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는 커피 생산에서 세계 2위 베트남을 따라 잡겠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카르타 글로브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최대 경제국인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내 생산량 증대와 증가하는 세계 커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줄하스(Zulhas)로 불리는 줄키플리 하산(Zulkifli Hasan) 식량부 장관은 인도네시아가 현재 세계 4위의 커피 생산국으로 연간 70만 톤 이상의 커피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 4위 인구(2억 8,500만 명 이상)인 인도네시아가 적절한 전략을 채택한다면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믿는다.
"현재 커피 가격이 매우 유리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여야 합니다."라고 줄하스 장관은 말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식량부 조정장관은 인도네시아 커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고품질 품종을 사용하고, 수확 후 가공 과정을 개선하며, 더욱 경쟁력 있는 포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줄하스 장관은 인도네시아가 아체( Aceh) 고원부터 파푸아 동부 지역까지 커피 재배에 적합한 광활한 토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지역마다 독특한 풍미의 커피 원두를 생산한다고 말니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커피에 대한 지리적 표시(GI)를 54개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아라비카 26개, 로부스타 24개, 리베리카 3개, 엑셀사 1개가 있다.
줄하스 장관은 "커피는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인도네시아 전역의 공동체 생활 방식이다. 가요(Gayo)고원부터 토라자(Toraja) 산맥 기슭까지, 커피는 근면, 문화 유산, 그리고 국가적 자부심의 상징이다."라고 말했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세계 커피 생산량에서 브라질, 베트남, 콜롬비아에 이어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2위의 커피 생산국인 베트남은 연간 180만 톤의 로부스타 커피 대규모 재배로 유명하다.
줄하스 씨는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커피 산업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 부문 간의 긴밀한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중앙통계청(BPS)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인도네시아는 34만 2,220톤의 커피를 수출했으며, 이는 14억 9천만 달러에 해당한다. 반면, 커피 수입은 6만 7,650톤에 불과했으며, 이는 3억 1,984만 달러에 해당한다.
인도네시아 커피의 주요 수출 시장은 필리핀(8만 5천 톤), 미국(3만 1,730톤), 말레이시아(3만 2,330톤)이며, 나머지는 여러 국가로 수출된다. 수입량 기준으로는 베트남이 4만 7,270톤으로 가장 많았고, 브라질(1만 3,040톤)과 말레이시아(1,840톤)가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