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내항공] 호찌민시에서 하노이 도착 승객은 7일 집중 격리

 

탄손낫 공항에서 노이바이까지 여행하고 하노이에 머무는 승객은 7일 격리 후 추가 7일을 집에서 모니터링한다. 

 

하노이시의 위의 요청은 10월 8일 교통부에 보낸 국내 노선 재개에 대한 의견서에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10월 10일부터 20일까지의 기간 동안, 하노이는 호찌민시와 다낭으로 가는 두 개의 노선을 개통하기로 교통부와 합의했다. 비행 횟수 하루에 한 번이며, 양방향으로 승객을 태우고 용량의 50%로 간격을 유지한다. 

 

다른 지역에서 하노이로 가는 비행 경로는 일시적으로 중단항다. 시는 전염병 상황의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정부 및 교통부에 적절한 조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보고할 예정이다.

 

탄손낫에서 노이바이에 도착해 하노이에 체류하는 승객은 2회 복용량의 백신을 충족해야 하며, 이 중 2회 복용량은 비행시간과 14일 간격이며 12개월 이하이거나, F0은 6개월 이내에 질병에서 회복된다(주사 자격이 없는 경우, 보건부 지침서에 따른다).  탑승 전 72시간 이내에 음성 검사, 5K 준수, 출발 및 도착 지점에서의 의료 신고...

 

또한, 승객은 도시 시설이나 숙박 시설(호텔)에 7일 동안 격리항다. 승객은 격리 및 시험 비용에 대한 책임이 있다. 집중격리 후 7일간 거주지에서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시는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집중 격리구역, 숙박시설, 격리호텔, 관련 비용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다낭에서 노이바이까지 그리고 하노이에 머무는 승객도 위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그러나 다낭 공항에서 도착하는 손님은 집중 격리가 아닌 집에서 7일 동안만 격리하면 된다. 7일간의 자택 격리 기간 동안 1일에 1회, 6일에 2회 검체를 채취한다. 7일간의 격리 이후 승객은 7일 동안 숙소에서 계속해서 건강을 모니터링한다.

 

노이바이 공항에서 호찌민시 및 다낭으로 여행하는 승객은 교통부 및 목적지 지역의 지침에 따라 조건과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전염병 예방 및 통제에 참여하는 공무 및 단체가 하노이로 복귀하는 경우 보건부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하노이에 머물지 않는 승객은 하노이시는 교통부가 베트남 민간 항공국이 지방 및 도시와 협력하여 노이바이 공항에서 현지 사람들을 수송할 계획을 갖도록 지시할 것을 요청했다.

 

하노이는 규정에 따라 비행을 위한 모든 조건을 충족한 승객에게만 항공권을 판매할 것을 제안했다. 자격을 갖춘 승객만 비행기에 탑승할 수 있다.

 

8일 저녁 교통부는 현지 합의를 거쳐 10월 20일까지 국내선 여객노선 투입에 대한 한시적 규정을 내렸다. 교통부는 또한 하노이와 유사한 탑승 승객의 기준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격리에 관해서는, 교통부는 승객은 각 지역의 특정한 요구 사항을 준수하도록 했다.

 

교통부는 국내 노선 재개 시범기간 중 실태를 평가·요약하고, 현재 상황에 맞게 운영계획을 보완·조정할 것을 다음에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8월 초에 항공 산업은 지침 16에 따라 사회적 거리 두기를 구현하는 하노이와 호찌민 시 사이의 모든 비행을 중단했다. 그 후, 국내선 노선 전체의 항공권 판매가 중단되었다. 하노이-호찌민 노선은 하루에 최소 2회 운항을 하지만 비즈니스 손님과 전염병 예방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사람만 이용할 수 있다. 

■ 관련기사

[여행: 항공] 10월 10일부터 국내선 시범 운항


베트남

더보기
미국 명문대들, 다시 SAT·ACT 요구… “학업 성취도 저하·AI 활용 자소서 남용 우려”
미국의 주요 명문대학들이 입학전형에서 다시 SAT(미국 대학입학시험)와 ACT(대학 진학 적성시험) 점수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시험 응시가 어려워지자 도입된 ‘시험 선택제(Test-Optional)’ 정책이 학생 선발의 객관성을 훼손하고, 신입생들의 학업 수준을 떨어뜨렸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다. 프린스턴대는 지난달 “2027~2028학년도부터 SAT·ACT 점수를 다시 요구한다”고 발표했다. 프린스턴대는 최근 몇 년간 ‘시험 선택제’를 유지해왔지만, 이번 조치로 다시 표준화 시험 점수를 반영하는 대학 대열에 합류했다. 이보다 앞서 브라운대, 다트머스대, 하버드대 등 아이비리그 주요 대학들도 2023년 이후 잇따라 ‘시험 선택제’를 폐지했다. 존스홉킨스대,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 조지아·플로리다주립대학 시스템 등 다른 유수 대학들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현재 아이비리그 중에서는 콜럼비아대만이 유일하게 SAT·ACT 점수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정책을 유지 중이다. “내신 성적은 부풀려지고, 추천서는 조작 쉬워” ‘시험 선택제’는 팬데믹 당시 시험장이 폐쇄되면서 불가피하게 도입됐다. 그러나 수년간의 시행 결과, 입학사정의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