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17.7℃
  • 구름많음강릉 19.0℃
  • 연무서울 18.1℃
  • 맑음대전 19.3℃
  • 맑음대구 19.5℃
  • 맑음울산 20.1℃
  • 맑음광주 20.8℃
  • 맑음부산 22.8℃
  • 구름조금고창 19.4℃
  • 맑음제주 21.7℃
  • 구름조금강화 17.4℃
  • 맑음보은 19.4℃
  • 맑음금산 19.0℃
  • 맑음강진군 21.4℃
  • 맑음경주시 20.5℃
  • 구름조금거제 19.4℃
기상청 제공

베트남 대학 17개, 2025년 QS 아시아 대학 순위에 등재

교육 평가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QS가 발표한 순위에서 다낭의 두이떤(Duy Tân) 대학교는 베트남의 최고 순위 기관으로 전년 대비 10계단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127위를 차지했다.

 

 

베트남은 2025년 Quacquarelli Symonds(QS) 아시아 대학 순위에 17개 대학을 올렸으며, 작년보다 2개 기관이 증가했다.

 

교육 평가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QS가 발표한 순위에 따르면, 두이떤 대학이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기관으로 꼽혔으며, 전년보다 10계단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127위를 차지했다. 하노이 베트남 국립 대학(161위)과 호치민시 베트남 국립 대학(184위)이 뒤를 이었고, 똔득탕 대학도 199위로 상위 200위에 들었다.

 

300-500위 범위에 포함된 다른 대학으로는 응우옌떳탄 대학(333위), 후에 대학(348위), 호치민 경제 대학(369위), 하노이 과학기술대학(388위)이 있다. 올해 주목할 만한 변화로는 똔득탕 대학이 61위 하락한 반면, 반랑 대학과 호치민 산업 대학은 각각 200위 이상 상승하여 상당한 상승을 보였다.

 

QS 아시아 순위에서 상위 4개 순위는 작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베이징 대학(1위), 홍콩 대학(2위), 싱가포르 국립 대학(3위), 난양 기술 대학(4위)이 선두를 달렸다.

 

중국은 Peking University(1위), Fudan University(5위), Tsinghua University(7위), Zhejiang University(8위) 등 상위 10위권에 4개 대학이 포함되어 지역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상위 10위권에 2개 기관이 있으며, 싱가포르 국립대(3위)와 난양 이공대(4위)가 있다. 한국은 상위 10위권에 연세대학교만 포함되어 있지만, 상위 20위권에 가장 많은 대학이 포함되어 있으며, 6개 기관이 포함되어 있다.

 

QS Asian University Rankings 2025는 29개국 및 영토의 984개 대학을 선정하여 학문적 평판, 고용주 평판, 교수/학생 비율, 국제 연구 네트워크, 논문 인용 및 국제적 다양성을 평가했다. 학문적 평판은 30%로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갖는다. QS는 Times Higher Education(THE) 및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ARWU)와 함께 3대 글로벌 대학 순위 기관 중 하나이다.


베트남

더보기
민간항공청, '표준' 휴대 수하물 저울 사용 요구
베트남 민간항공국(CAAV)이 항공사와 지상조업사에 대해 “기내 수하물 검사 절차를 재점검하고, 표준화된 저울을 사용할 것”을 공식 지시했다. 외형적 ‘품격’까지 고려한 조치다. 이번 조치는 지난 11월 5일 민항국이 발표한 ‘기내 수하물 점검 절차 검토 통보’에 따른 것이다. 이는 국영항공사 베트남항공(Vietnam Airlines)이 11월 3일부터 탑승구에서 초과 기내 수하물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 시작한 지 이틀 만에 내려진 후속 조치다. “탑승구서 저울 들고 검사”… 승객들 불만 폭주 최근 베트남항공이 탑승 수속 카운터가 아닌 탑승구(Gate)에서 무작위로 기내 수하물 무게를 재며 추가 요금을 받자, 현지 여행객들과 블로거들 사이에서 “비전문적이며 승객 불편을 초래한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하노이관광협회 응우옌띠엔닷 부회장은 “일부 항공사가 탑승구에서 ‘시장 저울’로 무게를 재는 장면은 항공사 이미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서비스 품격을 해치는 우스꽝스러운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민항국 “표준 장비 사용·승객 편의 확보하라” 민항국은 국내외 항공사와 공항 운영사, 지상조업사 등에 공문을 발송, 탑승수속 및 탑승구 통제 절차를 전면 점검할 것을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