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산업

베트남, 방글라데시 제치고 세계 2위 의류 수출국 등극

베트남은 방글라데시를 제치고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의류 및 섬유 수출국이 되었다고 베트남 국립 섬유 및 의류 그룹(Vinatex)의 대변인인 호앙만깜이 12월 25일 기자 회견에서 밝혔다.

 

 

깜에 따르면, 베트남 섬유 및 의류 산업은 2024년에 방글라데시에서 많은 양의 주문을 이전하여 산업의 수익 이정표인 440억 달러에 기여했으며, 이는 11% 성장을 나타낸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베트남은 주요 의류 및 섬유 수출국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좋은 수출 성장률을 경험하고 있다.

 

깜은 통계를 인용하여 중국이 11개월 만에 섬유 및 의류 수출에서 약 2천734억달러를 벌어들였으며, 이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0.2% 증가한 수치이고, 베트남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인 방글라데시는 10개월 동안 섬유 및 의류 수출이 3.7% 감소하여 277억 달러에 그쳤다.

 

베트남에 이어 인도가 섬유 및 의류 수출이 6.9%에서 7%까지 성장했다. 방글라데시와 유사한 제품 범위와 지리적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작년에 방글라데시에서 주문이 옮겨가는 추세에서 가장 큰 혜택을 보았다.

 

스리랑카와 터키와 같은 다른 주요 수출국도 방글라데시의 주문 전환으로 혜택을 보았다. 주목할 점은 터키가 유럽에 주요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방글라데시의 섬유 수출의 주요 목적지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두 나라의 섬유 수출은 크지 않으며, 수출 규모와 경쟁 우위는 베트남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깜은 이러한 결과가 일정 기간 동안만 지속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방글라데시의 수출이 9월과 10월에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방글라데시가 곧 섬유 수출을 회복하고 경쟁이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

 

2025년 상반기에 의류 산업은 2024년 말의 모멘텀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과 EU와 같은 주요 시장이 경제를 회복함에 따라 긍정적인 성장 신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금리 인하 로드맵이 계속됨에 따라 소비자 소득과 지출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기자 회견에서 비나텍스(Vinatex)의 사장인 까오후우히에우는 섬유 산업 전반, 특히 비나텍스가 2024년에 상당한 도전과 변화를 겪은 한 해를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30년간 수출에 종사한 후인 2023년에 섬유 산업이 2022년에 비해 처음으로 두 자릿수 감소를 경험했다고 회상했다. 상반기에는 시장과 주문, 수출 가격이 2023년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지만 하반기에는 상황이 개선되어 산업이 어려운 시기를 겪고 11%의 성장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히에우는 개선된 시장 상황을 바탕으로 많은 회사가 이제 2025년 1분기까지 주문을 받고 있으며, 일부 회사는 2025년 4월과 5월까지 주문을 연장한다고 말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비나텍스는 이제 전체 시스템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재건하고, 교육 및 개발에 집중하고, 다른 부서를 이끌기 위해 고위 인력의 공유 풀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한 몇 가지 핵심 기둥에 집중할 것이다.

 

그룹은 제품의 녹색화를 계속 촉진하고 자동화 장비와 첨단 기술에 투자하는 동시에 이를 녹색 경제 및 순환 경제 원칙과 연결하고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을 연구할 것이라고 그는 결론지었다.


베트남

더보기
[베트남 사랑] 달랏에 머물며 행복의 소리를 듣다
8월 쏟아지는 비 속에서 쓴맛 나는 커피를 마시며 하얀 계곡을 바라보는 최영숙 박사의 눈빛에는 달랏의 꽃과 안개 속에서 행복의 목소리를 듣는 결의가 서려 있다. 한국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직을 포기하고 베트남 달랏으로 이주한 최영숙 박사(전 대구대 교수)는 장애아동 교육에 평생을 바치기로 한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남편 권장수 씨와 함께 수십억 동을 투자하며 현지 장애아동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영숙 박사는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 부총장 임명 준비 단계에 있었으나, 2007년 베트남 방문 후 모든 것을 바꿨다. 람동성 교육훈련부와 달랏 농아학교, 지적장애아동학교 교장단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의 열악함을 목격한 것이 계기였다. "시설 부족, 전문 커리큘럼 부재, 그리고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내 인생의 모든 결정을 바꿔놓았다"고 최 박사는 회상했다. 그녀의 결심에 남편 권장수 씨(한국 자동차 사업가)도 동참했다. 성공적인 사업을 접고 2009년 중반 베트남으로 이주한 권 씨는 "아내가 불우아동 돕는 의미 있는 일을 원한다고 하자, 망설임 없이 결정했다. 많은 이들이 이상하다고 했지만, 우리는 항상 함께해야 했다"고 말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