 이익 감소 기록

 

베트남의 의약품 생산업체들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분기 이익이 가파르게 감소했으며 일부는 4분기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호치민 증권거래소(HoSE)에 DHG로 상장된 하우장 제약 JSC(DHG Pharma)는 3분기 매출이 5.3% 감소한 1조1000억동(4480만 달러)에 육박했다고 발표했다. 총이익률은 2분기 49.8%에서 3분기 46.8%로 감소했고, 영업과 관리비는 전년 동기 대비 13%, 29% 증가했다. 이에 따라 3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6.6% 감소한 1660억 동(676만 달러)을 기록하며 최근 3년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따이제약(HaTay Pharmaceutical, HoSE: DHT)은 3분기 매출은 4790억동(1950만동)으로 3% 감소했고, 순이익은 180억동(73만3300달러)으로 21% 급감해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노이증권거래소(HNX)에 DP3로 상장된 중앙제약합작주식회사 3(포리팜)과 이멕스팜(HoSE:IMP)은 최근 4분기 이익이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전년 동기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포리팜은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한 910억동(370만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판매 및 관리 비용은 각각 27%, 18% 감소한 290억동(118만달러)와 120억동(48만8900달러)를 기록했다. 그 덕분에 순이익은 16% 증가한 190억동(77만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일부 사업은 3분기에 더 높은 수익과 이익을 얻으며 상승세를 탔다. 이멕스팜(HoSE:IMP)은 3분기 매출이 12% 증가한 4670억동(1900만달러), 순이익은 25% 증가한 700억동(285만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확대 전략과 제품 포트폴리오 구조조정, 판매·관리비 효과적 통제 등에 힘입어 순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비상장공기업시장(UPCOM)에 DAN으로 등록된 다나파제약 JSC는 3분기 이익이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310억동(126만달러)를 기록했다. 매출 13% 증가, 총이익률 개선, 매출원가 44% 인하 등이 이익 급증의 주요 요인이었다.

 

다나파는 개발 방향에서 유럽 국가, 동남아, 태국, 일본, 한국 등으로 수출 시장을 확대하고 한방·정신의약품 윤리의약품 채널(ETC)을 유지·개발하며, 장외시장(OTC) 채널을 추진해 커버리지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상반기 좋은 실적에 힘입어 9개월 동안 많은 제약사가 여전히 성장세를 기록했고, 심지어 몇몇 제약사는 연간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기도 했다.

 

하타파(Hataphar)는 9개월 만에 연간 세전 이익 계획을 12% 초과하여 전년 대비 14% 증가한 900억동(37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나파(Danapha)는 2023년 세전 이익 목표를 52% 초과하고 80%의 이익 성장을 달성하여 940억동(383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멕스팜은 2860억동(1165만달러)로 올해 이익 목표의 94%를 달성했으며, DHG제약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8670억동(3532만달러)로 올해 세전 이익 목표의 77%를 달성했다.

 

OTC 채널의 손실

 

소비자 소득 감소로 인한 구매력 약화는 제약산업, 특히 장외 채널에 영향을 미쳤다.

 

이멕스팜에 따르면 장외시장의 구매력은 1분기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2분기부터 감소했다. 장외채널이 회사 매출의 58%를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DHG제약은 또 경제난으로 구매력이 떨어져 제약 등 많은 부문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장기 전략을 펼치기 위해 신제품 개발에 투자함으로써 비용을 끌어올렸다. 이에 최근 2022년 공산품 매출의 13%를 차지하는 ETC 채널을 밀어붙였다.

 

ETC 채널은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FPT 증권에 따르면 ETC는 의약품 시장 가치의 70%를 차지하는 주요 유통 채널이며 건강 보험 보장률이 높아짐에 따라 이 역할을 계속할 것이다.

 

2022년 보건부는 의약품 부족을 완화하고 ETC가 장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법적 문서를 발행했다.

 

그 결과, 이멕스팜에 따르면, 2분기 마지막 몇 달 동안 ETC 입찰 활동이 활성화되어 많은 국내 제약 제조업체에 긍정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비즈플레이, B2E 솔루션 ‘bzp비플식권 서비스’ 편의성·효율성·만족도 제고 효과로 기업 시장 파고든다
Expense 비용관리 Total 서비스 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bzp비플식권 서비스’를 통해 기업 식대 운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bzp비플식권 서비스는 지정식당 장부 작성, 종이식권 발급 및 관리, 제한된 구내식당 이용 등 기존 식대 운영 방식의 비효율을 해소한 모바일 기반 전자식권 솔루션이다. 전국 80만 개 제로페이 가맹점과 편의점, 대형 프랜차이즈 등 비즈플레이 제휴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배달앱 ‘요기요’와 연계한 배달·포장 주문도 지원해 임직원의 식사 선택권을 획기적으로 확대했다. 임직원들은 별도의 종이식권이나 법인카드 발급 없이 전용 앱 설치만으로 식권 포인트를 자동 연동해 QR코드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사무실은 물론 재택근무, 외근, 파견, 지사 근무 등 다양한 근무 형태에서도 유연한 식대 지원이 가능해져 직원 만족도가 크게 향상됐다. 기업 관리자는 △일/회/월 한도 설정 △업종 및 지역별 가맹점 조건 설정 △사용 내역 실시간 확인 △부서별 사용 내역 자동 집계 △정산 및 회계 연동 처리 등 다양한 관리 자동화 기능으로 식대 관리 업무 부담을 줄이고 예산 집행의 투

문화연예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