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미래에셋파이낸스(MAFC)가 올해 상반기 801억 동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로 돌아섰다. 그러나 누적손실과 높은 부채비율로 재무 안정성 확보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 2년 연속 적자 후 흑자 전환
MAFC는 2025년 상반기 순이익 801억 동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3,460억 동 손실에서 반등했다. 회사 측은 2023년 9,630억 동, 2024년 1,590억 동 손실을 기록한 뒤 2년 연속 적자에서 벗어난 결과라고 설명했다. 6월 말 기준 누적 손실은 4,446억 동으로 집계됐다.
■ 자본 대비 부채 7배, 사채 이자 유예
MAFC의 출자자본은 2조 동이나, 누적손실 반영 후 자기자본은 1조 6,650억 동에 불과하다. 반면 총 부채는 12조 3,470억 동으로 연초 대비 5.3% 증가했다. 은행 대출이 7조 5,268억 동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기타 부채는 4조 동 이상, 채권 부채 8,000억 동이 남아 있다. 이로 인해 부채비율(D/E)은 7.42배에 달한다.
MAFC는 2023년 12월 발행한 10년 만기 비전환사채에 대해 3회차 이자 지급을 2024년 9월까지 유예했다. 현재 이 채권 부채의 미상환 잔액은 8,000억 동이다.
■ 미래에셋 계열사…재무 안정성 확보 과제
MAFC는 한국 미래에셋그룹의 계열사로 2011년 베트남에서 정식 영업을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흑자 전환은 긍정적 신호이나, 높은 부채비율과 사채 이자 부담을 관리하는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지속적인 흑자 유지에도 불구하고, 자기자본 대비 7배에 달하는 부채 구조는 향후 재무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