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산업 부동산 시장이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의 주요 대상으로 자리 잡으며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생산 기지 다변화를 위해 베트남으로 눈을 돌리며 토지 확장과 프로젝트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주요 투자 사례
- 호치민시: 2분기 중반, 미국의 에이버리 데니슨 그룹(Avery Dennison Group)과 중국의 셴저우 그룹(Shenzhou Group)의 합작사인 에이버리 데니슨 월드온 베트남(Avery Dennison Worldon Vietnam)이 호치민시 꾸찌 동남 산업단지에 4,000㎡ 규모의 새 공장을 착공했다. 총 투자액 470만 달러로, 이는 북닌과 타이닌에 이어 세 번째 공장이다.
- 다낭: 한국과 중국의 전자 및 하이테크 기업들이 다낭 하이테크 파크에서 R&D 센터와 제조 공장 설립을 위해 토지를 물색 중이다. 다낭 하이테크 파크 관리위원회는 6월 아마타 베트남(Amata Vietnam), 그린 아이파크(Green i-Park), 궈궈광 일렉트릭(GuogGuoguang Electric), 유럽 플라스틱(European Plastic) 등 4개 투자자와 자유무역지대 투자 연구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특히 궈궈광 일렉트릭은 연내 리엔찌에우(Lien Chieu)에 전기 부품 공장을 개발할 계획이다.
- 흥옌성: 8월 말, 네덜란드의 산업단지 개발 전문 기업 CTP는 흥옌 인민위원회와의 회의에서 향후 10억 유로를 베트남에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흥옌과 자라이(Gia Lai)성을 중심으로 경제구역과 친환경 하이테크 산업단지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FDI 동향
베트남 통계청(재무부)에 따르면, 2025년 첫 8개월 동안 총 등록 FDI 자본은 26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7% 이상 증가했다.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 출자 및 지분 매입 형태로, 가공·제조업은 시장 점유율의 37%를 차지하며 약 17억 달러를 기록했다.
인도차이나 캐피털의 마이클 피로(Michael Piro) 총괄은 “베트남의 산업 부동산 시장은 FDI 자본에 대한 강한 매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8월 산업생산지수가 전년 대비 8.9% 상승했으며, 자동차, 고무·플라스틱, 의류 산업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그는 베트남의 전략적 위치(아시아-유럽 연결, 동해 국제 해상 무역로)와 ‘차이나+1’ 전략으로 다국적 기업들이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베트남을 우선순위로 선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프라와 행정 개혁

뚜리엔(Tu Lien), 쩐훙다오(Tran Hung Dao), 응옥호이(Ngoc Hoi) 교량(하노이-북닌·흥옌 연결), 자빈(Gia Binh) 국제공항(박닌), 라오까이-하노이-하이퐁-꽝닌 고속철도 등 주요 프로젝트가 추진되며 지역 및 국제 연결성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행정 개혁과 지방 승인 권한 분산으로 프로젝트 진행 시간이 단축되고 있다. 인도차이나 카지마(Indochina Kajima)는 3년 만에 꽝닌, 흥옌, 하이퐁, 푸토에서 6개의 Core5 기성 공장 단지를 개발한 사례를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았다.
임대료 상승과 친환경 트렌드
산업 부동산의 강한 FDI 유입은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졌다. CBRE에 따르면, 북부 1급 시장(하노이, 북닌, 흥옌, 하이퐁)의 평균 임대료는 ㎡당 139 달러로 전년 대비 4% 상승했다. 남부에서는 쿠시먼 앤 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가 산업용 토지 평균 요청가가 ㎡당 179 달러로 전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쿠시먼 앤 웨이크필드 베트남의 짱부이(Trang Bui) 총괄은 삼성, 인텔, LG, 폭스콘, 암코 테크놀로지, 엔비디아, 토요타, 유니레버, P&G,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데카트론 등 글로벌 리딩 기업들이 베트남을 전략적 거점으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 기업은 수만 개의 고품질 일자리를 창출하며 지원 산업 생태계 발전을 이끌고 있다.
특히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LEED 인증을 충족하는 친환경 공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예를 들어, Core5 꽝닌 프로젝트는 100% 입주 완료, Core5 흥옌은 운영 9개월 만에 80% 입주율을 달성했다. 올해 초 Core5는 일본 투자자 훌릭(Hulic)과 꽝닌·흥옌에서 합작 투자를 유치했다.
전망
베트남 산업 부동산 시장은 규모뿐 아니라 품질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강한 변화를 겪고 있다. 국내외 개발자들은 제조업체의 수요 트렌드를 면밀히 관찰하며 유연하고 효율적인 공장을 설계하고 있다. 짱부이는 “컨설팅 기업의 지원과 투자자들의 ESG 약속으로 베트남은 글로벌 산업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 베트남 통계청, CBRE, Cushman & Wakefield, vietnamnews.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