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20.2℃
  • 맑음서울 17.6℃
  • 맑음대전 18.7℃
  • 맑음대구 19.4℃
  • 구름조금울산 18.8℃
  • 맑음광주 18.2℃
  • 구름조금부산 19.3℃
  • 맑음고창 16.6℃
  • 구름조금제주 18.1℃
  • 맑음강화 15.0℃
  • 맑음보은 16.8℃
  • 맑음금산 18.2℃
  • 맑음강진군 19.9℃
  • 구름많음경주시 19.9℃
  • 구름조금거제 18.1℃
기상청 제공

2024년 공공부채 약 4300조동, 국내총생산(GDP)의 34.7%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까지 공공 부채는 국내총생산(GDP)의 34.7%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426ㅐ조동(VND)이 넘는 금액으로, 국회가 정한 국내총생산(GDP)의 60% 상한선보다 훨씬 낮다.

 

4월 24일 오전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절약과 낭비 방지에 관한 정부 보고서를 검토하기 위한 회의에서, 응우옌 반탕 재무부 장관은 총리를 대신하여 2024년 말까지 공공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34.7%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이러한 실행 수준은 정부가 2024년 10월에 예측한 수준보다 1.3~2.3% 낮다.

 

작년 경제 규모가 약 4763억달러였고, 공공부채는 약 1653억달러, 또는 4260조동에 해당한다. 이 수준은 2023년 대비 약 490조동 증가했다.

 

또한 정부 부채는 GDP의 32.2%, 국가의 외국 부채는 31.8%로 추산된다. 정부의 직접 채무 상환 의무는 총 예산 수입의 20.8%이다. 이러한 자료는 모두 국회에서 2021~2025년 기간 동안 허용한 범위 내에 있다.

 

총리가 승인한 2024년 공공부채 차입 및 상환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최대 676조570억동을 조달할 예정이며, 이 중 약 98%는 중앙 예산에서 차입될 예정이다. 차입 구조는 주로 국채를 동원한 국내 차입(538조8890억동)이다. ODA 대출과 외국인 우대 자금 지원 규모는 약 25조3100억동이다.

 

예산 수입 및 지출과 관련하여 탕 장관은 작년 예산 수입이 2000조동이 넘었다고 말했다. 이 수준은 추정치보다 342조7천억동(또는 20%) 증가했다.

 

예산 지출은 1830조동으로 추산되며, 이는 예상치의 86.4%에 해당한다. 약 197조3천억동이 세금, 수수료, 토지 임대료 면제, 감면 및 연장에 사용되었다. 이 금액의 절반은 면제 및 감면이다. 탕 장관은 지출 관리가 적극적이어서 정기적인 지출을 절약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였다고 말했다. 작년에 각 부처, 지자체, 지방자치단체에서 64조동 이상의 비용을 절감했다.

 

경제재정위원회 상임부위원장인 레꽝만은 검토 과정에서 2025년 예산안을 작성하기 위해 2024년 예산 수입 결과를 예측한 것이 현실과 가깝지 않아 제8차 국회(2024년 말) 보고서와 추산치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세금 체납 상황이 심각하며 2023년 대비 증가 추세에 있다고 한다. "지출 부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자금 이체가 여전히 규모가 커서 낭비가 발생하고 자본 사용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라고 말하며, 정부가 재정 규율과 규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과소비를 엄격하게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정부는 8%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간 두 자릿수 성장을 위한 추진력을 마련하고 있다. 2025년 공공 부채는 GDP의 36-37%, 정부 부채는 34-35%, 외국 부채는 33-34%로 예상되며, 예산 수입 대비 정부의 직접 부채 상환 의무는 약 24%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응우옌반탕 장관은 정부가 예산 적자를 상쇄하고 원금 상환을 위해 대출의 동원, 관리 및 사용을 엄격히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예산의 개발 투자 지출 및 원금 상환에 필요한 국채 발행도 지속적으로 면밀히 검토하고 모니터링하여 절감 효과를 확보할 것이다.

 

절약 실천과 낭비 퇴치에 관한 보고서는 5월에 열리는 국회 회기에서 심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