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업

메모리 칩 배치가 삼성 '부담', 칩산업은 바닥을 지나 회복될 것으로 본다

 

삼성 메모리 반도체 사업은 '황금알 낳는 거위'에서 2023년 1분기 34억달러의 적자를 내며 이익이 95%나 줄었다. 4월 26일 삼성의 1분기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메모리 반도체 부문은 4조5800억원(34억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CNBC에 따르면, 이 수치는 최근 몇 년간 칩 수요가 증가했고 항상 삼성에 가장 많은 수익과 이익을 가져다 준 것과 대조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분기 63조7500억원(474억달러)의 매출을 올렸지만 메모리 반도체 사업에서 큰 손실을 입어 이익이 6400억원(4억7855만달러)으로 전년 동기 105억달러보다 95% 감소했고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더버지(The Verge)에 따르면, 삼성은 메모리 칩에 대한 시장 수요의 감소와 높은 재고로 인해 나쁜 분기를 경험했다고 한다. 앞서 분석가들은 이 부문이 코로나19 기간 동안 휴대전화와 PC 제조사들이 칩을 너무 많이 사들이고 사재기했기 때문에 '겨울'을 벗어날 수 없었다고 평가했다. 공급이 더 이상 중단되지 않자 칩 산업은 대규모 재고로 공급 과잉 위기에 빠졌다.

 

게다가 사용자들이 원격으로 일하고 배우는 것의 필요성과 인플레이션 및 경제적 불안정을 충족시키기 위해 대유행 기간 동안 구매했기 때문에 현재 디지털 장치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기 제조업체들도 신제품 출시를 자제하고 있어 칩 소비가 급감하고 있다.

 

메모리 칩 배치는 한때 삼성의 "황금알"로 여겨졌다. 2021년에 삼성은 인텔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리는 반도체 칩 제조업체가 되었다. 2022년 2분기에는 칩 14조원(107억달러)에 힘입어 2018년 이후 최대 이익을 기록했고, 매출도 77조원(573억달러)으로 21% 증가했다.

 

감소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올해도 작년과 비슷하게 메모리 칩에 투자했다고 말했다. 최근 회사는 또한 20년 안에 2300억달러의 가치가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칩 제조 단지를 한국에 짓는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삼성 관계자는 블룸버그통신에 "단기적인 생산 계획을 줄였지만 중장기적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선도적인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인프라 투자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세계 2위 메모리 반도체 업체인 SK하이닉스도 2023년 1분기 25억4000만달러 적자를 발표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를 "시장의 수요 둔화와 제품 가격 하락" 탓으로 돌렸지만, 2023년 하반기에는 상황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전문가들은 또한 시장이 회복되고 있다고 믿고 있다. 돌턴 인베스트먼트 애널리스트 제임스 림은 스쿼크 박스 아시아(Squawk Box Aisa)인터뷰에서 "칩 산업은 바닥을 지나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다우기술, 다우오피스 AI 기능 업데이트… 지능형 챗봇으로 업무 효율 극대화
다우기술(대표 김윤덕)은 자사의 통합 업무 플랫폼 ‘다우오피스(DaouOffice)’의 AI 기능을 확대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AI를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닌 일상 업무 속에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는 ‘업무용 AI’로 확장시키는 데 중점을 뒀다. ‘다우오피스’는 메일, 전자결재, 메신저, 근태관리, 인사관리 등 기업의 핵심 업무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이다. 이번 개선으로 AI 작성 기능은 기존 이메일 작성에 국한되지 않고 게시판과 커뮤니티 등 협업 영역 전반으로 확대됐다. 사용자는 서비스 화면 내에서 곧바로 AI를 통해 초안을 작성하거나 문장을 다듬을 수 있으며, 별도의 창 전환이 필요 없는 통합형 UI/UX 구조로 더욱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첨부파일 기반 AI 요약 기능이 추가돼 회의록, 보고서, 공지문 등 다양한 문서의 주요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첨부파일 요약 결과는 포털 화면 내에서 즉시 확인 가능해 효율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 여기에 더해 게시판과 문서관리 앱 데이터를 학습한 AI 챗봇 기능도 새롭게 추가됐다. 사용자가 ‘휴가 규정 알려줘’나 ‘첨부한 파일에서 작년 매출을 알려줘’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