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4 (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5.6℃
  • 맑음서울 17.9℃
  • 맑음대전 18.2℃
  • 맑음대구 15.9℃
  • 구름많음울산 16.5℃
  • 맑음광주 18.0℃
  • 맑음부산 17.1℃
  • 맑음고창 17.0℃
  • 맑음제주 18.5℃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4.2℃
  • 구름많음금산 15.5℃
  • 맑음강진군 17.3℃
  • 맑음경주시 18.2℃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기업의 근로시간 44시간으로 단축 계속 권고

 

노동조합은 반년 만에 두 번째로 정부가 민간부문 근로자의 주당 근로시간을 48시간에서 44시간으로 줄여 40시간으로 앞당기는 로드맵을 개발하자고 제안했다.

 

지난 5월 26일 국가노동생산성향상포럼에서 동나이 창신베트남기업 노동조합 당뚜안뚜 위원장은 기업(민간부문) 노동자들의 주당 노동시간을 줄여 같은 지역의 다른 나라들과 같게, 노동자들이 쉴 수 있는 여건 조성, 건강 회복, 가족 돌봄 등을 제안했다.

 

뚜 위원장은 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업은 노동 시간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구식의 수작업을 대체하기 위해 현대 기술 기계에 투자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는 법적인 환경을 개선하고, 수입되는 현대 기계와 장비에 대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조건을 만들고, 수입 과정을 간단하고 유연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고 했다.

 

노동법은 사람들이 하루에 8시간 이하, 일주일에 48시간 이하의 정상적인 조건에서 일하도록 규정한다. 기업은 노동시간을 하루 또는 일주일 단위로 규제할 권리가 있지만, 직원들에게 알려야 한다. 국가는 기업에게 40시간 노동주를 시행하도록 권장한다. 이 규제는 낮은 노동생산성, 낮은 소득 수준, 그리고 노동시간을 연장해야 하는 상황에서 고려된 많은 법 개정 후에도 남아 있다.

 

한편, 1주일에 40시간, 1일 8시간의 공공부문 근무시간은 총리 결정 188/1999에 의해 조정됩니다. 이 규정은 5일 이내에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공무원과 공무원의 근무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은 또한 예산에 의해 지불되는 전기, 수도 및 기타 많은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다.

 

기업 근로자의 주당 근로시간 단축 로드맵을 개발하자는 제안은 최근 1년 동안 여러 차례 제기된 바 있다. 2023년 12월 노동조합 총회에서 각급 노동조합은 근로시간을 주당 40시간으로 단축하는 로드맵이 많은 근로자들의 염원이라고 밝혔다.

 

2023년 10월 말 국회 원내에서 팜쫑응이아(사회위원회 담당) 대표도 비슷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호치민 주석이 1947년에 근로시간이 주당 48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되며 초과근로가 연간 100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한 법령을 인용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1년 베트남 근로자는 연 7030만동 벌었으며 2021년에는 거의 1억7200만동 이른다. 10년 후 노동 생산성은 2.5배 증가했지만 여전히 같은 지역의 다른 국가보다 훨씬 낮다.

 

2019년 노동안전부 통계 결과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노동시간이 가장 많은 반면, 휴일은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베트남인의 연간 노동시간만 약 2,320시간으로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보다 낮고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라오스, 캄보디아보다 높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