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1.9℃
  • 구름조금강릉 8.7℃
  • 흐림서울 3.7℃
  • 구름많음대전 4.3℃
  • 구름많음대구 10.1℃
  • 연무울산 10.7℃
  • 맑음광주 9.0℃
  • 연무부산 13.1℃
  • 구름조금고창 8.2℃
  • 구름많음제주 14.0℃
  • 구름많음강화 2.7℃
  • 맑음보은 4.6℃
  • 흐림금산 5.8℃
  • 맑음강진군 10.1℃
  • 구름조금경주시 10.7℃
  • 맑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금융∙주식

[베트남금융] 신한은행 베트남, 상반기 세전이익 12%↓...2조 7,870억동 그쳐

 

베트남 신한은행(Shinhan Bank Vietnam Limited)이 상반기 세전이익 2조7870억동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2.2% 감소했다. 세후이익도 2조2,220억동으로 12% 줄었으며, 이는 비용 급증과 순이자수익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다만 외환 및 투자증권 부문은 긍정적 성과를 보였다.

 

 

신한은행이 최근 발표한 2025년 중간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총운영이익(TOI)은 4조6,060억동으로 전년 대비 5.9% 줄었다. 반면 운영비용은 9.6% 증가한 1조5,41억0동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사업활동 순이익은 3조650억동으로 12.1% 감소했다.

 

수익 구조를 보면 순이자수익이 3조9,230억동으로 8.1% 하락했다. 이는 이자비용(27.7%↑)이 이자수익(2.1%↑)보다 크게 증가한 탓이다. 반대로 비이자수익은 6,830억동으로 9.26% 성장했다. 외환 사업이 4,310억동(20%↑)으로 주도했으며, 투자증권 순수익도 860억동으로 지난해(30억동) 대비 대폭 늘었다.

 

반면 서비스와 기타 활동 부문은 각각 31.4%, 53% 감소한 1,370억동과 290억동에 그쳤다.

 

6월 말 기준 총자산은 207조1,770억동으로 연초 대비 6.5% 증가했다. 고객 대출 잔액은 134조4,450억동(7.2%↑), 고객 예금은 124조8,390억동(6.6%↑)을 기록했다. 자기자본은 36조5,450억동으로 6.5% 늘었으나, 자기자본수익률(ROE)은 6%에 불과했다.

 

신한은행 베트남은 한국 신한은행의 자회사이자 신한금융그룹 산하로, 한국·영국·미국·캐나다·중국·베트남·인도·일본·싱가포르·홍콩·호주 등 20개국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에는 1993년 호찌민시 대표사무소 형태로 처음 진출했으며, 30년 만에 북·중·남부 주요 지역으로 확장했다. 현재 전국에 54개 지점·거래소를 운영 중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비용 증가와 이자수익 압박이 외국계 은행들의 수익성을 위협하고 있지만, 외환·투자 부문 성장이 베트남 시장의 잠재력을 보여준다"며 "하반기 경제 회복에 따라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테크놀리지] 삼성, 세계 최초 트라이폴드폰 12월 5일 출시…가격 3000달러, 중국·싱가포르 등 한정 시장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 트라이폴드(3단 접이식) 스마트폰을 이르면 12월 초 선보일 전망이다. 고가 전략으로 기술력을 과시하며 애플 폴더블 아이폰 출시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포니어라(PhoneArena)는 한국 내 두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의 첫 트라이폴드폰(가칭 갤럭시 G 폴드)이 12월 5일 출시된다고 13일 보도했다. 삼성은 보통 12월 언팩드 행사를 열지 않지만, 이번에는 소규모 런칭 행사로 제품 특징·스펙·가격을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갤럭시 G 폴드는 초기 중국·싱가포르·UAE·한국 등 한정 시장에서만 판매되며, 한국 내 가격은 약 440만 원(3000달러)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삼성의 초기 판매 목표는 2만~3만 대에 불과해 대량 생산보다는 기술 시연 목적이 강하다. 제품은 10월 말 서울 K-테크 쇼케이스에서 공개됐으며, 'G-타입' 디자인을 채택해 내측으로 접히는 구조로 내구성과 품질을 강조했다. 이는 화웨이 메이트 XT의 'S-타입' 외측 접이식과 차별화된다. 다만 시장 출시 전이어서 어느 방식이 우위인지 평가하기는 이르다. 접었을 때 6.5인치 스마트폰 크기, 펼쳤을 때 10인치 태블릿에 해당하며, 한국경제신문

문화연예

더보기
데블스캔디,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peep’ 론칭… 캐릭터 엔터테크 기업으로 도약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기업 데블스캔디(Devil’s Candy)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eep)’을 공식 론칭하며 ‘캐릭터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힙핍’은 사막에서 살아남는 작고 엉뚱한 개구리 캐릭터로, 잘하는 건 없지만 생존력 하나만큼은 강한 자연계의 최약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다. 이 캐릭터는 대사 없이 표정과 상황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넌버벌(non-verbal) 3D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전개되며, 유튜브 및 글로벌 숏폼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데블스캔디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술 기반의 콘텐츠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 캐릭터의 행동·표정·스토리 생성 과정 전반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이를 통해 짧은 기간 안에 다수의 에피소드와 캐릭터 변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AI-IP 프로덕션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데블스캔디 이동석 대표는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상상력을 현실로 확장시키는 엔진”이라며 “‘힙핍’을 시작으로 기술과 감성이 결합된 IP 비즈니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K-엔터테크 스튜디오로 성장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