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올해 첫 7개월 동안 9개 지방이 10억 달러 이상의 FDI를 유치, 호치민시가 선두를....

2025년 첫 7개월 동안 합병 후 전국적으로 9개 지방이 FDI 유치액 10억 달러를 달성했다. 호치민시가 1위를 차지했으며, 하노이, 박닌, 동나이 등의 지방 및 도시가 그 뒤를 이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 31일 기준 베트남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등록액은 240억 9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7.3% 증가했다.

 

이 중 신규 허가를 받은 프로젝트는 2,254개이며, 등록 자본금은 100억 3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프로젝트 수 기준 15.2% 증가했고, 등록 자본금은 11.1% 감소했다. 조정된 등록 자본금 기준으로는 전년도 허가를 받은 920개 프로젝트가 투자 자본을 99억 9천만 달러 추가 조정하여 등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5.3% 증가했다.

 

외국인 투자자의 등록 자본금 출자 및 주식 매수는 1,982건으로, 총 자본금 출자액은 40억 7천만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61.0% 증가했다. 이 중 836건의 자본금 출자 및 주식 매수로 기업의 정관 자본금이 증가하여 자본금 출자액은 15억 2천만 달러에 달했고, 1,146건의 외국인 투자자는 정관 자본금 증액 없이 국내 주식을 매입하여 25억 5천만 달러에 달했다.

 

7월 1일 합병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은 전국 31개 성·시에 투자했다. 특히 호찌민시(바리아붕따우성 및 빈증성과 합병), 박닌(박장성과 합병), 동나이(빈프억성과 합병), 하이퐁(하이증성과 합병) 등 새로운 산업 생산 및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중심지가 잇따라 등장했다.

 

호찌민시, 상반기 FDI 유치 40억 달러로 전국 1위 유지

 

호찌민시가 올해 1~7월 동안 40억 2,000만 달러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치하며, 베트남 내 FDI 유치 1위 지역의 자리를 지켰다. 외국인투자청(FIA)에 따르면, 호찌민시는 ▲1,094건 신규 등록 프로젝트(13억 달러) ▲264건 증액 프로젝트(6억 5,100만 달러) ▲1,429건 지분 인수·출자(20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구 호찌민·빈즈엉·바리아붕따우 3개 지역을 합친 FDI 유치액과 비교하면 9.4% 감소했다.

 

박닌성, 하노이 제치고 2위


박닌성은 총 40억 1,800만 달러를 유치하며 2위에 올랐다. 신규 등록 프로젝트는 228건(11억 달러), 증액 프로젝트는 149건(27억 6,000만 달러), 지분 인수·출자는 36건(1억 4,800만 달러)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했으나, 하노이를 제치고 ‘산업 초강자’ 면모를 드러냈다.

 

하노이, 전년 대비 165% 증가하며 3위

 

하노이는 총 37억 6,000만 달러로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65% 증가한 수치다. 신규 프로젝트는 222건(2억 4,400만 달러), 증액 프로젝트는 98건(31억 9,000만 달러), 지분 인수·출자는 211건(3억 2,960만 달러)이었다.

 

기타 주요 지역 FDI 현황 (1~7월, 2025년)

  • 동나이(4위): 24억 달러 – 신규 109건(8억 4,870만 달러), 증액 74건(10억 2,000만 달러), 지분 인수 45건(5억 6,400만 달러)

  • 닌빈(5위): 15억 1,000만 달러 – 신규 58건(10억 1,000만 달러), 증액 49건(4억 7,100만 달러), 지분 인수 10건(3,600만 달러)

  • 하이퐁(6위): 15억 달러 – 신규 133건(10억 3,000만 달러), 증액 59건(3억 5,800만 달러), 지분 인수 44건(1억 900만 달러)

  • 흥옌(7위): 13억 3,000만 달러 – 신규 91건(10억 달러 이상), 증액 19건(1억 3,700만 달러), 지분 인수 16건(1억 3,100만 달러)

  • 떠이닌(8위): 12억 1,500만 달러 – 신규 126건(6억 3,600만 달러), 증액 95건(2억 3,800만 달러), 지분 인수 61건(3억 4,100만 달러)

  • 자라이(9위): 10억 7,200만 달러 – 신규·증액·지분 인수 포함

 

이로써, 2025년 1~7월 기준 FDI 유치 10억 달러 이상 지역은 총 9곳이며, 호찌민시와 북닌성이 나란히 40억 달러를 기록하며 선두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베트남

더보기
[트렌드] 테크놀리지: 스마트폰 '사슬 묶기'…젊은 층, 디지털 단절 추구
끊임없는 연결의 시대,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스마트폰을 벽에 걸거나 블루투스 유선전화로 전환하는 '사슬 묶기'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이들은 기술 의존에서 벗어나 단순한 삶을 추구하며, 스마트폰과의 물리적 거리두기를 통해 정신적 자유를 찾고 있다. 스마트폰 과의존 깨닫고 실험 나선 젊은이들 뉴욕의 테크 문화 작가 티파니 응(24)은 아이폰에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느껴 일주일간 실험을 진행했다. 그녀는 아이폰을 충전한 뒤 끈으로 묶어 벽에 걸고, 집 밖으로 가져가지 않거나 재충전하지 않았다.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끈 위에 의자를 놓았지만, 불편함 덕에 오래 머물지 않았다. 처음 며칠은 집에 돌아와 전화를 확인하고 싶었지만, 점차 그 갈망이 사라졌다. 놀랍게도 전화가 시야에서 사라지자 거의 잊어버렸다. 공원에서 친구를 만나거나 카페에서 일할 때 주변 세계에 더 집중하게 됐다. 실험 후 그녀는 전화를 다른 방에 두거나 외출 시 집에 두는 습관을 유지하며, Z세대 다수가 단순한 기술과 삶의 경험을 갈망한다고 믿는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 통계로 드러나 2023년 말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40% 이상(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