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T 통신 대기업 VNPT 그룹이 베트남의 취약한 해저 연결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육상 기반 국제 인터넷 광케이블 시스템인 VSTN을 설치했다. 월요일부터 가동을 시작한 3,900km 길이의 VSTN 케이블은 다낭 시내에서 라오스, 태국, 말레이시아를 거쳐 싱가포르까지 이어진다. 베트남 기업이 완전 소유 및 운영하는 최초의 국제 케이블이다.
시스템은 DWDM(고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 기술을 활용하며, 각 파장은 최소 300Gbps의 용량을 제공한다. 설계 용량은 4Tbps이지만 최대 12Tbps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고속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디지털 금융, 온라인 회의 등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해저 케이블은 정기적으로 중단되고 복구 속도가 느리지만, 육상 시스템은 인터넷 중단 위험을 줄이고 운영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
VNPT CEO 후인꽝리엠(Huynh Quang Liem)은 2022년 이후 베트남의 해저 케이블 시스템에 연평균 10건의 고장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한때는 베트남과 연결되는 국제 해저 케이블 5개 중 4개가 손상되어 국제 대역폭이 심각하게 감소했고, VNPT는 용량의 75%를 잃었다."
해저 케이블 수리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수리 기간은 2~3개월에서 최대 6개월까지 소요된다. AAG 케이블은 한때 수리에 12개월이 걸렸다."
그는 VSTN 구축을 통해 베트남의 글로벌 연결성이 다각화되고 통신 인프라 백업 용량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VSTN을 기존 해저 케이블의 부담을 완화하는 "안전 밸브"로 묘사했으며, 자연재해 발생 시 복원력을 향상시키고 베트남의 기술적 자율성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응우옌만훙 과학기술부 장관은 출범식에서 이 프로젝트를 "하나의 아세안, 하나의 디지털 아세안(One ASEAN, One Digital ASEAN)"의 생생한 이미지라고 칭했다. 그는 통신 인프라가 디지털 경제의 기반이 된 만큼 안전하고 지속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베트남은 다양한 지리적 방향에 더 많은 해저 케이블과 장애 발생 시 빠른 복구를 제공하는 육상 케이블을 설치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그는 베트남이 최초로 100% 자체 소유 시스템을 구축한 VNPT를 칭찬하며, "베트남의 디지털 인프라가 초광대역, 대용량, 포용성, 지능성, 개방성, 보안성, 지속 가능성, 그리고 친환경성을 갖추도록" 국내 통신사들이 더 많은 VSTN을 구축하기를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