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9.3℃
  • 맑음서울 6.7℃
  • 맑음대전 7.0℃
  • 맑음대구 8.1℃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8.7℃
  • 맑음부산 11.0℃
  • 맑음고창 4.9℃
  • 구름조금제주 10.9℃
  • 맑음강화 3.1℃
  • 맑음보은 4.4℃
  • 맑음금산 4.9℃
  • 맑음강진군 7.2℃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9.4℃
기상청 제공

기업

폭스콘 회장 “베트남, AI 시대 새 공급망 중심지로 부상…성장률 85~90% 유지”

2025 가을 경제포럼서 극찬…전자 수출 873억달러·48% 급증, “세계 최고 수준 박장 공장은 AI·데이터센터 허브로”

세계 최대 전자제조서비스(EMS) 기업 폭스콘의 브랜드 청(Brand Cheng) 회장이 26일 “베트남이 AI 시대 글로벌 공급망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고 있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날 오전 열린 ‘2025 가을 경제포럼’에서 청 회장은 “베트남은 개방 정책, 놀라운 성장 지표, 최첨단 제조 플랫폼을 모두 갖춘 전략적 목적지”라며 폭스콘이 베트남 투자를 지속 확대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가 제시한 숫자는 압도적이다.

 

  • 2007년 486억달러 → 2025년 3910억달러(예상) 수출액
  • 전자·하이테크 제품 비중 35%
  • FDI 유치 200억 → 315억달러
  • 1인당 국민소득 926 → 5000달러 이상
  • 2025년 상반기 GDP 성장률 7.5%(세계 최상위권)
  • 1~10월 전자제품 수출 873억달러(전년 대비 48%↑)

 

청 회장은 “이 모든 성과는 베트남의 개혁 노력과 개방 정책의 결실”이라며 특히 올해 전자 수출 48% 폭증을 “매우 인상적(very impressive)”이라고 평가했다.

 

폭스콘은 이미 베트남에서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해 AI 생산라인을 가동 중이며, 박장성(북부) 공장은 세계 최첨단 수준으로 데이터센터·칩·AI 제품의 국제 기술 허브로 육성되고 있다. 베트남 내 폭스콘 성장률은 85~90%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청 회장은 “글로벌 공급망이 ‘다층적·지능형 협업’ 모델로 전환되는 지금, 베트남은 사람·자동화·디지털화·AI가 융합된 차세대 제조 허브로 가장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극찬했다.

 

다만 지속 가능한 투자를 위해서는 ① 고급 인력 양성 ② 부품·소재 국산화율 제고 ③ 원자재 안정 공급 ④ AI 기반 자동화·디지털화 가속화가 필수라고 조언했다.

 

업계는 폭스콘의 이 같은 공개적 찬사가 삼성·인텔·LG에 이어 또 하나의 대형 투자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하이테크 산업 비중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데블스캔디,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peep’ 론칭… 캐릭터 엔터테크 기업으로 도약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기업 데블스캔디(Devil’s Candy)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eep)’을 공식 론칭하며 ‘캐릭터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힙핍’은 사막에서 살아남는 작고 엉뚱한 개구리 캐릭터로, 잘하는 건 없지만 생존력 하나만큼은 강한 자연계의 최약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다. 이 캐릭터는 대사 없이 표정과 상황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넌버벌(non-verbal) 3D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전개되며, 유튜브 및 글로벌 숏폼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데블스캔디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술 기반의 콘텐츠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 캐릭터의 행동·표정·스토리 생성 과정 전반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이를 통해 짧은 기간 안에 다수의 에피소드와 캐릭터 변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AI-IP 프로덕션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데블스캔디 이동석 대표는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상상력을 현실로 확장시키는 엔진”이라며 “‘힙핍’을 시작으로 기술과 감성이 결합된 IP 비즈니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K-엔터테크 스튜디오로 성장하겠