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호찌민시는 전국에서 생활비가 가장 비싸다

베트남은 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비싼 137개국 중 87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호찌민시는 하노이보다 생활비가 훨씬 비싸다.


데이터 분석 사이트 눔베오(Numbeo) 생활비 지수, 삶의 질에 따르면, 오늘날 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비싼 5개국은 각각 버뮤다, 스위스, 바하마, 바베이도스, 아이슬란드이다. 상위 10위 안에 드는 아시아는 싱가포르와 홍콩이다.

 

눔베오의 생활지표는 뉴욕 물가를 절대치로 간주하고 위의 기준에 따라 나머지 국가들을 비교한다.

 

올해 베트남은 생활비 기준으로 세계 137개국 중 87위로 2021년에 비해 9계단 상승했다.

 

눔베오에 따르면 베트남 4인 가족의 월평균 생활비는 월세를 제외한 3760만동(약1630달러)이다. 한편, 1인당 예상 비용은 월세를 제외하고 약 1050만동(450달러)이다.

 

미국과 비교하면 베트남 평균 생활비가 50% 가까이 낮다. 반면 평균 임대료는 미국보다 75% 낮다. 도심에 있는 침실 하나짜리 아파트를 임대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약 860만동(370달러) 소비해야 한다. 중심을 벗어나면, 이 수치는 560만동(240달러)이다.

 

호찌민시는 베트남에서 생활비가 가장 비싼 도시이다. 각 도시의 기준을 고려하면 호찌민시는 세계 520도시 중 385위, 하노이는 415위이다.

 

눔베오는 사람들이 호찌민시에서 임대료 포함하면 5780만동(2480달러))을 지출해야 하는 반면 하노이에서 동일한 생활 수준을 유지하려면 5100만동(2180달러)만 있으면 된다고 말했다.

 

호찌민의 기본 소비 지수의 대부분은 하노이보다 높다. 일반적으로 호찌민시 소비자 물가는 약 5.91%, 임대료는 37.65%, 레스토랑 가격은 8.08%, 식료품 가격은 7.3% 더 높다. 그러나 호찌민의 국내 구매력은 하노이보다 0.14%만 높다.

 

부동산의 경우 호찌민시의 ㎡당 가격이 하노이보다 각각 117.82% 높은 1억2180만동/m2, 하노이는 5590만동/m2이다. 중심에 있는 침실 하나짜리 아파트를 임대할 경우 호찌민시의 비용이 하노이에 비해 50% 정도 높다.

또한 하노이에 있는 4인 가족의 생활비는 월 약 3780만동(임대료 제외), 1인당 1050만동이다. 호찌민에서는 월 4070만동, 1인당은 월 1140만동이다.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는 여전히 살기에 가장 비싼 나라이다. 평균적으로 4인 가족당 월세를 제외한 8230만동에 해당하는 4863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만약 혼자 산다면, 개인은 매달 1337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싱가포르 중심가에 있는 아파트 임대료는 월 최고 3106달러로 베트남 4인 가족 생활비보다 더 높다. 방 3개짜리 아파트라면 월 임대료가 6000달러를 넘을 수 있다.

 

 

싱가포르 다음으로 캄보디아, 브루나이, 태국, 베트남이 있다. 생활비가 더 낮은 나머지 국가들은 각각 말레이시아, 필리핀, 미얀마, 인도네시아이다.

 

각 도시를 살펴보면 베트남 대표 호찌민시는 생활비가 가장 높은 20개 도시 중 9위를 차지했다.

 

 


베트남

더보기
[테크놀리지] 베트남, 완전한 칩 설계 역량 확보 ‘눈앞’… 인력 전문화·자체 개발 추진력 강화 필요
코아시아 세미 베트남(CoAsia Semi Vietnam)의 응우옌 탄 옌 대표는 베트남이 약 6,000명의 칩 설계 엔지니어를 보유하며 완전한 칩 설계 역량 확보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자체 제품 개발을 이끌어갈 강력한 추진력과 전문화된 인력 확보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베트남 반도체 산업은 현재 칩 설계 분야 약 7,000명의 엔지니어와 패키징·테스트·소재·장비 제조 분야 약 6,000명의 엔지니어, 그리고 10,000명의 기술자를 보유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00명 이상의 베트남계 반도체 전문가가 활동 중이다. 베트남 엔지니어들은 BMW, 도요타, 기아차 등 글로벌 기업에 사용되는 칩을 설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제품은 외국 기업 소유다. 응우옌 대표는 “대학이 즉시 취업 가능한 인력을 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기업이 신입 졸업생을 채용해 실무 교육을 제공하고, 학교와 긴밀히 협력하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돌핀 테크놀로지 베트남 센터의 레하이안 소장은 다년간의 경력을 가진 인력과 관리 인력 부족, 졸업생 기술 수준의 격차, 특정 분야 전문성 부족 등을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기업 협력 강화 ▲전문화 교육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빛의 벙커, 장민승 작가의 ‘서귀’展 선봬… 제주에서 바라본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국내 최초 몰입형 복합문화예술 공간 ‘빛의 벙커’가 장민승 작가, 정재일 음악감독과 함께 제주의 자연을 주제로 한 신작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선보인다. 제주 성산에 위치한 빛의 벙커는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오는 8월 1일부터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제주의 자연과 신앙, 그리고 존재의 순환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은 몰입형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제주콘텐츠진흥원의 2024~2025년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됐으며, 티모넷이 기획·제작을 맡았다. ‘서귀’는 총 16분 20초 분량의 파노라마 멀티채널 영상으로 구성되며, 한라산 선작지왓, 윗세오름, 문섬, 엉또폭포 등 제주의 지형과 영등굿, 동자석, 살장, 기메 같은 제의적 상징을 결합한다. 여섯 개의 시퀀스를 따라 물, 바람, 눈, 흙, 불, 그리고 다시 물로 회귀하는 여정을 그려낸다. 관객은 영상 속에서 한 편의 장례이자 탄생의식을 통과하며, 자연과 인간의 순환성에 감각적으로 몰입하게 된다. 제목 ‘서귀(西歸)’는 ‘서쪽으로 돌아감’, 즉 죽음을 은유하는 한자어로 제주 신앙에서 저승으로 향하는 여정을 의미한다. 부제 ‘수취인불명’은 끝내 전해지지 못한 감정의 잔향을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