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8 (수)

  • 흐림동두천 12.5℃
  • 흐림강릉 20.3℃
  • 흐림서울 15.5℃
  • 맑음대전 20.0℃
  • 맑음대구 21.6℃
  • 맑음울산 19.0℃
  • 맑음광주 18.8℃
  • 맑음부산 17.3℃
  • 구름조금고창 19.1℃
  • 맑음제주 18.2℃
  • 흐림강화 13.5℃
  • 맑음보은 19.2℃
  • 맑음금산 19.5℃
  • 구름많음강진군 17.6℃
  • 맑음경주시 20.6℃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투자] 꽝빈성,도화자원개발의 에너지 펠릿 프로젝트 연기를 허용

 

꽝빈성은 한국 도화엔지니어링 산하 도화자원개발유한공사가 에너지펠릿 공장을 12월 31일로 1년 연기하는 것을 허가했다.

 

도화엔지니어링 박승우 공동대표는 지난주 말 도청 간담회에서 글로벌 수요 부진으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EPC 계약자와 체결한 계약자에 명시된 건설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 달러의 가치 상승 및 불리한 기상 조건으로 2022년 12월 31일까지 기한을 넘겼다고 밝혔다.

 

도화자원개발은 2016년 4월 혼라해항 산업단지 3만㎡ 규모의 2천400억동(약 1천22만달러) 사업에 대한 투자증서를 받았다. 이전에 꽝빈성은 이 프로젝트의 일정을 세 번 연장했다. 이 프로젝트의 생산량은 1단계에서 연간 5만 톤, 2단계에서 10만 톤이다.

 

에너지펠릿 공장은 중부 지방에 있는 도화 에너지 단지의 일부로, 도화 레투이 태양광 발전소도 갖추고 있다. 1조370억동 규모의 공장은 2021년 1월에 공식 가동에 들어갔다.

 

이 공장의 생산량은 2021년에 6150만 MWh에 도달하여 1110억 동(472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2022년 수치는 6120만 MWh와 1090억동(464만달러)였다. 2023년 목표 생산량은 6천만 MWh이다.


베트남

더보기
일본의 소지츠, 비나밀크는 5억달러 규모의 육종, 쇠고기 가공 단지를 건설
일본의 소지츠와 베트남 최대 유제품 제조업체인 비나밀크는 수요일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소 사육 및 쇠고기 공급을 위한 5억달러 규모의 단지를 착공했는데, 이는 베트남의 축산업을 발전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프로젝트이다. 비나밀크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유제품 생산지이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사진. 소지츠와 비나밀크 자회사 빌리코가 49-51로 합작한 이 프로젝트는 하노이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빈푹성의 E땀다오 지구에서 거의 76헥타르에 이를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비나비프 땀다오V라고 이름 지어졌다. 일본 무역회사와 빌리코는 2021년 말에 이 프로젝트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합작회사는 내년에 이 단지를 가동하여 베트남 시장과 수출에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육류 공급 사업은 1단계에서 연간 약 3만마리의 육우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단계에서, 그 프로젝트는 단백질 기반 제품을 공급할 것이다. 응우옌홍디엔 베트남 통상장관은 기공식 연설을 통해 빈푹성 당국에 공사와 개발이 예정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그의 부처가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돕기 위해 그 프로젝트를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2023년 3월 8일

경제

더보기
서울시, 청년 미래 일자리 만든다… 신일자리 모델에 최대 2억3000만원 지원
  (굿모닝베트남미디어) 청년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술,환경,커뮤니티 기반 미래형 일자리 개발에 서울시와 기업, 청년주체들이 직접 나선다. 서울시 청년허브는 '2023 청년 미래일자리 만들기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 미래일자리 개발에 나설 기업과 단체를 이달 8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최근 저성장과 사회양극화 심화 등으로 청년들의 고용불안이 크지만 기존의 청년 일자리 정책은 양적 증가에 집중돼 있어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 서울산업진흥원의 연구 결과, 서울 거주 청년 10명 중 6명은 현재 본인의 직업에서 일자리 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미래 일자리에 대해서는 76.8%가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또 2023년 서울 청년 패널조사에서는 서울 청년 10명 중 6명이 현재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청년세대를 위해 강화해야 할 사업 분야로 고용(취,창업) 지원을 꼽은 응답자가 25.8%로 가장 많았다. 이에 서울시 청년허브는 2022년부터 다양한 계층의 청년을 포용하면서도 기후위기, 팬데믹, 인구감소(지방소실) 등 경제,환경,사회 문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