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27.2℃
  • 맑음강릉 25.8℃
  • 맑음서울 27.4℃
  • 구름조금대전 27.8℃
  • 맑음대구 28.4℃
  • 맑음울산 28.6℃
  • 맑음광주 27.8℃
  • 맑음부산 29.2℃
  • 맑음고창 27.4℃
  • 구름많음제주 26.7℃
  • 맑음강화 25.6℃
  • 맑음보은 26.0℃
  • 맑음금산 27.4℃
  • 구름많음강진군 28.8℃
  • 맑음경주시 29.9℃
  • 맑음거제 28.4℃
기상청 제공

한국미디어

국립한글박물관, 한글 문화상품의 매력을 독일에 전한다

6월 14일부터 9월 27일까지 독일한국문화원에서 ‘2024년 한글 문화상품 특별전’ 개최

 

 

(굿모닝베트남미디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국립한글박물관(관장 김일환, 이하 한글박물관)과 독일한국문화원(원장 양상근, 이하 문화원)은 한글과 한글문화 산업 활성화를 위해 오는 6월 14일부터 9월 27일까지 독일한국문화원에서 '2024년 한글 문화상품 특별전'을 개최한다. 올해 전시는 총 8~10개국에서 개최 예정이며, 캐나다(4월 26일~6월 28일), 튀르키예(5월 10일~5월 24일)에 이어 독일한국문화원에서 열리는 세 번째 전시다. 

 

전시 상품은 △2019~2023년 상품화 지원 사업을 통해 개발해 양산된 것들과 △'백자 한글상감 요거트 볼', '푸른, 푸르다 투광컵', '한글 패턴 팔각화병 시리즈' 등의 도자기류 △'이응이' 한글 완구 시리즈 △한글의 제작 원리에서 착안해 만든 한글 교구 콘텐츠 '펀트'와 한글 창제 원리를 적용한 '한글이 그크끄' 시리즈 △'한글 초성 도미노 게임', '라온 조각', '글모이', '우왕좌왕 세종대왕' 등 한글을 활용한 다양한 게임 △세종의 정신과 한글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한 디퓨저 '세종1446' △국내,외의 젊은 계층이 좋아하는 단어들을 디자인으로 활용한 '갓', '탈' 패션 의류 △한글과 인기 있는 대중음악을 결합한 게임 애플리케이션 '케이팝 천지인' 등 다채로운 콘텐츠와 문화상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전시 이외에도 관람객들에게 한글 블록, 도미노 게임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14일 개막식 당일에는 SNS 전시 관람 인증 이벤트를 통해 한글 문화 상품을 증정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양상근 문화원장은 '이번 전시는 독일 현지인들에게 한글과 한국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글박물관 안승섭 기획운영과장은 '이번 전시로 독일에서도 K-culture의 근간인 한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표명했다. 

 

한국교육문화재단이 주관하는 이번 전시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한글산업화 누리집(www.hangeulmade.org)과 독일한국문화원 누리집 또는 전화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베트남

더보기
[인터넷] 베트남, 2030년까지 해저 광케이블선 10개 신규 도입
6월 14일 정보통신부는 "2035년 비전과 함께 2030년까지 베트남 국제 광케이블 시스템 개발 전략"을 승인했다. 이 전략은 디지털 인프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베트남의 국제 광케이블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제 연결을 위한 초대용량 및 초광대역폭을 보장하기 위한 현대 투자를 우선시합니다. 목표는 지역 데이터 센터가 되려는 베트남의 열망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베트남 인터넷 네트워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 광섬유 케이블 라인을 구축, 배치 및 수리하는 데 자율성을 구축하는 것을 강조한다. 디지털 경제, 사회, 국방 및 안보 발전을 위한 국제 연결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영 기업이 국제 광섬유 케이블 배치를 개척하도록 장려하는 동시에 국내외 기업의 투자 및 건설 참여를 장려하여 베트남 국제 광섬유 케이블 시스템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한다. 전략적 비전 2035년까지 베트남의 국제 광케이블 시스템은 양, 용량, 품질 면에서 이 지역에서 선두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개발은 투자를 유치하고 대형 데이터 센터를 지원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향상시켜 베트남을 지역 및 글로벌 디지털 인프라의 필수 요소로 만들 것으로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