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8.0℃
  • 맑음강릉 8.5℃
  • 흐림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8.9℃
  • 구름많음대구 10.1℃
  • 구름많음울산 9.5℃
  • 흐림광주 10.2℃
  • 흐림부산 10.4℃
  • 흐림고창 7.2℃
  • 흐림제주 10.4℃
  • 흐림강화 6.8℃
  • 구름많음보은 5.9℃
  • 구름많음금산 6.8℃
  • 흐림강진군 9.5℃
  • 구름많음경주시 6.3℃
  • 구름많음거제 8.5℃
기상청 제공

베트남에 부과된 관세로 가장 위험에 처한 기업

나이키, 해즈브로, 그리고 일련의 외국 기업은 베트남 제품에 대한 미국의 46% 세금에 취약

지난 몇 년 동안 베트남은 미중 무역 긴장을 피하려는 기업들에게 인기 있는 대안이 되었다. 이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목표를 확대함에 따라 더 이상 관세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20년 넘게 중국은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은 상품을 미국에 수출해 왔다. 하지만 멕시코는 2023년 중국을 제치고 미국 최고의 공급국이 되었다.

 

중국은 현재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수입 시장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은 약 4389억달러 상당의 상품을 미국에 수출했다.

 

세계 최대 두 경제 대국 간의 무역 마찰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공급망을 다각화하려는 기업들에게 베트남은 최근 몇 년 동안 인기 있는 목적지가 되었다. USTR에 따르면 미국은 2024년 베트남으로부터 2023년 대비 약 19% 증가한 약 1365억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입했다.

 

한편, 같은 기간 동안 미국의 대중국 수입은 2.8% 증가에 그쳤다. 2022년에 비해 대중국 수입은 약 18% 감소했다.

 

4월 2일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대미 무역 흑자 규모가 가장 큰 60개 경제국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베트남은 46%의 세금이 부과되며, 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한편, 중국은 34%의 세금이 부과되며, 인도, 한국, 일본, 유럽연합은 각각 26%, 25%, 24%, 20%의 세금이 부과된다.

 

백악관 관리들은 중국의 상호 관세가 기존 관세에 추가될 것이며, 따라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대국인 미국으로의 수출은 총 54%의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소 관세는 4월 5일부터 적용된다. 베트남이나 중국에 대한 관세 인상은 4월 9일부터 시행되며 곧 의류, 가구 및 장난감 부문의 대기업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관세로 인해 어떤 기업이 가격을 인상할지 불분명하지만, 기업들은 앞으로 몇 달 안에 소비자 지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더 높은 비용을 부담하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다.

 

베트남에 부과된 관세로 인해 가장 위험에 처한 기업

 

신발, 의류

 

미국 스포츠용품 유통업체 및 소매업체의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데이터가 제공되는 가장 최근 해인 2023년에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신발의 거의 3분의 1이 베트남에서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유명한 이름들은 트럼프의 베트남 관세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이다. 나이키는 신발의 약 절반을 베트남(약 25%)과 중국에서 생산한다.

 

중국과 멕시코에 대한 관세의 영향으로 인해 두 자릿수 매출 감소를 예상하며 이번 분기에 실망스러운 가이던스를 발표했던 이 거대 기업에게 역풍이 될 것이다. 새로운 관세로 인해 새로운 CEO 엘리엇 힐 아래서 브랜드를 되살리고 매출을 개선하려는 나이키의 노력이 지연되거나 둔화될 수 있다. 나이키 주가는 4월 2일 시간외 거래에서 6% 이상 하락했다.

 

나이키 외에도 아디다스 및 기타 주요 신발 회사들도 베트남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CNBC는 나이키나 아디다스 모두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11월, 스티브 매든은 내년에 중국산 신발 수입을 최대 45%까지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중국과 같은 국가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걸고 선거운동을 벌인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지 며칠 만에 이 같은 발표를 했다.

 

그러나 스티브 매든이 생산을 가속화한 시장 중 하나는 베트남이라고 에드워드 로젠펠드 CEO는 말했다. 또한 캄보디아, 멕시코, 브라질의 생산 라인도 늘렸다.

 

베트남은 3월 기준 데커스( Deckers )브랜드의 두 번째로 큰 공급망이다. 현재 중국 내 125개 공급업체에 이어  베트남에는 68개의 공급망 파트너가 있다. 데커스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9% 가까이 하락했다.

 

노스페이스, 팀버랜드, 밴스, 얀스포츠 등 신발, 의류, 액세서리 브랜드의 뒤를 잇는 VF 코퍼레이션도 중국과 베트남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12월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VF 코퍼레이션의 공급업체 중 약 38%가 중국에, 17%가 베트남에 있다. 회사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8% 이상 하락했다.

 

 

가구

 

미국 가구 산업도 베트남에 대한 의존도를 높다. 미국 가정용 가구 협회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까지 미국 가구 수입의 약 26.5%가 베트남에서 수입될 것이며, 이는 중국에서 수입되는 29%와 거의 비슷하다.

 

지난 2월 실적 발표에서 웨이페어( Wayfair)의 CEO 니라즈 샤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동안 관세를 부과한 이후 공급망을 중국 밖으로 이전하는 것이 주요 추세가 되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과 같은 곳은 "기업들이 공장을 설립하고 웨이페어의 상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목적지가 되었다"고 그는 말했다.

 

웨이페어 주가는 연장 거래에서 약 12% 하락했다. 웨이페어는 성명에서 "거래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가치, 상품 및 고객 경험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장난감


장난감 제조업체도 미국 시장을 위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베트남에 의존하고 있다. 해즈브로, 스핀마스터, 마텔, 크레욜라는 동남아시아 최대 장난감 제조업체 중 하나인 GFT 그룹과 협력하는 회사 중 하나이다. GFT는 중국 내 오랜 제조 시설 외에도 현재 베트남 북부에 5개의 제조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1만 5천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3월 초 CNBC와의 통화에서 펀코의 CFO 이브 르펜데븐은 내년에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공장 비용 재협상, 다른 국가로의 생산 전환 가속화 및 가격 조정"을 통해 관세를 상쇄할 수 있다. CFO는 펀코의 전 세계 수입품 중 약 3분의 1이 중국에서 수입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펀코가 생산을 이전하는 다른 국가의 이름은 밝히지 않았지만, 펀코는 GFT 고객이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