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아이폰16을 출시하면 베트남 시장을 최우선 순위에 올려놓고 첫 애플스토어를 열 수 있다.
"최근의 발전은 애플이 베트남 사용자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라고 한 소매 시스템의 대표는 말했다. "현재 개발 속도라면, 베트남은 2024년까지 최고 수준의 우선 시장이 될 자격을 얻을 수 있다. 그 때 회사는 애플 스토어를 열고 아이폰과 다른 제품들을 팔기 시작할 것이다. 미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호주와 같은 중요한 시장들과 동시에..." 다만 이는 애플의 목표일 뿐 공식 계획이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애플 제품업계는 베트남에 애플스토어가 문을 열지도 모른다는 소문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조만간 현실화될 것이라는 신호가 많다. "이전에는 Tier 4-5(Apple 우선 순위 등급)였고, 최근에는 Tier 3이며 Tier 2로 진입하는 단계였다. 일부 제품 및 서비스 정책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미 2단계이다."라고 공인된 애플 대리점의 대표는 말했다.
싱가포르에 있는 애플 스토어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은 태국과 싱가포르에 이어 애플 스토어를 열 수 있는 다음 잠재 시장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애플이 고려해야 할 중요한 포인트는 베트남이 현재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판매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애플 제품 사용자 비율도 높다는 점이다.
애플은 현재 애플스토어, 애플 모노스토어, AAR(Apple Authorized Retailer), APR(Apple Premium Retailer) 등 주력 모델로 제품을 전 세계에 판매하고 있다. 애플 스토어를 제외한 나머지 모델은 모두 서드파티 인증이며 베트남에서 구입할 수 있다.
특히 지난 2년간 모노스토어 모델은 F 스튜디오, 모바일 월드, 퓨처 월드, 이디지 또는 샵덩크.와 협업해 애플 제품만 판매하는 매장으로 꽃을 피웠다. 애플은 소매 시스템 외에도 셀폰S 펀폰이 탑재된 ASP 모델을 통해 베트남에서 보증 및 수리 서비스를 승인한다.
일부 소식통은 애플이 베트남 애플스토어 개점지를 거듭 조사했다고 전했다. 이 조사 회사는 호안끼엠 호수 ,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하노이 또는 호찌민시 지하철 1구역의 쇼핑센터에 문을 열기로 선택했다. 특히 하노이는 면적과 규모 면에서 적합한 부지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는 반면 호찌민시는 경제 중심지로 선택지가 넓다.
애플 스토어에는 제품을 판매하는 것 외에도 새로운 제품 기능과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 하는 별도로 장소가 마련되어 있다.
애플스토어는 애플 제품을 모두 판매하는 곳으로 회사가 직접 운영·관리하고 있다. 쇼핑뿐만 아니라 '애플'의 상징인 아름다운 건축물로 매력적인 관광지로도 꼽힌다. 그러나 회사는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수익, 인력 교육, 설치 장비를 고려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500개 이상의 애플 스토어가 있으며, 가장 많은 곳은 미국(272개)이고, 그 다음이 중국(43개), 영국(39개), 캐나다(28개)이다. 동남아시아에서, 태국은 두 개의 스통아가 있고 싱가폴에는 3개의 매장이 있다.
애플은 베트남 시장에서도 보다 공식적인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회사는 방금 응우옌타이하이반을 베트남 최초의 국가 이사로 임명했다. 이전에는 국내 시장은 주로 싱가포르에 위치한 지역 책임자가 담당했다. 일부 소식통들은 애플이 지난 6월부터 베트남 시장 마케팅 부서를 따로 꾸렸다고도 전했다. 회사는 또 기존처럼 소매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삼성, 샤오미 등 다른 주요 스마트폰 브랜드와 유사한 마케팅 및 홍보 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앞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2022년 2분기 재무보고서에서 베트남이 회사 성공에 기여한 4대 신흥시장 중 하나라고 단언한 바 있다. 그는 "아이폰이 이러한 시장이 원동력이 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