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4.7℃
  • 구름많음강릉 24.0℃
  • 흐림서울 26.0℃
  • 흐림대전 25.5℃
  • 흐림대구 24.5℃
  • 구름많음울산 21.9℃
  • 흐림광주 24.6℃
  • 흐림부산 22.8℃
  • 흐림고창 24.6℃
  • 흐림제주 24.7℃
  • 흐림강화 21.4℃
  • 흐림보은 23.3℃
  • 흐림금산 25.2℃
  • 흐림강진군 23.6℃
  • 구름많음경주시 22.3℃
  • 흐림거제 23.0℃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베트남과 세계 모터바이크 시장의 마지막 '아성'

세계 모터바이크 시장은 인도에서 기록된 강력한 성장 덕분에 올해 1분기 0.9% 성장에 그쳤다.

McD(MotorCycles Data)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베트남은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 4위의 오토바이 시장이었다. 여전히 세계적으로 0.9%의 전체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오토바이는 이륜차의 마지막 "본거자" 중 하나로 간주되는 중국뿐만 아니라 일부 국가에서 점차 입지를 잃고 있다.

 

베트남 사람들은 세계에서 4번째로 오토바이를 구입


M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고객들은 올해 첫 3개월 동안 총 456만 대의 오토바이를 구입했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시장에서 오토바이 판매는 20.6% 성장했으며, 이는 작년 같은 기간 동안 전 세계 오토바이 판매가 0.9% 성장에 도달한 주요 원동력으로 여겨진다.

 

중국의 오토바이 소비는 16.2% 감소했지만 여전히 371만 대 이상을 기록하여 인도 바로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오토바이 시장이다. 인도네시아의 오토바이 소비는 178만 대 이상이며 베트남의 오토바이 판매는 올해 1분기에 66만459 대에 달했다.

 

베트남에서 오토바이 판매는 맥디(McD)와 베트남 모터사이클 제조업체 협회(VAMM)가 발표한 데이터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VAMM은 베트남인들이 올해 3월까지 60만3745 대의 모터바이크를 구매했는데, 맥디가 발표한 데이터에 비해 5만6000 대 이상 차이가 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VAMM에서 발표하는 자료에는 생산번호가 아닌 5개 기업 전체의 총 매출만 포함되어 있고 수출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는 설명하기 쉽다.

 

따라서 VAMM의 판매 데이터에는 가와사키, KTM, 두카티, 할리데이비슨, 로얄엔필드와 같은 일부 오토바이 제조업체의 판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빈패스트., DatBike, 페가 또는 Yadea와 같은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의 판매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맥디의 또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베트남 시장에서 오토바이 판매량은 90만4684 대에 달했다. 베트남 스쿠터 소비는 5.8%, 수동 및 수동 변속기 차량 판매는 16.1% 감소했으며 전기 오토바이 판매도 12.7% 감소했다.

 

 

혼다와 빈패스트는 올해 1분기 베트남 오토바이 시장에서 판매량이 증가한 드문 이름이다. 혼다는 0.3%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빈패스트의 전기 오토바이 그룹도 전년 동기 대비 7.7%의 판매 성장을 달성했다.

 

오토바이 시장의 마지막 "아성"


올해 1분기 상위 20개 오토바이 시장 리스트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6개국의 존재감을 기록했다. 이 중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오토바이 시장이고, 베트남은 올해 1분기 오토바이 소비에서 네 번째로 큰 시장이다.

 

위 목록에는 올해 1분기에 판매된 오토바이 12만6250대의 미국을 포함한 미주 6개국도 포함되어 있다. 세계 20대 오토바이 시장도 유라시아 대륙 국가인 튀르키예 외에 아시아 6개국이 등장하고 구대륙을 대표하는 이탈리아만 있다.

 

월드 아틀라스에 따르면, 오토바이 소비에서 세계 최고의 이름은 아니지만, 태국은 약 87%의 가구가 오토바이 종류의 교통수단을 소유하고 있어 오토바이 소유율이 가장 높은 국가이다. 베트남 역시 86%의 가구가 적어도 한 대의 오토바이를 소유해 상위 그룹에 속한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비율은 각각 85%와 83%이지만 중국의 경우 60%, 인도의 경우 47%에 불과하다.

 

 

판매 가격은 시장에서 오토바이의 판매력과 인기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McD가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유럽에서 오토바이와 오토바이의 평균 판매 가격은 약 1만2212 달러이다. 네이키드 바이크 라인은 평균 9천352 달러로 37.44%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해 유럽 대륙 시장을 지배한다.

 

북미는 오토바이 가격이 꽤 비싼 지역이다. 맥디에 따르면 이곳의 오토바이 평균 가격은 1만2454 달러인데, 이는 배기량이 큰 이륜차의 인기 때문이다.

 

한편, 남미 지역의 오토바이 평균 판매 가격은 3천170 달러에 불과하다. 실린더 용량이 126-250 cc 사이인 인기 오토바이 그룹이 시장 점유율 46%에 육박하면서 동시에 평균 판매 가격은 2천128 달러이다.

 

동남아 지역의 이륜차 평균 판매가격은 약 2천344 달러이다.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남미와 유사하게 44.65%의 시장점유율과 평균 판매가격 1천92 달러가 인기를 누린다.

 

인도 시장에서 오토바이 평균 가격이 1천133 달러에 불과한 것이 이륜차의 '낙원'으로 꼽히는 주된 이유라고 한다. 50~125cc의 오토바이 그룹은 평균 판매 가격이 881달러로 67.41%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인도 거리를 지배하고 있다.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는 여전히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오토바이 모델을 대중화하는 반면, 중국은 이를 거의 완전히 전기 오토바이로 대체했다. 이러한 추세는 다른 전기 자동차의 발전과 함께 앞으로도 계속 확산될 수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오토바이 시장의 붐도, 오토바이가 새롭게 눈부신 발전도 어렵다. 인도,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은 계속해서 이륜차 산업의 마지막 주요 무대가 될 것이며 점점 더 치열한 경쟁을 예상된다.


베트남

더보기
하노이 KGS국제학교: 제 4회 졸업식 거행, 제2회 학술동아리 발표대회 개최
베트남 교육부로부터 국제학교로 공식인가를 받은 한국형 사립 국제학교인 KGS국제학교(교장 : 이상화) 제4회 졸업식이 6월 14일 KGS국제학교 7층 다목적실에서 주베트남 대한민국대사관 교육영사 대리 임병철 행정안전관, 하노이한인회 장은숙 회장, 주베트남 상공인연합회 홍 선 회장을 비롯한 한국 내빈 20여 명과 전 하노이교육청 부교육감 팜 쑤언 띠엔, 비엣미대학교 미 항 총장 등 베트남 내외 귀빈 및 영국문화원 관계자 20여 명 그리고 학부모와 학생 등 350여 명이 참석한 성황리에 거행되었다. 이번 졸업식에는 초등 20명, 중등 19명, 고등 11명 등 총 5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졸업식에서는 초, 중, 고 졸업생 대표에게 졸업증서를 수여하고, 성적이 뛰어나고 모범적인 학생에게 학업우수상, 설립자상, 이사장상 이외 대외상으로 우송대학교 총장상을 비롯하여 하노이한인회장상, 주베트남 상공인연합회장상, 한베가족협회장상, 베트남우리은행장상, 민주평통과 한국예총 및 대한체육회 관련 상을 비롯하여 10여 곳의 기관장 상장을 수여하여 더욱 풍성하고 품격있는 졸업식이 되었다. 축사는 주베트남 대한민국대사관 임병철 행정안전관, 하노이한인회 장은숙 회장, 주베트남 상공인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