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는 빈패스트가 미국 딜러 70곳과 일하고 있으며, 내년 11월 유럽에 차량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C급 전기 SUV 모델인 VF7을 막 출시했다. 미국 시간으로 11월 30일 거래 기간 동안 나스닥에서 빈패스트 오토의 VFS 주가는 11.77% 상승한 8.45달러로 8주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VFS는 10일 연속으로 시장 가격을 40% 이상 올려 빈패스트를 세계 3대 전기차 제조업체로 복귀시켰다. 컴퍼니마켓캡 자료에 따르면 빈패스트의 시가총액은 197억달러로 테슬라(7630억 달러 이상), 중국 전기차 업체 리오토(378억9000만 달러)에 뒤졌다. ▶ 세계 10대 전기차 기업. (출처: 기업 시가총액). 자동차 제조업체 중에서는 빈패스트의 시가총액이 23위로 닛산, 마쓰다, 미쓰비시, 볼보 등을 앞서고 있다. 앞서 빈패스트는 VFS가 주당 87달러에 달했던 미국 시간 8월 28일 세계 3위 자동차 제조업체로, 회사 자본금은 테슬라(7620억달러)와 도요타(2250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2000억달러 이상이 됐다. 시세가 하락한 지난 9월 빈패스트는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최근 빈패스트의 VFS 주가는 국내외 시장에서 회사
베트남의 기준 VN-지수는 1주일 동안 매일 10포인트 미만의 등락을 거듭하다가 금요일 0.73% 오른 1102.16포인트를 기록했다. 지수는 전장에서 8.67포인트 하락한 후 8.03포인트 상승 마감했다. 호치민 증권거래소 거래대금은 17% 감소한 12조2300억동(5억323만달러)를 기록했다. 가장 큰 상한 종목 30개로 구성된 VN-30 바스켓에는 23개의 티커가 상승했다. 저가 항공사 비엣젯의 VJC가 3.3% 상승하며 선두를 달렸고, 소매 부동산 회사인 빈콤 리테일의 VRE가 3.2% 상승하며 뒤를 이었다. 대표적인 증권사 SSI 증권사의 SSI는 2.2%, 보험사 바오비엣 홀딩스의 BVH는 1.8% 올랐다. 부동산 대기업 빈홈스의 VHM은 1% 하락한 채 유일하게 적자로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주로 민간 대기업 빈그룹의 VHM과 VIC를 팔며 3100억동을 순매도했다. 하노이 증권거래소의 HNX-지수는 0.05% 올랐고, 비상장공기업 시장의 UPCOM-지수는 0.16% 올랐다.
지난 11월 27일 오후 호치민한인회에 싱가포르 최대 전문 컨설팅 회사 LEE KIM 관계자가 방문하여 간담회를 가졌다. 이 날 간담회에는 베트남한인회총연합회 겸 호치민한인회 손인선 회장과 홍승표 상근부회장과 최창영 부회장, 이희승 사무총장이 참석하였고 LEE KIM컨설팅에서는 이영상 대표이사와 이윤상 한국지사장, 이태현 법인장, 강신영 대리가 참석하여 베트남에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고자 하는 LEE KIM컨설팅에 대한 호치민한인회의 다각적인 협조를 구하였다. 손인선 회장은 한인회가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도와서 윈윈을 하는 게 맞다고 보고 상호협조 하겠다고 하였다. 한편 LEE KIM컨설팅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한국, 베트남, 홍콩에 지사를 둔 싱가포르 TAX AGENT 전체 TOP15위이고 한국계로는 1위로써 글로벌 대기업을 포함한 1,500여개 고객사를 관리중인 회계, 세무, 법률 컨설팅 전문회사이다. ▶호치민한인청소년회 임원단과 만찬 손인선 베트남한인회총연합회 겸 호치민한인회 회장은 지난 11월 29일 오후 샹차이사이공 푸미흥에서 청소년 크리에이티브 공모전을 위 해 애쓴 호치민한인청소년회 임원단과의 만찬의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KGS
증권사들은 연말에 많은 상장사들이 사모와 공모를 통한 자본조달 계획으로 분주해지면서 베트남에 투자 러시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년 가까이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올해 마지막 몇 달 동안 자본조달 활동이 활발해졌다는 것이다. HBC로 호치민 증권거래소(Ho Chi Minh Stock Exchange, HoSE)에 상장된 호아빈 건설 공사는 정관자본을 늘리기 위해 2억5248만주를 발행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중 2억2000만주는 사모를 통해 매각되고 3248만주는 채무 교환에 사용된다. 발행에 성공하면 회사의 정관자본은 2조7410억동(1억1293만달러)에서 5조2660억동(2억 1697만달러)으로 증가한다. 호아빈은 사모펀드의 경우 주당 1만2천동(0.49달러)에서 1만4500동(0.6달러)의 가격을 제시하여 2조6400-3조1900억동(1억3143만달러)를 조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회사는 두 명의 외국인 투자자인 Tumaz Enterprises Ltd(1억)와 PrimeTech VN Development and Investment(1억 2천만)가 사모 주식을 매입하여 지분 41.78%를 소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행계획 확보를 위해 회사는
하노이는 11월 30일 인터컨티넨탈 하노이 랜드마크 72에서 10일간의 한국 미식 주간의 시작을 알렸으며, 미슐랭 2스타 셰프 이준의 단독 레시피를 선인다. 매년 열리는 행사인 '가을의 숲'은 한국의 요리 문화를 외국인 친구들에게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미슐랭 2스타 이준 셰프가 방문객들에게 한국 요리 문화를 소개한다 최영삼 주베트남 대한민국 대사에 따르면, 주요 메뉴는 주로 한국 식품 수출의 핵심 카테고리인 한국산 임산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 대사는 "2023년 한국 미식주간은 베트남 국민들에게 한국 음식을 알리는 것은 물론 양국 간 문화 교류 증진에 더욱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문객은 또한 행사에 참석한 유명한 요리사와 믹솔로지스트(mixologist)가 진행하는 워크샵과 함께 다양한 요리 및 문화 교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용과 라면이 '핫'하고, 구매자들은 이 초특급 요리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이전의 '핫 트렌드'를 모두 무색하게 만들었다. 용과 라면의 '열풍'은 케이티 용과 라면 제품을 홍보하는 MV(뮤직비디오)에서 비롯됐다. 이 브랜드는 ㈜케이티(Caty)푸드가 소유하고 있으며, 용과면 제품은 2022년부터 출시됐다. 제조사가 용과면에 라면을 결합한 것은 용과의 시원함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라면의 매운맛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022년부터 시장에 등장했지만 '처음으로 라면에 용과'라는 광고곡이 나오고 나서야 이 국수 요리가 널리 알려지게 됐다. ▶ 틱톡에는 용과 라면 관련 내용이 담긴 밀리언뷰 클립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스크린샷) 어떤 사람들은, 너무 많이 듣기 때문에, 노래의 멜로디를 알고, 심지어 용과를 보는 것만으로도 그 바이러스성 노래를 바로 기억한다. 어떤 사람들은 위의 홍보 클립을 오래된 디엔마이싼 홍보 클립으로 "잊혀지지 않는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잊혀지지 않는' 가사와 멜로디 외에도 핑크빛 '리틀 드래곤' 마스코트 두 마리가 서서 춤을 추는 등 홍보 MV 편집 방식도 독특해
(굿모닝베트남미디어) KOTRA(사장 유정열)는 제주도(도지사 오영훈)와 함께 이달 28일부터 사흘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되는 '항공우주,방산 전시회(Aerospace & Defense Meetings Torino 2023, 이하 ADM)'에 참가해 산업포럼과 수출,투자 상담회를 열었다. ADM 전시회는 2008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는 유럽 항공우주와 방위산업의 대표 전시회로 이 분야 세계 전문가들이 모여 비즈니스 미팅과 네트워킹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이벤트이다. 이탈리아 항공우주산업은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7위, 유럽 4위의 강국이며, 항공기,우주선,위성 동체 및 관련 부품, 레이더,비행 기록장치,엔진 제어기, 유지보수 서비스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항공우주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지만, 이탈리아는 최근 자국 항공우주산업의 '디지털화'와 '탈탄소화'에 대한 필요로 한국과의 협력에 관심이 크다. 이탈리아와의 협력수요에 대응하고 우리기업의 항공우주산업 진출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KOTRA는 이번 행사를 제주도, 항공우주연구원(KARI),
(굿모닝베트남미디어) 한국 딜로이트 그룹(대표이사 홍종성)은 딜로이트 글로벌이 발간한 'COP28 어젠다: 민간 부문의 추진력이 필요할 때다' 국문본 리포트를 발간했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 ESG센터가 발간한 이번 국문본 리포트는 12월 12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진행되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논의될 주요 안건을 분석했다. 딜로이트 글로벌이 분석한 주요 안건은 전 지구적 이행 점검, 화석 연료 퇴출, 공정한 에너지 전환, 자연 보호와 시스템적 전환, 손실과 피해 기금, 민간 부문과 시민 사회의 참여 등 총 6가지다. 이번 리포트는 COP28에 가입된 국가들이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한 전 지구적 이행 점검의 심층적 분석과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의제, 민간 부문의 리더십을 통한 사업 기회들을 소개한다. 전 지구적 이행 점검과 화석 연료 퇴출 요구 증가 이번 COP28에서는 처음으로 파리협정 목표 실현을 위한 종합적 평가를 바탕으로 '전 지구적 이행 점검'(Global Stocktake)이 처음으로
(굿모닝베트남미디어) 최근 초중고 학생들이 장래의 희망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 직업을 통한 창의적 도전과 발전 가능성을 추구하는 경향은 줄어든 반면 경제적 보상과 직업의 안정성 등 실리적 측면의 이유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11월 30일(금) 'KRIVET Issue Brief 제270호(학생의 직업가치 변화 : 의사와 법률전문가를 중심으로)'를 통해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가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매년 시행하고 있는 '초,중등 진로교육현황조사'의 원 자료(2018년, 2022년)를 이용, 최근 초중고 학생들의 희망 직업 선택의 변화 이유를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270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2018년과 2022년의 희망 직업 선택 이유를 비교한 결과,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서'에 대한 응답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 직업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