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월 말, 베트남 동화(VND) 가 다시 약세 압박을 받으며 암시장에서 미달러(USD) 환율이 1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공식 환율은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암 시장, 달러 1달러당 27,800동 돌파
10월 31일 기준, 암시장 시장에서 달러는 27,672~27,792동에 거래되었으며, 이는 은행권 매도 환율(약 26,137동)보다 1,500동 이상 높은 수준이었다. 다음날인 11월 1일에는 27,850동까지 오르며 2013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비엣드래곤증권(VDSC) 은 “2025년 초부터 자유시장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공식·비공식 시장 간 격차가 12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며 “외환 수급 불균형 신호가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달러 강세 배경 – 美 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이번 달러 강세의 핵심 원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 ‘고금리 장기 유지’ 정책이다. 미 연준이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부인하자, 글로벌 투자자들의 달러 선호가 더욱 강화되며 신흥국 통화 전반이 압박을 받았다.
여기에 수입 회복, FDI(외국인직접투자) 집행 둔화, 국내 금·환율 차이 확대 등이 맞물리며 달러 수요가 급증했다. 일부 기업과 가계는 환차손 위험 회피를 위해 달러를 비축하고 있으며, 금값 격차로 인한 역외 달러 유입도 자유시장 환율 상승을 부추겼다.
베트남 중앙은행, 외환시장 안정 조치 시행
암시장 시장의 급등세에도 불구하고, 중앙은행 중심의 공식 외환시장은 비교적 통제되고 있다. 베트남 중앙은행(SBV) 은 10월 22일, 약 15억 달러 규모의 외환선도계약(취소가능형) 을 통해 시장 안정 조치를 시행했다.
또한 동화와 달러 간 금리 격차 축소로 인해, VND 보유 매력이 낮아지고 일부 자금이 달러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
향후 전망 – “공식 환율은 점진적 안정세”
시장 분석가 매트 심슨(Matt Simpson) 은 “제롬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부인하면서 시장이 놀랐다”며, “향후 발표될 ISM 지수의 ‘물가·고용 세부지표’ 가 달러 향방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외부 충격이 없을 경우, USD/VND 공식 환율은 2~4% 범위 내에서 완만한 상승세 또는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SBV의 외환보유고와 재정·통화정책의 공조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Standard Chartered) 은 지난주 보고서에서 2025년 USD/VND 환율 전망치를 26,300동, 2026년은 26,750동으로 유지했다.
또한 재할인율(Refinancing rate) 은 2025~2026년까지 4.5%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완화적 금융 환경이 투자·산업 확장세를 뒷받침할 것으로 분석했다.
요약하자면, 암시장 환율 급등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중앙은행은 외환시장 관리에 주력하고 있으며, 공식 환율은 연내 안정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글로벌 달러 강세와 금리 불확실성은 여전히 향후 베트남 동화의 주요 변수로 남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