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흐림동두천 6.5℃
  • 구름많음강릉 10.2℃
  • 구름많음서울 6.6℃
  • 구름많음대전 8.4℃
  • 대구 10.5℃
  • 맑음울산 12.5℃
  • 구름많음광주 9.5℃
  • 맑음부산 11.6℃
  • 구름많음고창 9.0℃
  • 황사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7.4℃
  • 구름많음보은 8.0℃
  • 구름많음금산 8.1℃
  • 흐림강진군 10.0℃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0.9℃
기상청 제공

QS 세계대학평가: 한국 5개 대학 세계 톱 100에 진입

영국의 글로벌 대학 평가 기관 QS(Quacquarelli Symonds: https://www.qs.com/)가 28일 새벽 발표한 ‘2023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대학 5곳이 100위 안에 들었다.

 

이번 평가는 전 세계 5000여 대학을 평가해 1500위까지 순위를 매겼다. 올해 20년째를 맞는 QS 세계대학평가는 학생, 교육 기관, 정부 등 전 세계 교육 수요 자 및 이해 관계자들이 가장 많이 참조하는 대학평가이다.

 

국내 4년제 대학 중에선 43곳이 올해 QS 대학 순위에 들었다. 대구경북과기원과 순천향대는 올해 처음으로 순위권에 진입했다. 100위 안에 든 우리나라 대학은 서울대(41위), 카이스트(56위), 연세대(76위), 고려대(79위), 포스텍(100위) 등 5곳으로, 지난해보다 한 곳 줄었다.

 

QS가 올해 대학평가 20주년을 맞아 평가 기준에 국제 연구 네트워크(IRN)와 취업 성과 등 새로운 지표를 반영하면서, 세종대를 제외한 한국 대학들의 순위가 대부분 떨어졌다. 그럼에도 100위 안 한국 대학은 프랑스·독일·일본(각각 4곳)보다 많았고, 중국(5곳·홍콩 별도 집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QS 세계대학평가 순위에서 1위는 미국의 MIT이고,  케임브리지대(영), 옥퍼드(영)이 2, 3위를 차지했다. 하버대는 4위, 스탠퍼드대는 5위, 영국의 임페리얼칼리지가 6위, ETH 취리히(스위스)가 7위, 아시아의 싱가포르 국립대가 8위, UCL(영국) 9위 그리고 UC버클리(미국)다 10위를 차지했다.

 

QS 세계대학평가 한국대학 순위는 서울대가 세계 41위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 대학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대학 순위 대학 순위 대학 순위
서울대 41 울산과기원 266 서강대 509
카이스트 56 대구경북과기원 307 경북대 520
연세대 76 광주과기원 328 한국외대 575
고려대 79 경희대 332 부산대 611-620
포스텍 100 세종대 436 아주대 631-640
성균관대 145 중앙대 494 동국대 671-680
한양대 164 이화여대 498 인하대 691-700

자료=QS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이 상위 8위를 차지했다. 아시아 대학 중에 둘째로 높은 순위는 중국 베이징대(17위)였다. 이어 중국 칭화대(25위), 싱가포르 난양공대(26위), 홍콩대(26위), 일본 도쿄대(28위) 순이었다.

 

벤 소터 QS 수석부사장은 “한국은 톱100 순위에서 (한국보다) 인구와 경제 규모가 더 큰 독일·일본·프랑스 등과 동등한 실적을 냈다”며 “학령 인구 감소라는 큰 위기가 있지만 뛰어난 고등교육 시스템과 ‘한류’ 등 한국의 브랜드 파워로 이를 극복해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GMK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데블스캔디,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peep’ 론칭… 캐릭터 엔터테크 기업으로 도약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기업 데블스캔디(Devil’s Candy)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eep)’을 공식 론칭하며 ‘캐릭터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힙핍’은 사막에서 살아남는 작고 엉뚱한 개구리 캐릭터로, 잘하는 건 없지만 생존력 하나만큼은 강한 자연계의 최약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다. 이 캐릭터는 대사 없이 표정과 상황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넌버벌(non-verbal) 3D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전개되며, 유튜브 및 글로벌 숏폼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데블스캔디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술 기반의 콘텐츠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 캐릭터의 행동·표정·스토리 생성 과정 전반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이를 통해 짧은 기간 안에 다수의 에피소드와 캐릭터 변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AI-IP 프로덕션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데블스캔디 이동석 대표는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상상력을 현실로 확장시키는 엔진”이라며 “‘힙핍’을 시작으로 기술과 감성이 결합된 IP 비즈니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K-엔터테크 스튜디오로 성장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