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수산물 수출·생산자 협회(VASEP)에 따르면, 베트남의 새우 수출은 2025년 1~10월 동안 전년 대비 22% 급증한 39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최대 수입국은 중국이다.
협회는 주요 시장의 수요 회복과 연말 성수기를 앞두고 수산물 업체들의 선적 가속화가 급격한 성장세를 이끈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10월 한 달 동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4억 9,8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연중 최고 월별 수출액 중 하나를 기록했다.
이는 특히 아시아 시장의 구매력이 강하고 수출업체들이 더욱 공격적인 납품 일정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0월 수출 증가는 주로 흰다리새우와 활새우, 신선새우, 냉동새우 소비가 높은 중국 시장의 수요 급증에 기인한다.
1월부터 10월까지 중국(홍콩 포함)으로의 수출액은 11억 달러에 달하며 베트남 전체 새우 수출액의 28.2%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전년 동기 대비 64% 급증하며 주요 시장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시장으로의 수출은 일본, 캐나다, 호주의 안정적인 수요에 힘입어 전년 대비 33% 증가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미국 시장은 에콰도르와 인도와의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9% 증가한 7억 200만 달러를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흰다리새우는 전체 수출액의 약 65%를 차지하며 25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경쟁력 있는 가격과 폭넓은 시장 매력 덕분에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으로 자리매김했다.
블랙타이거새우는 3억 8,5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일본과 같은 기존 시장과 중국의 대형 새우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했다.
기타 가공 냉동 새우 제품은 9억 9,1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VASEP는 수산 기업들이 공장 생산 능력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고부가가치 새우 제품으로 점차 전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시아 시장은 연초 이후 수출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중국 본토와 홍콩은 6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대만은 10월에 큰 폭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한국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협회에 따르면, 아시아 경제 상황 개선과 베트남이 주요 시장과 지리적으로 근접한 것이 지역 수요 증가에 기여했다.
한편, 미국, 일본, EU는 특히 가공 및 부가가치 새우 제품 분야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베트남은 현재 수출 가능한 새우 가공 시설 350곳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과 부가가치 새우 제품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VASEP는 이러한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두 번째로 큰 새우 수입국인 미국의 관세 압력과 무역 보호 조치로 인해 연말 두 달 동안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하고, 수출 시장을 다각화하며, 안정적인 품질 기준을 유지한다면 이러한 영향은 줄어들 수 있다.
베트남은 2025년 새우 수출 목표를 40억~43억 달러로 설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