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패스트푸드산업】주요 프라이드 치킨 체인점 작년 11% 성장

베트남의 가장 인기 있는 3대 치킨집 체인점은 작년 총 4조 3천억 동(1억 855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는데, 이는 전년 대비 11% 이상 증가한 것이다.

한국 브랜드 롯데리아는 1조 6800억 동(7250만 달러)로 전년대비 거의 8% 증가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30여 개 지역에서 210여 개로 베트남에서 가장 많은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롯데리아의 실적은 2018년과 2017년 2% 정도에서 개선은 되었지만 2014-2016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작았다.

 

그 뒤를 미국 브랜드 KFC가 전년대비 1.3% 증가한 거의 1조 5000억 동(643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2018년과 2017년 각각 7.5%, 18.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세 곳 중 가장 빠르게 베트남에 진출한 KFC는 32개 지역에 14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1조 1천억 동의 매출을 올린 3위는 필리핀 브랜드 졸리비가 차지했다. 100개가 넘는 아울렛을 보유한 졸리비는 전년 대비 4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3사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최근 3년간 연평균 37%가 넘는 성장률을 보여 KFC(4%)와 롯데리아(5%)의 몇 배에 이른다.

 

그러나 세 체인 중 KFC만이 작년에 1020억 동의 세전 이익을 기록했으며 4년 연속 이익을 창출했다. 롯데리아와 졸리비 모두 최근 5년간 적자를 보고 있다. 지난해 두 체인은 각각 220억 동과 100억 동의 손실을 보고했다.

시장 관측통들은 최근 몇 년간 패스트푸드 체인의 성장세가 둔화된 것은 편의보다 건강을 우선시하는 베트남인들의 식습관이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은 앞서 보고서에서 베트남인들이 건강을 부유함 대신 성공의 신호로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식품 오염 사례의 증가와 환경 문제 또한 사람들이 건강 문제에 더 관심을 갖도록 부추겼다고 이 보고서는 말했다.

 

식음료 사업에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회사인 Dcorp R-Keeper에 따르면, 2018년 베트남에 7000개의 패스트푸드점, 43만개의 노점상, 8만개의 식당, 2만 2천개의 카페와 술집으로 구성된 약 54만개의 식음료 업소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였다. 

-브앤익스프레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바이슈코, T우주 전용상품 ‘T우주패스 FREE 위드 바이슈코’ 출시
청담글로벌의 자회사인 바이슈코(대표 김희은)가 SK텔레콤과 제휴를 맺고 ‘T우주’ 전용 상품 ‘T우주패스 FREE 위드 바이슈코’(월 구독료 0원)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T우주는 SK텔레콤이 운영하는 통합 구독 플랫폼으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음악·쇼핑 등 다양한 분야의 구독서비스를 하나의 요금제로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T우주 앱 설치 시 0원에 ‘T우주 패스 FREE’ 이용이 가능하며, 통신사가 다르더라도 누구나 가입 및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바이슈코는 글로벌 뷰티 브랜드 직구몰을 운영하는 회사로, 해외의 뛰어난 뷰티 브랜드 제품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슈코가 T우주에 입점함에 따라 바이슈코에서 제공하는 할인쿠폰을 통해 T우주에서 간편하게 해외 뷰티 브랜드 제품을 접할 기회를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희은 바이슈코 대표는 “T우주 입점을 통해 새로운 고객을 창출할 수 있고, 확장된 고객층에게는 뛰어난 해외 뷰티 브랜드 제품을 제공할 기회가 증대할 것으로 본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증대와 그 고객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순환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바이슈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