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시장은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며 고도로 숙련된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작년 미화 250억 달러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22% 성장했으며, 현재 상품 및 소비자 서비스 부문 전체 소매 매출의 약 9%를 차지하고 있다.
산업통상부 산하 베트남 전자상거래·디지털경제국 산하 전자상거래·디지털기술개발센터(eComDX)의 응웬흐우뚜언 소장은 화요일 하노이에서 열린 디지털 시대의 기술 관리 워크숍에서 전자상거래 인력이 현재 부족하고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뚜언 소장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간의 '주문형' 교육 모델이 잠재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이론적 지식과 실무 중심의 교육을 동시에 제공하여 노동력 수급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유연한 모델로, 시장 수요를 충족한다.
그러나 이 모델이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되려면 국가와 기업 간에 명확하고 투명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그는 말했다.
그는 '주문형' 교육 프로그램조차도 기본 지식과 핵심 기술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자상거래 환경에 장기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전자상거래 교육 프로그램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의 적용 덕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대학은 전자상거래 분야의 AI 응용,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금융 분야의 AI, 빅데이터 관리 및 분석 등 신기술 관련 과목을 교과 과정에 통합하기 시작했다.
베트남 전자상거래 및 디지털 경제청(Việt Nam E-commerce and Digital Economy Agency)은 기업과 지방 자치 단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전자상거래 활동에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인식을 높이고 역량을 강화했다.
국내 정책 관점에서 중앙경제관리연구소(CIEM)의 응웬민타오(Nguyễn Minh Thảo) 박사는 베트남이 디지털 경제 발전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디지털 인재 부족, 혁신 역량 부족, R&D 투자 촉진 정책의 불일치 등 여전히 수많은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타오 박사는 "빠르고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관들이 기술에 앞서 나가야 한다. 정책 실험 공간을 확대하고, 샌드박스 모델을 장려하고, 기업을 지원하는 소프트 정책을 개발하는 동시에 디지털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시스템적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결의안 57-NQ/TW가 디지털 전환, 혁신, 과학기술을 국가 발전의 3대 전략적 돌파구로 처음으로 제시한 정치적 전환점이라고 덧붙였다.
베트남은 2030년까지 AI 연구 역량 부문에서 아세안 3대 국가 중 하나가 되고, 2045년까지 디지털 경제가 GDP의 최소 50%를 차지하도록 목표를 설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