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동남아 3위… 2024년 250억 달러 규모 달성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이 2024년 250억 달러(약 33조 원) 규모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20% 성장,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전체 소매 판매 및 소비자 서비스의 약 10%를 차지하며, 인도네시아(650억 달러), 태국(260억 달러)에 이어 지역 3위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5일 하노이에서 열린 ‘전자상거래 및 국경 간 전자상거래 전망 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포럼은 ‘베트남 국제 소싱 2025 전시회’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은 2030년까지 약 63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주요 성장 동력: FMCG, 패션, 가전

 

유넷(YouNet) ECI 보고서에 따르면, 빠르게 유통되는 소비재(FMCG)가 62%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가전·기술 제품(41%), 패션·액세서리(39%)가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산업은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주요 동력으로, 유아용품, 뷰티, 식품 등도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 국가 수출 전략으로 부상

 

글로벌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은 2024년 7,915억 달러에 달하며, 향후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Cognitive Market Research). 베트남은 이를 국가 수출 전략의 핵심으로 삼아 ‘고글로벌(GoGlobal) 플랜’과 2026~2030년 국가 전자상거래 발전 마스터플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디지털 수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판티탕(Phan Thi Thang) 차관은 “베트남 브랜드와 현지 제품이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미국, 중국, EU, 일본, 한국, 그리고 ASEAN, 중동, 러시아, 호주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며, “국경 간 전자상거래는 베트남 기업의 사업 방정식에서 중요한 트렌드이자 국가 수출 전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정책 지원과 글로벌 협력 강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자상거래·디지털경제국은 △제도 및 정책 완비 △기업 교육 및 역량 강화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과의 연결을 통해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해외 베트남 무역사무소와 협력해 전자상거래 모델을 활용한 베트남 상품의 세계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있다.

 

글로벌 진출을 위한 3대 기둥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베트남 상품과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브랜드 구축 △기술 투자 △물류 인프라 최적화를 3대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베트남은 세계 무역 지도에서 더욱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다우기술, 다우오피스 AI 기능 업데이트… 지능형 챗봇으로 업무 효율 극대화
다우기술(대표 김윤덕)은 자사의 통합 업무 플랫폼 ‘다우오피스(DaouOffice)’의 AI 기능을 확대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AI를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닌 일상 업무 속에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는 ‘업무용 AI’로 확장시키는 데 중점을 뒀다. ‘다우오피스’는 메일, 전자결재, 메신저, 근태관리, 인사관리 등 기업의 핵심 업무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이다. 이번 개선으로 AI 작성 기능은 기존 이메일 작성에 국한되지 않고 게시판과 커뮤니티 등 협업 영역 전반으로 확대됐다. 사용자는 서비스 화면 내에서 곧바로 AI를 통해 초안을 작성하거나 문장을 다듬을 수 있으며, 별도의 창 전환이 필요 없는 통합형 UI/UX 구조로 더욱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첨부파일 기반 AI 요약 기능이 추가돼 회의록, 보고서, 공지문 등 다양한 문서의 주요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첨부파일 요약 결과는 포털 화면 내에서 즉시 확인 가능해 효율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 여기에 더해 게시판과 문서관리 앱 데이터를 학습한 AI 챗봇 기능도 새롭게 추가됐다. 사용자가 ‘휴가 규정 알려줘’나 ‘첨부한 파일에서 작년 매출을 알려줘’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