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금융∙주식

2023년 ROA가 가장 높은 10대 은행

현재 MB가 ROA 순위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ACB, 테콤뱅크 등이 빅4 그룹의 이름을 크게 앞서고 있다.

은행들의 재무보고서를 집계한 위차트(Wechart) 자료에 따르면 ROA(자산수익률) 지수인 총자산수익률은 2023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3년 ROA 기준 선두 은행은 주식형 은행이 계속되고 있고, 이익 '챔피언' 비엣콤뱅크는 8위, 비엣인뱅크와 BIDV 등 다른 빅4는 17위와 18위로 꽤 멀리 떨어져 있다.

 

상위 3개 선도은행은 MB, ACB, 테콤뱅크로 ROA는 2.35%~2.52% 수준이다. 이 중 ACB만이 전년 대비 ROA 증가율을 기록했다. 

 

2023년 MB의 세후이익은 순이자이익, 유가증권 거래, 충당금비용 절감 등에 따른 성장 동기로 같은 기간 15.7% 증가한 20조6000억동 이상으로 업계 이익 1위를 기록하고 있다. MB의 총자산도 한 해 동안 30% 가까이 증가해 944조9540억동에 달하며 대출 증가(32.7% 증가)에 힘입은 바 크다.

 

ACB의 세후 이익은 전년 대비 17.2% 증가한 16조450억동에 달하며, 주로 비이자이익에서 발생하며, 이는 동기간 48% 증가하여 전체 소득의 24%를 차지한다. 특히, 외화 거래 서비스 및 투자 활동이 ACB의 소득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23년 말까지 ACB의 총자산은 719조동으로 연초 대비 18.2% 증가하였다. 이중 대출규모는 17.9% 증가한 488조동에 육박하였다. 이는 최근 10년간 은행의 신용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테콤뱅크는 18조2천억동으로 MB, ACB와 대조적으로 같은 기간 11%의 이익 감소를 기록하였다. 은행의 순이자이익은 감소하였으나 비이자이익 덕분에 은행의 총수익은 전년 대비 1.2% 감소하는 데 그쳤다.

 

연말까지 테콤뱅크의 총자산은 기관고객에 대한 대출 증가(193조7160억동에서 297조1600억동으로 증가)를 중심으로 지난해 말 대비 21.5% 증가한 849조5천억동에 육박했다. 기관고객에 대한 대출 비중은 2022년 말 47.11%에서 2023년 말 59.22%로 증가한다.

 

이외에도 ROA 기준 상위 10개 선도은행에는 VIB, HDBank, MSB, OCB, 비엣콤뱅크, LPBank, SeABank 등도 포함되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쿠콘 김종현 대표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비즈니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쿠콘(코스닥 294570)의 김종현 대표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공동 주관하는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심각해지는 인구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릴레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쿠콘은 ‘직원이 행복한 회사’라는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회사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속초 △청평 △양양 △제주 등 국내 주요 지역에 사내 휴양시설을 마련해 임직원과 가족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본사 인근에 직장 어린이집 ‘위차일드(We Child)’를 운영해 임직원의 육아 부담을 실질적으로 완화하고 있으며, 어린이집 행사비와 필수 경비의 절반을 지원하는 등 세심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쿠콘은 임직원과 그 가족이 함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인구 문제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임직원과 그 가족이 행복할 수 있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