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비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요약] 베트남 물류의 현재와 미래, 무역·유통의 심장, 물류 산업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시장 현황: 경제 성장과 투자 동향 2024년 물류 시장 규모: 485억 7천만 달러 (+7.5%) GDP 기여도: 4.5~5% 성장 요인: 수출입 확대(15%↑) 산업단지 확장, 전자상거래 급성장 FDI와 투자 동향 1991~2024년: 한국이 전체 물류 FDI의 20%로 1위 주요 투자 지역: 호치민(840개), 하노이(380개), 하이퐁(150개) 투자 형태: 합작 50.4%, 100% 외자 48.7% 최근 M&A 활발: CJ, Sumitomo, PSA 등 글로벌 기업 참여 운송수단별 비중 도로운송: 75% (최대 비중) 내륙수로: 19.8% 해상: 5% 철도: 0.2% 항공: 0.01% 도로 중심 구조, 대변화 필요 주요 이슈 물류 물류비용: GDP 대비 16~17% (싱가포르 8%의 2배 수준) 교통법 개정(2025): 운전자 제한, 배출가스 규제 → 비용 10~20% 상승 전망 해운 운임 급등: 홍해 분쟁 여파로 6개월간 최대 300% 상승 숙련 인력 부족: 전문 인력은 전체의 10% 수준 미래 전망 2025년 시장 규모: 520억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