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건강과학

마늘을 먹는 것은 매우 좋지만 6가지 음식과 함께 먹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그렇지 않으면 "독"이 될 것이다.

마늘은 매우 좋지만 매일 아침 최대 1쪽만 먹어야 한다. 동시에 마늘은 임의로 조합해서는 안된다. 아래는 몇 가지 금기 사항이다.

 

 

생마늘을 먹으면 혈관이 깨끗해지고 암을 예방


모두가 마늘 냄새를 두려워하고 보통 익힌 마늘만 먹는다. 하지만 사실 생마늘이 모든 영양소를 유지한다.

 

아직 위가 비어 있기 때문에 아침은 생마늘을 먹기에 "황금 시간"이다. 마늘의 특성은 체내의 좋은 박테리아에 영향을 미쳐 활동을 자극한다.

 

아침에 마늘을 먹는 것은 혈관을 정화하는 능력으로 유명하다. 중국인들은 혈관을 "장수의 근원"으로, 마늘을 "혈관 보호의 왕"으로 여긴다. 마늘을 규칙적으로 먹으면 75세가 되어도 병이 두렵지 않다. 매일 아침 생마늘을 규칙적으로 먹는 습관은 혈관 운동성을 촉진하고, 신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혈액을 정화하고, 혈액 속 독소를 배출하는 데 매우 좋은 효과가 있어 혈관을 건강하게 만든다.

 

동시에 마늘은 유방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미국 버팔로 대학교(UB)의 과학자들은 마늘을 정기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이 유방암 위험을 67% 줄일 수 있는 징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마늘은 매우 좋지만 매일 아침 마늘을 최대 1쪽만 먹어야 한다. 동시에 마늘을 임의로 조합해서는 안 되며, 아래는 몇 가지 금기 사항이다.

 

마늘과 결합해서는 안 되는 식품

 

1. 치킨

의사 부이닥상(베트남 한의학 협회)에 따르면 많은 지역에서 닭고기를 약간 소금에 절이고, 말린 양파나 마늘을 다지는 관습이 있지만 이는 잘못된 조합이라고 한다. 동양의학에서 마늘은 맵고 따뜻하며 약간 독이 있다. 닭고기도 따뜻하다. 이 조합은 극심한 열을 유발하여 신체를 소화하기 어렵게 만들고 변비와 이질을 쉽게 유발한다.

 

2. 파

상 박사는 마늘을 파와 함께 생으로 먹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 두 가지를 함께 먹으면 소화 건강에 좋지 않고 설사와 복통을 유발한다. 그러나 둘 다 가열하여 조리하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3. 양고기

마늘과 양고기는 따뜻한 재료로 함께 먹으면 몸이 건조하고 뜨거워질 수 있으며 특히 여름에 먹으면 몸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4. 잉어

잉어는 영양가 있고 맛있는 음식이지만 생선을 마늘로 양념해서는 안 되며 생강과 딜만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유는 잉어는 중성적인 성격과 마늘과 잘 어울리지 않는 달콤한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마늘을 첨가하면 쉽게 더부룩해질 수 있다.

 

5. 알코올

마늘과 알코올은 모두 더운 음식이다. 함께 사용하면 몸이 피곤하고 짜증이 나고 현기증이 나고 불편해질 수 있다.

 

6. 개고기

개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이므로 매콤하고 매운 마늘과 결합하면 팽창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대신 개고기는 갈랑갈, 레몬그라스, 생강과 결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마늘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 사람들

 

위장 문제, 설사, 마늘 알레르기, 임산부, 저혈압, 안과 질환이 있는 환자는 생마늘을 먹으면 안된다. 마늘은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매운 음식이기에 심각한 병에 걸린 사람은 마늘을 조리해 먹어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마늘의 성분이 약물의 영향에도 영향을 미쳐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을 복용하는 경우 마늘을 먹기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베트남

더보기
[베트남 사랑] 달랏에 머물며 행복의 소리를 듣다
8월 쏟아지는 비 속에서 쓴맛 나는 커피를 마시며 하얀 계곡을 바라보는 최영숙 박사의 눈빛에는 달랏의 꽃과 안개 속에서 행복의 목소리를 듣는 결의가 서려 있다. 한국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직을 포기하고 베트남 달랏으로 이주한 최영숙 박사(전 대구대 교수)는 장애아동 교육에 평생을 바치기로 한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남편 권장수 씨와 함께 수십억 동을 투자하며 현지 장애아동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영숙 박사는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 부총장 임명 준비 단계에 있었으나, 2007년 베트남 방문 후 모든 것을 바꿨다. 람동성 교육훈련부와 달랏 농아학교, 지적장애아동학교 교장단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의 열악함을 목격한 것이 계기였다. "시설 부족, 전문 커리큘럼 부재, 그리고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내 인생의 모든 결정을 바꿔놓았다"고 최 박사는 회상했다. 그녀의 결심에 남편 권장수 씨(한국 자동차 사업가)도 동참했다. 성공적인 사업을 접고 2009년 중반 베트남으로 이주한 권 씨는 "아내가 불우아동 돕는 의미 있는 일을 원한다고 하자, 망설임 없이 결정했다. 많은 이들이 이상하다고 했지만, 우리는 항상 함께해야 했다"고 말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