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건강과학

호치민시 평균 수명 전국에서 가장 높다.

4년 전만 해도 베트남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은 73.6~73.7세 수준에 불과했지만
2023년에는 74.5세로 늘어났다.

 

최근 발간된 종합통계청 통계연보에서 베트남의 2023년 평균 인구는 1억30만명으로, 2022년 대비 0.85% 증가해 841.3천명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3년 베트남 국민의 출생 시 평균 기대수명은 74.5세로 이중 남성은 72.1세, 여성은 77.2세이다. 2022년 대비 평균 기대수명은 1세 가까이 증가했는데, 이중 남성은 1세, 여성은 0.8세 증가했다.

 

베트남인의 기대수명이 증가하고 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베트남 국민의 평균 수명은 73.6~73.7세로, 여성이 남성보다 5년 정도 더 오래 산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남자(세) 71 71 73.6 73.6 74.5
여자(세) 76.3 76.4 71.1 71.1 72.1
평균(세) 73.6 73.7 76.4 76.4 77.2

 

지역별로는 동남권이 전국에서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76.3세)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중부고원(72세)이다.

 

도시및 지방 별로 보면, 호치민 주민들의 기대수명이 76.5세로 전국에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바리아-붕따우와 동나이가 각각 76.4세와 76.3세로 뒤를 이었다. 하노이의 평균 기대수명은 76.1세로 전국 평균보다 높다.

 

한편, 기대 수명이 가장 낮은 주는 디엔비엔(Dien Bien), 라이짜우(Lai Chau), 꼰뚬(Kon Tum)이다. 이 지방 사람들의 평균 기대 수명은 각각 69.9세, 69.8세, 69.7세로 70세를 넘지 않았다.

 

통계청은 공공의료 개선으로 인구의 질이 향상되고 평균수명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2022년 전국 병상 수는 31만 5,600병상(중앙단위 병상 수 제외)으로 2021년 대비 2.5% 증가하였으며, 인구 1만 명당 평균 병상 수는 31.7병상으로 1.8% 증가하였다. 의사 수는 99.6천 명으로 1.6% 증가했고, 인구 1만 명당 평균 의사 수는 10명으로 2021년 대비 0.7% 증가했다.

 

2022년 모든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만 1세 미만 아동의 비율은 87.6%로 2021년 대비 0.5%포인트 증가했다. 만 5세 미만 아동의 체중 대비 영양실조 비율은 10.8%로 2021년 대비 0.4%포인트 감소하고, 만 5세 미만 아동의 키 대비 영양실조 비율은 19%로 0.2%포인트 감소했다.

 

병을 안고 사는 세월은 여전히 높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베트남의 평균수명이 이 지역의 평균수명(72세)보다 높아 싱가포르(83세), 브루나이(78세), 태국(76세)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보건부는 정부에 보낸 질병예방법 사업 개발 제안서에서 베트남 국민의 질병을 안고 사는 연수는 여러 가지 이유로 여전히 높다고 밝혔다.

 

첫째, 불합리한 영양제도는 베트남 국민의 신체 발달과 키를 제한하고 영양과 관련된 비전염성 질병의 증가로 이어진다.

 

둘째, 많은 베트남 사람들 사이에서 비전염성 질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보건부가 2021년 전국 비전염성 질환 위험 요인에 관한 조사(STEPS)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 15세 이상 인구의 20.8%가 흡연자이며, 남성은 41.1%, 여성은 0.6%이다. 인구의 약 1/3(37.3%)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었다.

 

남성의 거의 2/3(64.2%)와 여성의 1/10(9.8%)이 술을 마신다. 약 14.7%의 사람은 해로울 정도로 술을 마신다. 이 비율은 남성(28.5%)이 여성(1.0%)보다 훨씬 높다.

 

인구의 약 59%가 하루 권장량인 400g에 비해 충분한 야채와 과일을 섭취하지 않는다. 요리할 때나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 액젓, 짠 양념을 항상 또는 자주 첨가하는 사람의 비율은 78.2%이다. 보통 성인은 하루에 8.1g의 소금을 섭취하는데,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양의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한편, 인구의 신체 활동 수준은 여전히 ​​​​낮다. 인구의 거의 4분의 1(22.2%)이 신체 활동이 부족하다(WHO가 권장하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함). 인구의 거의 5분의 1(19.5%)이 과체중이고, 그 중 2.1%가 비만이다.

 

셋째, 보건부에 따르면 베트남 인구의 기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으로는 환경 오염, 위생적인 ​​화장실 이용 부족, 깨끗한 물 등이 있다. 또한, 개인위생과 환경위생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여전히 제한되어 있어 위험한 감염병이 발생하고 질병이 증가할 위험이 있다. 또한, 기후 변화와 폭염, 가뭄, 태풍, 홍수와 같은 기상 이변도 많은 지역사회의 건강에 영향을 미쳐 입원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나라지식정보, K-헤리티지 AI 지식검색·문화콘텐츠 및 AX 본격화… 이스트소프트와 업무협약 체결
나라지식정보(대표 손영호)는 4일 AI 기반 지식검색 정보화와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이스트소프트 본사에서 양사 대표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스트소프트는 AI 휴먼·AI 더빙·AI 키오스크·에이전트(앨런 LLM), 페르소에이아이(PERSO.ai) 등을 보유한 AI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공공문화 콘텐츠 AX 사업 본격화를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사업과 공공기관의 AX(인공지능 전환) 구축 및 정보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양사의 협력 사업은 이스트소프트의 △‘AI 휴먼’ △자동 더빙 솔루션 ‘AI 더빙’ △지능형 디바이스 ‘AI 키오스크’ △에이전트 서비스 ‘앨런LLM’과 나라지식정보의 △공공사업 분야 노하우 △문화 데이터베이스 △헤리티지 콘텐츠를 기반으로 전개된다. 나라지식정보는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AI도 없다’는 모토 아래 국내 180여 기관 600여 건의 데이터 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AI OCR·RAG 지식검색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