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센디아(ASENDIA)의 박문수 대표이사가 10월 22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제18회 반도체의 날’ 기념식에서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국내 반도체 장비 산업에서 RF 핵심 부품의 기술 자립을 이끌고, 품질 혁신과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진해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박 대표가 이끄는 아센디아는 반도체 장비용 ‘RF 매칭 네트워크(Matcher)’와 ‘RF 제너레이터(Generator)’를 독자 기술로 개발하며 해외 의존도가 높던 RF 시스템 부품의 국산화와 기술 자립화를 실현했다. 특히 글로벌 반도체 장비업체들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고주파 정합 및 플라즈마 제어 기술을 고도화하면서 국내 RF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아센디아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주요 장비사로부터 안정적인 공급망 파트너로 인정받고 있으며, RF Matcher와 Generator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반도체 공정에 대응하는 통합 RF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며 글로벌 장비 제조사들과의 기술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기술과 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한 아센디아는
								헥사곤의 에셋 라이프사이클 인텔리전스(Asset Lifecycle Intelligence) 부문이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산업 조직들이 디지털 스레드(Digital Thread)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투자 수익률(ROI)을 저해하는 근본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APAC 지역 기업의 70%가 디지털 스레드 또는 데이터 연결성 기술을 자주 혹은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을 앞서고 유럽과도 근소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APAC 지역 리더의 54%는 디지털 전환 노력이 기대한 만큼의 ROI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응답했으며, 그 원인으로는 레거시 시스템, 수작업 프로세스, 인력 역량과 관련된 지속적인 문제가 지목됐다. 지역별 과제가 드러낸 복잡성 이번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 여정을 겪고 있는 자산 집약적 산업들이 직면한 지역별 트렌드와 과제를 다음과 같이 강조하고 있다. · 호주는 광범위한 지리적 분포와 기존 레거시 시스템으로 인해 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광업·에너지·유틸리티 분야의 강력한 규제 요인이 디지털화를 견인하고 있다. · 일본은 정밀 제조 및 예지 정비
								AI 기반 3D 디자인 자동화 기술을 선도하는 리빌더에이아이(대표 김정현)가 세계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경진대회인 ‘Entrepreneurship World Cup(EWC) 2025’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 AI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 169개국 치열한 경쟁 속 파이널 진출, 150만달러 상금 도전 ‘Entrepreneurship World Cup(EWC)’는 매년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권위 있는 글로벌 경연대회다. 올해는 169개국에서 수천 개의 스타트업이 지원해 기술력, 사업성, 시장 확장성을 치열하게 겨뤘다. 리빌더AI는 이러한 글로벌 경쟁을 뚫고 한국을 대표해 파이널 라운드 진출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최종 라운드는 오는 11월 4일부터 9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되는 ‘Biban Forum 2025’에서 진행되며, 총 150만달러(약 20억원) 규모의 상금을 놓고 각국 최정예 스타트업들이 최종 경쟁을 벌인다. ‘Biban Forum 2025’는 중동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생태계 행사로, 전 세계 투자자, 글로벌 기업, 정부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비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선도기업 비댁스(대표 류홍열)가 ‘비댁스(BDACS) 1DAY 아이디어톤’ 본선을 10월 26일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 314~317호에서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창의적 디지털 서비스 아이디어 발굴과 부산 지역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기획됐으며, AI 및 창업 교육 전문 기업 멋쟁이사자처럼이 참가팀 모집 및 행사 운영을 맡았다. 부산광역시, 부산디지털거래소, 부산일보, 우리은행, 아발란체(Avalanche), 폴리매쉬(Polymesh), GK8 등 다양한 협력사와 협업해 예선 참가팀을 발굴했으며, 서류심사를 통과한 총 20개 팀이 본선 발표 기회를 얻었다. 본선에 진출한 참가팀은 개별 온라인 멘토링을 통해 아이디어의 기술적 완성도 및 사업화 가능성을 고도화했으며, 이날 최종 발표 및 심사가 진행됐다. 심사 결과, △Triangle이 대상의 영예를 안았고, 최우수상에는 △NextWave Busan △Quantus가 선정됐다. 우수상에는 △ChainBridge △티엑스미가, 장려상에는 △메멘토큰 △WTK, 부산광역시장상에는 △스파클이 선정됐다. 수상팀에는 대상 150만원, 최우수상 각 100만원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기업 에이아이브(AIEEV, 대표 박세진)가 22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에 참여해 자사의 분산형 AI 클라우드 인프라 기술과 AI 산업 전환 방향성을 공유했다. ‘이미 시작된 미래, All on AI’를 주제로 열린 FIX 2025는 AI를 중심으로 한 산업 혁신과 도시 전환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대구시가 추진 중인 ABB(AI·Big Data·Blockchain)·AX 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의 주요 기술 파트너들이 참여했다. 에이아이브는 이번 행사에서 AI 모델 추론과 GPU 자원 관리의 실시간 오토스케일링 기술을 소개하며, AI 기업과 연구기관이 고비용 인프라 부담 없이 대규모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했다. 박세진 에이아이브 대표는 “AI 생태계의 성장 핵심은 인프라의 효율성에 있다”며 “에이아이브는 분산형 클라우드를 통해 누구나 합리적인 비용으로 AI를 실험하고 확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에이아이브는 대구시 ABB(AI·Big Data·Blockchain) 산업과 AX 연구 생태계 내에서 추론 비용을 낮추고 접근성을 높여 지역 산업의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스타트업 에이아이브(대표 박세진)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추진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GMEP)에 선정돼 참여한 미국 실리콘밸리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Tech Center)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에이아이브는 전 세계 GPU 에지 노드를 하나의 클라우드로 연결하는 분산형 인프라 기술 ‘에어클라우드(Air Cloud)’를 개발한 기업으로, 이를 통해 기존 데이터센터의 고비용·고전력 구조를 개선하고 AI 추론에 필요한 인프라를 누구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플러그앤플레이는 페이팔과 드롭박스를 배출한 세계 최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며, GMEP는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해외 PoC, 투자 유치, 사업화를 지원하는 국가 프로그램이다. 에이아이브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실리콘밸리 현지에서 다수의 글로벌 VC 및 AI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Air Cloud의 기술력과 성장 비전을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현지 기업들과 PoC 및 공동 사업화 논의를 시작했으며, 국내외 기관들과의 투자 및 파트너십 협의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에이아이브는 Air Clou
								비즈니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쿠콘(대표 김종현, 코스닥 294570)이 비대면 환경에서 고객의 신원을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는 ‘신분증 본인확인 패키지’ API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패키지는 디지털 환경에서 고객의 신원을 정확하고 빠르게 검증할 수 있도록 신분증 사본 판별, 안면 일치 여부 조회, OCR, 진위 확인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실명 확인 솔루션이다. 최근 비대면 계좌 개설, 대출 신청 등 비대면 금융거래가 확산되면서 신분증 위·변조를 통한 전기통신금융사기나 대포 계좌 개설 등 금융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고객 확인 절차(KYC, Know Your Customer)를 강화하고 있으며, 정부 또한 비대면 본인확인 제도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쿠콘은 기업들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고객 확인 수요 증가에 대응해 시장의 니즈를 반영한 표준화된 API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였다. 쿠콘의 본인확인 서비스는 기존의 신분증 진위 확인 기능뿐만 아니라 비전 AI 전문 기업 시선AI와의 협업을 통해 신분증 사본 판별, 안면 일치 여부 조회, OCR(광학문자인식)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실명 확인 프로세스 전반을 업그레
								다우기술(대표 김윤덕)은 자사의 통합 업무 플랫폼 ‘다우오피스(DaouOffice)’의 AI 기능을 확대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AI를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닌 일상 업무 속에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는 ‘업무용 AI’로 확장시키는 데 중점을 뒀다. ‘다우오피스’는 메일, 전자결재, 메신저, 근태관리, 인사관리 등 기업의 핵심 업무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이다. 이번 개선으로 AI 작성 기능은 기존 이메일 작성에 국한되지 않고 게시판과 커뮤니티 등 협업 영역 전반으로 확대됐다. 사용자는 서비스 화면 내에서 곧바로 AI를 통해 초안을 작성하거나 문장을 다듬을 수 있으며, 별도의 창 전환이 필요 없는 통합형 UI/UX 구조로 더욱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첨부파일 기반 AI 요약 기능이 추가돼 회의록, 보고서, 공지문 등 다양한 문서의 주요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첨부파일 요약 결과는 포털 화면 내에서 즉시 확인 가능해 효율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 여기에 더해 게시판과 문서관리 앱 데이터를 학습한 AI 챗봇 기능도 새롭게 추가됐다. 사용자가 ‘휴가 규정 알려줘’나 ‘첨부한 파일에서 작년 매출을 알려줘’
								독일의 PLM(제품수명주기관리) 전문 기업 CONTACT Software가 오는 11월 13일(목) 서울에서 ‘CONTACT Elements LIVE Tour 2025(CELT Korea)’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Fast Forward -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주제로 제조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과 AI 기반의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 일시: 2025년 11월 13일(목) 13:30 ~ 18:30 · 장소: 서울 양재 엘타워 (3호선·신분당선 양재역 9번 출구 도보 5분) 행사는 CONTACT Software가 주최하며, 국내 파트너사 Sewon Stech와 SLEXN이 함께 참여한다. 행사에서는 전기 레이싱카 제조사 사례를 통해 AI가 제품 개발의 모든 단계(아이디어 창출부터 애프터서비스까지)를 어떻게 혁신할 수 있는지를 CONTACT의 클라우드 기반 PLM 솔루션을 통해 소개한다. 세션은 ‘Fast Forward’ 시리즈로 구성돼 있으며, △경영부터 생산 현장까지의 AI 혁신(Keynote) △제품 개발과 요구사항 관리의 자동화(Presentation & Live Demo) △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모바일, PC, 콘솔, 디지털 광고를 포괄해 일본 게임 시장의 수익, 다운로드 추세, 장르별 성과, 글로벌 영향력, 주요 광고 인사이트를 담은 ‘2025년 일본 게임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공개했다. 2025년 일본은 약 110억달러 규모의 인앱 구매 수익을 기록하며, 아시아에서 중국 iOS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다운로드는 6억2800만 건으로 다소 낮았지만 콘솔 유산과 상징적 IP, 게임이 생활문화로 자리한 환경이 뒷받침하며 성숙한 게임 생태계의 회복력을 보여줬다. 일본 시장의 강점은 여전히 높은 ARPU(이용자당 평균 수익)다. 시장이 다소 정체됐음에도 충성도 높은 이용자층과 효율적인 수익화 전략을 기반으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모바일 다운로드는 2020년 이후 연간 6억 건 이상 수준에서 안정화됐다. iOS는 계속해서 선두를 유지하며 Apple의 시장 지배력을 보여주는 반면, Google Play는 꾸준한 점유율을 유지하지만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아 오랜 플랫폼 선호도를 반영했다. 다운로드가 정체된 상황에서도 인앱 구매 수익은 1조6000억 엔을 꾸준히 상회하며 견조한 흐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