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외국 자본 유입으로 베트남 헬스케어 M&A 급증

전 세계적인 헬스케어 M&A 활동 침체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시장은 2025년 상반기에 대규모 거래를 기록했다.

 

 

5월, 중국 제약 대기업 리브존(Livzon) 그룹의 완전 자회사인 리안 SGP 홀딩(Lian SGP Holding Pte. Ltd.)은 베트남 최대 제약 회사 이멕스팜(Imexpharm, HoSE: IMP)의 지분 약 65%를 5조 7,300억 동(미화 2억 1,887만 달러)에 인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인수가 완료되면 이멕스팜은 리브존의 간접 자회사가 된다.

 

5월 22일 체결된 계약에 따라, 리브존은 이멕스팜의 지분 64.81%를 SK인베스트먼트 비나 III(SK그룹 자회사), 선라이즈(Binh Minh Kim Investment JSC), KBA인베스트먼트 JSC 등 3대 주주로부터 인수하게 된다. 거래 규모는 SK인베스트먼트가 4조 2,100억 동(미화 1억 6,080만 달러), 선라이즈가 8,625억 동, KBA가 약 6,520억 동을 인수하게 된다.

 

리브존(Livzon)은 화학 의약품, 생물학 제제, 활성 제약 성분(API), 그리고 전통 중의학(TCM)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베트남 국영 제약 회사 비나팜(Vinapharm)은 여전히 ​​이멕스팜(Imexpharm)의 지분 22.0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멕스팜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5%의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3월, 메콩 캐피탈(Mekong Capital) 산하 메콩 기업 펀드 IV(Mekong Enterprise Fund IV, MEF IV)는 타이응우옌(Thai Nguyen)에 본사를 둔 TNH 병원 그룹에 투자하며 민간 의료 시장에 첫 발을 내디뎠다.

 

메콩 캐피털의 설립자 겸 CEO인 크리스 프로인드는 10년 넘게 병원 투자를 모색해 왔으며, TNH의 비전 있는 리더십 때문에 TNH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외국 자본이 TNH에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블루밍 어스 펀드(Blooming Earth Fund)는 최근 TNH 주식 672만 주 이상을 인수하여 지분율을 13.74%로 높였다. 이에 앞서 룩셈부르크의 Access S.A., SICAV-SIF-Asia Top Picks는 TNH 주식 160만 주 이상을 인수하여 지분율을 8.05%로 높였다.

 

이러한 인수는 2025년 상반기 베트남 헬스케어 M&A 시장의 지속적인 열기를 보여주준다. 외국계 대기업들은 2023년부터 꾸준히 베트남 의료 분야를 공략해 왔다.

 

주요 사례로는 2024년 1월 FPT 롱쩌우 약국과 IHH 헬스케어 싱가포르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있다. 금액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번 거래는 아시아 최고의 헬스케어 기업 중 하나인 IHH 헬스케어 싱가포르가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2023년 싱가포르의 톰슨 메디컬(Thomson Medical)과 래플스 메디컬(Raffles Medical)은 각각 FV 병원(FV Hospital)과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병원(AIH)과 포괄적인 전략적 협력 및 지분 거래를 체결했다.

 

한국의 동화약품은 쭝선(Trung Son) 약국 체인의 지배 지분을 인수했다.

 

최근에는 스위스 투자 펀드인 KWE 베테일리군겐(KWE Beteiligungen AG)이 빈딘 제약 및 의료기기 유한회사(Binh Dinh Pharma & Medical Equipment JSC, DBD)의 지분을 9.93%에서 10.01%로 늘려 베트남 정부(13.34%)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주주가 되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 베트남 의료 M&A 증가

 

전 세계적인 M&A 둔화에도 불구하고, 2025년 초 베트남 제약 부문의 해외 인수는 1억 명 인구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강력한 잠재력을 보여준다.

 

PwC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전 세계 헬스케어 M&A 건수와 금액은 각각 약 22%와 25% 감소했다. 제약 및 생명과학 분야는 거래 건수가 19% 감소했고, 거래 가치는 평균 거래 규모 감소로 인해 33% 감소했다. 헬스케어 서비스는 건수가 25% 감소했지만, 거래 가치는 2024년 하반기와 2025년 상반기에 대규모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실제로 50%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에는 10억 달러를 초과하는 헬스케어 거래가 없었으며, 이는 전반적인 감소세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후 몇 달 동안 거래 활동이 다시 증가하여 2024년 말과 2025년 초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거래가 여러 건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미주 지역이 2025년 상반기에 거래 규모와 금액 면에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인 반면, 유럽, 중동, 아시아(EMEA) 지역은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을 재편하는 두 가지 핵심 요인은 인공지능(AI)과 인구 통계학적 변화이다. PwC 전문가들은 다음 M&A 물결은 기술 통합과 고객 중심 혁신이 주도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웹케시그룹-NH농협은행 ‘생성형 AI 기반 미래형 뱅킹서비스 구현’ 업무협약 체결
웹케시그룹(회장 석창규)은 NH농협은행(은행장 강태영)과 2일 서울 중구 NH농협은행 본점에서 ‘생성형 AI 기반 미래형 뱅킹 서비스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은행권 최초로 생성형 AI 기술을 금융 서비스에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시도로, 양사는 △AI 기반 디지털 서비스 공동 구축(AI 브랜치, AI 뱅킹 등) △양사 핵심역량 기반 AI 전환 파트너십 구축 △대고객 AI 서비스 확산을 포함한 뱅킹, 자금관리, 경영정보 등 전 분야에서 AI 에이전트를 도입할 계획이다. 실제로 오는 9월 AI엔진을 탑재한 ‘AI 기업 통합자금관리서비스(하나로브랜치)’를 출시하고 ‘AI인터넷뱅킹’ 시스템 구축도 연내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 회계 담당자들은 이전에는 메뉴를 일일이 찾아야 했던 것과 달리 자연어 형태로 ‘이번 달 급여 내역 보여줘’라고 음성이나 텍스트로 지시하면 되는 혁신적인 대화형 금융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2015년 NH농협은행은 웹케시그룹과 함께 국내 최초 금융 오픈 API 기반 핀테크 오픈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핀테크 혁신의 주역으로 평가받아 왔다. 이번 협약은 NH농협은행과 웹케시그룹이 함께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