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연예

블랙핑크의 베트남 투어로 본 케이팝의 위상

하노이에서 콘서트를 앞두고 있는 한국 걸그룹 블랙핑크가 불과 40회만에 1억6천4백만달러에 가까운 티켓 판매 수익을 올렸다.

 

독립적인 박스 오피스 추적 플랫폼인 투오링데이타(Touring Data)의 수치는 블랙핑크의 본 핑크 월드 투어의 40일 밤이 약 1억638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고 90만장 이상의 티켓이 판매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평균적으로 그룹은 매일 밤 약 2만2600명의 관중과 함께 40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위의 수치는 아직 집계되지 않은 24개의 쇼를 포함하지 않았다.

 

블랙핑크는 역사상 일련의 콘서트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그룹이 되었다. 이전에, 이 기록은 7820만달러의 수익과 거의 70만명의 관중으로 유명한 영국 걸 그룹인 스파이스 걸스의 스파이스 월드 투어 2019에 속한다.

 

블랙핑크는 2022년 11월 로스앤젤레스(미국)에서 거의 4만7000명의 관중 앞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사진: YG 엔터테인먼트

 

'본핑크월드투어(Born Pink World Tour)'는 블랙핑크가 2022년 10월 중순부터 시작하는 두 번째 투어로, 총 64회의 콘서트로 아시아,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에서 꽉 찬 일정으로 진행된다. 7월 말에 그룹은 하노이에서 두 번의 쇼를 더 한다.

 

블랙핑크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한국 연예계는 대유행 이후 콘서트로부터 많은 혜택을 보고 있다. 2022~2023년 사이에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케이팝 콘서트 시리즈 10편을 감안하면 한국 아이돌이 가져온 돈은 총 4억2천만달러에 육박한다.

 

앨범 사업 외에도 콘서트는 한국 음악 산업의 중요한 수입원이기도 하다. 평균적으로, 각 공연은 약 1만명의 관객을 맞이한다. 4만명에서 7만5000명까지 녹음하는 세션이 있다. 베트남 화폐로는 공연장과 가수의 명성에 따라 각 공연의 평균 티켓 가격이 약 200만-500만동 정도다.

 

 

국내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회사들도 많은 아시아 국가와 서구의 일부 주요 도시로 공연을 확장했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2022년 해외 K팝 콘서트를 찾는 관객은 약 285만명으로 추산된다.

 

리서치 회사인 러서치&마켓에 따르면 전 세계 K-팝 이벤트 시장의 가치는 2021년 81억달러이다. 위 수치는 2031년까지 20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7.3%에 달한다.

 

콘서트에서 팬들은 입장권을 사기 위해 돈을 쓸 뿐만 아니라 아이돌 이미지가 있는 제품(굿즈)을 더 많이 소비한다. 인기 있는 것은 아이돌이 있는 작은 사진(카드), 큰 사진(포스터), 응원봉(야간봉), 그룹 로고가 새겨진 스티커, 보석, 옷, 액세서리, 패션 등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콘서트, 앨범 발매, 행사 관련 상품 판매액은 개인 소장품, 제작, 해적판 등을 포함해 총 1500억원에 이른다.

 

케이팝 아이돌의 인기는 기획사에게 소중한 자산이 된다.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하이브( Hybe)는 이제 대한민국 연예계의 '빅4'로 통한다.

 

작년에 "박 4"의 총 매출은 거의 26억달러에 달했고 순이익은 5억달러 이상이었다. 수입만 놓고 보면 앞서 언급한 4개 회사의 아이돌은 몰디브, 피지, 바베이도스 등 '관광 천국' 경제 규모의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을 벌어들였다.


관련기사

블랙핑크 콘서트 티켓 구하기에 혈안이 된 베트남 젊은이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비즈플레이, B2E 솔루션 ‘bzp비플식권 서비스’ 편의성·효율성·만족도 제고 효과로 기업 시장 파고든다
Expense 비용관리 Total 서비스 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bzp비플식권 서비스’를 통해 기업 식대 운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bzp비플식권 서비스는 지정식당 장부 작성, 종이식권 발급 및 관리, 제한된 구내식당 이용 등 기존 식대 운영 방식의 비효율을 해소한 모바일 기반 전자식권 솔루션이다. 전국 80만 개 제로페이 가맹점과 편의점, 대형 프랜차이즈 등 비즈플레이 제휴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배달앱 ‘요기요’와 연계한 배달·포장 주문도 지원해 임직원의 식사 선택권을 획기적으로 확대했다. 임직원들은 별도의 종이식권이나 법인카드 발급 없이 전용 앱 설치만으로 식권 포인트를 자동 연동해 QR코드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사무실은 물론 재택근무, 외근, 파견, 지사 근무 등 다양한 근무 형태에서도 유연한 식대 지원이 가능해져 직원 만족도가 크게 향상됐다. 기업 관리자는 △일/회/월 한도 설정 △업종 및 지역별 가맹점 조건 설정 △사용 내역 실시간 확인 △부서별 사용 내역 자동 집계 △정산 및 회계 연동 처리 등 다양한 관리 자동화 기능으로 식대 관리 업무 부담을 줄이고 예산 집행의 투

문화연예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