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2℃
  • 구름조금강릉 9.4℃
  • 구름조금서울 6.2℃
  • 구름많음대전 4.8℃
  • 구름많음대구 3.2℃
  • 맑음울산 6.1℃
  • 구름많음광주 6.6℃
  • 맑음부산 11.2℃
  • 구름조금고창 3.5℃
  • 맑음제주 11.4℃
  • 구름많음강화 5.6℃
  • 흐림보은 1.2℃
  • 구름많음금산 1.8℃
  • 구름많음강진군 4.2℃
  • 맑음경주시 2.2℃
  • 구름많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건강과학

달걀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견과류 3가지

땅콩, 아몬드, 피스타치오는 다양한 식단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달걀 대신 단백질이 풍부한 대안이다.

 

건강 뉴스 플랫폼 Eating Well은 달걀이 1인분에 약 6g의 단백질을 함유한 단백질 강자로 유명하다고 지적한다. 달걀은 종종 다른 식품의 단백질 함량을 평가하는 벤치마크로 사용되지만 특정 견과류는 아래 세 가지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이 표준과 일치하여 작고 영양분이 풍부한 에너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1. 땅콩

땅콩은 엄밀히 말하면 콩과 식물이지만 맛과 영양가가 비슷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견과류로 분류된다. 땅콩 1온스(29g) 1인분은 단백질 7g과 섬유질 2g을 제공하므로 포만감을 주는 간식으로 훌륭한 선택이다. 메디컬 뉴스 투데이에 따르면 땅콩에는 필수 비타민과 미네랄도 풍부하다. 땅콩의 영양학적 이점에는 심장 건강 지원, 혈당 수치 관리 등이 포함된다.

 

2. 아몬드

 

 

아몬드 역시 온스당 6g(약 23개 아몬드)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어 눈에 띄는 제품이다. 단백질 외에도 23개 아몬드는 하루 권장 섬유질 섭취량의 10%를 초과하는 3.5g의 섬유질도 전달한다. 또한 항산화제와 심장 건강에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피스타치오

피스타치오는 다양한 요리의 풍미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껍질을 벗기지 않은 견과류 1온스당 6g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다는 점도 특징이다. 피스타치오는 단백질 외에도 상당한 양의 칼륨, 비타민 B6, 망간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피스타치오는 유익한 박테리아 수치를 향상시켜 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한다.

 

견과류는 달걀보다 칼로리 함량이 높지만 단백질,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을 포함한 포괄적인 영양소 프로필로 인해 균형 잡힌 식단에 귀중한 추가 요소가 된다. 단백질, 복합 탄수화물, 섬유질, 건강한 지방을 혼합한 다양한 식단을 수용하는 것은 최적의 건강을 위해 필수적이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테크놀리지] 삼성, 세계 최초 트라이폴드폰 12월 5일 출시…가격 3000달러, 중국·싱가포르 등 한정 시장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 트라이폴드(3단 접이식) 스마트폰을 이르면 12월 초 선보일 전망이다. 고가 전략으로 기술력을 과시하며 애플 폴더블 아이폰 출시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포니어라(PhoneArena)는 한국 내 두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의 첫 트라이폴드폰(가칭 갤럭시 G 폴드)이 12월 5일 출시된다고 13일 보도했다. 삼성은 보통 12월 언팩드 행사를 열지 않지만, 이번에는 소규모 런칭 행사로 제품 특징·스펙·가격을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갤럭시 G 폴드는 초기 중국·싱가포르·UAE·한국 등 한정 시장에서만 판매되며, 한국 내 가격은 약 440만 원(3000달러)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삼성의 초기 판매 목표는 2만~3만 대에 불과해 대량 생산보다는 기술 시연 목적이 강하다. 제품은 10월 말 서울 K-테크 쇼케이스에서 공개됐으며, 'G-타입' 디자인을 채택해 내측으로 접히는 구조로 내구성과 품질을 강조했다. 이는 화웨이 메이트 XT의 'S-타입' 외측 접이식과 차별화된다. 다만 시장 출시 전이어서 어느 방식이 우위인지 평가하기는 이르다. 접었을 때 6.5인치 스마트폰 크기, 펼쳤을 때 10인치 태블릿에 해당하며, 한국경제신문

문화연예

더보기
데블스캔디,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peep’ 론칭… 캐릭터 엔터테크 기업으로 도약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기업 데블스캔디(Devil’s Candy)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eep)’을 공식 론칭하며 ‘캐릭터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힙핍’은 사막에서 살아남는 작고 엉뚱한 개구리 캐릭터로, 잘하는 건 없지만 생존력 하나만큼은 강한 자연계의 최약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다. 이 캐릭터는 대사 없이 표정과 상황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넌버벌(non-verbal) 3D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전개되며, 유튜브 및 글로벌 숏폼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데블스캔디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술 기반의 콘텐츠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 캐릭터의 행동·표정·스토리 생성 과정 전반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이를 통해 짧은 기간 안에 다수의 에피소드와 캐릭터 변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AI-IP 프로덕션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데블스캔디 이동석 대표는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상상력을 현실로 확장시키는 엔진”이라며 “‘힙핍’을 시작으로 기술과 감성이 결합된 IP 비즈니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K-엔터테크 스튜디오로 성장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