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000대 이상의 오더를 보유한 빈패스트는 2025년에 20만 대의 차량을 판매하겠다는 야심찬 목표에 가까이 가고 있으며, 이는 자동차 회사가 손익분기점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팜낫브엉 회장은은 말한다.
빈그룹 투자자의 날 2025 행사 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빈패스트가 2025 회계연도 자동차 판매 목표인 20만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라고 밝혔다. 미래에셋은 "현재 빈패스트는 6만 7천여 대의 주문이 배송 대기 중이며, 계획 완료를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은 연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빈패스트가 11월에 약 3만 대, 2025년 12월에 3만 5천 대의 차량을 인도해야 한다고 계산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의 원동력은 3~8월 시장 요인으로 인해 둔화된 3분기부터 빠른 매출 회복에 있다. 이 중 9월과 10월 판매량은 각각 1만 3천 대, 2만 대를 기록했다.
판매를 선도하는 자동차 모델
지난 10월, 빈패스트는 20,380대의 전기차를 성공적으로 인도하여 올해 첫 10개월 동안 전국적으로 총 판매량이 124,264대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성과는 빈패스트가 한 달 만에 2만 대를 돌파한 베트남 최초의 자동차 브랜드가 될 뿐만 아니라 12개월 연속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VF 3는 10월에 4,619대가 인도되어 빈패스트의 베스트셀링카로서의 입지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연초 이후 총 판매량은 36,005대로 "국민차 모델"로 꼽힌다. 그 뒤를 이어 VF 5가 총 35,406대가 인도되었다.
VF 6는 올해 첫 10개월 동안 16,949대의 차량을 팔았다. 한편, C-SUV VF 7 모델은 10개월 동안 7,067대의 차량 판매를 기록했다.
서비스 차량 부문에서는 7인승 MPV 리모 그린이 출시 3개월 만에 6,504대를 기록했다. 헤리오 그린 모델은 연초 이후 누적 11,524대를 기록했다.
다층 전략
미래에셋의 보고서에 따르면, 빈패스트는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종합적인 생태계 구축과 핵심 역량 업그레이드에 중점을 두고 광범위한 개발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이 전략의 핵심은 빈패스트, 그린, 락홍으로 구성된 3개 브랜드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다. 이 구조의 목표는 공통 기술 플랫폼과 차량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비용을 최적화하면서 다양한 고객층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빈패스트는 전자 시스템을 EEA 1.0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모델 EEA 2.0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중요한 기술적 진보를 이루고 있다.
이 새로운 모델에서는 처리 속도가 중앙 차량 제어기에 집중되어 있어 처리 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통신 회선이 최적화되며 원활한 무선(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진패스트의 생태계는 소유권, 임대 및 구독 패키지를 포함한 여러 고객 참여 모델을 통해 확장되어 다채널 사용자 여정을 만들고 있다.
GSM 모델(Green SM)은 택시 및 차량 호출 서비스에 빈패스트 차량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마케팅 채널이 되어 아직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은 고객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린 퓨처 모델은 제품의 세컨드 라이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오래된 자동차를 리스 및 인증 차량으로 재판매하여 건전한 2차 시장을 창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마지막으로, V-GREEN은 전체 생태계에 충전소 인프라를 제공하여 끊김 없는 전기차 경험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래에셋에 따르면 GSM을 중심으로 한 특수관계자 매출은 2025년 상반기 약 22%를 차지했으며, 올해 전체로는 25% 미만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GSM은 특히 2026년까지 약 10개의 신규 시장으로 확대할 계획인 만큼 국내외 자본 조달도 지속할 계획이다.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빈패스트는 연간 약 60만 대의 차량으로 생산 능력을 확장했다. 생산 능력은 인도, 하띤에 있는 새로운 공장과 곧 가동을 시작할 인도네시아 공장의 지원을 받는다. 글로벌 유통망도 380개 이상의 딜러 및 전시장으로 확장했다.
미래에셋 보고서는 재무적으로 빈패스트가 창립 주주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어 낮은 기업 가치로 자본을 조달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국내 프로모션과 신규 해외 시장 진출 비용으로 인해 단기 이익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 향후에도 확장적 투자 계획으로 인해 회사의 현금 흐름은 마이너스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에는 4월 말 빈패스트의 연례 주주총회에서 빈그룹 이사회 의장인 팜낫브엉(Pham Nhat Vuong)은 빈패스트의 올해 사업 목표에 대한 주주들의 질문에 답하며, 올해 빈패스트의 목표 판매량은 20만 대 이상으로, 국내 자동차 시장 점유율 약 40%를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엉 회장은 "이는 국내 자동차 회사뿐 아니라 베트남 시장에서 모든 자동차 회사 중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이다. 이 사업 목표가 달성된다면 빈패스트는 베트남 시장에서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것이다."라고 단언했다.
최근 발표된 실적에 따르면, 빈패스트는 상반기에 32조 9,150억 동(약 13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작년보다 두 배나 많은 수치이지만, 여전히 약 38조 동의 손실을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